< Return to Video

가면증후군은 무엇이며 어떻게 이겨낼까요?|엘리자베스 콕스

  • 0:09 - 0:13
    열한 권의 책을 쓰고 유력한 상들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 0:13 - 0:19
    마야 안젤루는 자신이 성취한 게 없다는
    끊임없는 의심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 0:20 - 0:23
    알버트 아인슈타인도
    비슷한 경험을 했습니다.
  • 0:23 - 0:26
    그는 자신을
    "의도치 않은 사기꾼" 이라 불렀고
  • 0:26 - 0:30
    자신의 업적이 받은 관심이
    과분하다고 생각했습니다.
  • 0:30 - 0:33
    안젤루와 아인슈타인 수준의
    자기기만은 흔치 않지만
  • 0:33 - 0:36
    다른 사람에게도 자기기만은
    흔히 나타납니다.
  • 0:36 - 0:41
    우리는 왜 자신의 성과를 믿지 못하고
  • 0:41 - 0:45
    자신의 생각과 능력이 타인의 관심을
    받을 가치가 없다고 생각할까요?
  • 0:45 - 0:48
    심리학자 폴린 로즈 클랜스는
  • 0:48 - 0:51
    근거 없는 불안감 연구를
    최초로 시작했습니다.
  • 0:51 - 0:52
    치료사인 그녀의 연구로
  • 0:52 - 0:57
    많은 대학생들이 같은 걱정을
    갖고 있음을 알아냈습니다.
  • 0:57 - 0:58
    그들은 높은 성적 받았음에도
  • 0:58 - 1:02
    대학에서 각광받을 만한
    가치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 1:02 - 1:05
    심지어 몇몇은 입학에
    오류가 있다고 여겼습니다.
  • 1:05 - 1:07
    클랜스는 이 감정이 어디서부터
    오는지는 몰랐지만
  • 1:07 - 1:11
    대학원에서 똑같은 감정을
    느낀 것을 떠올렸습니다.
  • 1:11 - 1:14
    그녀와 피실험자들은
    이런 것들을 경험했습니다.
  • 1:14 - 1:16
    가면 현상,
  • 1:16 - 1:18
    가면 경험,
  • 1:18 - 1:20
    그리고 가면증후군.
  • 1:20 - 1:22
    수잔 임스와 함께
  • 1:22 - 1:27
    클랜스는 최초로 여대생들과 교수들의
    가면증후군을 연구했습니다.
  • 1:27 - 1:30
    이 연구로 이런 감정이
    얼마나 흔한 것인지 알게 되었습니다.
  • 1:30 - 1:32
    첫 연구 이후에
  • 1:32 - 1:34
    같은 일이 벌어짐을 확인했습니다.
  • 1:34 - 1:36
    성별, 인종, 나이,
  • 1:36 - 1:38
    다양한 직업군에서 확인됩니다.
  • 1:38 - 1:45
    아마도 사회적 약자나 소수에게 더 많이
    나타나거나 영향을 줄지 모르지만
  • 1:45 - 1:48
    증후군이라고 부르는 건
    이것의 보편성을 무시하는 겁니다.
  • 1:48 - 1:51
    이는 병도 이상증세도 아니고
  • 1:51 - 1:57
    꼭 우울증, 불안, 자존감과
    연관된 것도 아닙니다.
  • 1:57 - 1:59
    이러한 감정들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요?
  • 1:59 - 2:01
    위대한 업적을 이뤘거나
    다재다능한 사람들은
  • 2:01 - 2:04
    다른 사람도 자기만큼
    능력 있다고 생각합니다.
  • 2:04 - 2:07
    이것은 다른 사람보다 더 많은
    칭찬과 기회를 받을 만한 가치가 없다는
  • 2:07 - 2:09
    느낌에 휩싸이게 합니다.
  • 2:09 - 2:11
    그리고 안젤루와 아인슈타인이 경험했듯이
  • 2:11 - 2:16
    이런 감정들을 잠재울 수 있는
    한계점은 없습니다.
  • 2:16 - 2:20
    가면증후군은 뛰어난 사람들에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 2:20 - 2:24
    다원적 무지라는 현상에
    모두 빠질 수 있습니다.
  • 2:24 - 2:27
    이 현상은 스스로는 의심하면서
  • 2:27 - 2:29
    아무도 자신의 의심을
    드러내지않기 때문에
  • 2:29 - 2:31
    자기만 그렇게 생각한다고
    믿는 것입니다.
  • 2:31 - 2:35
    동료의 일이 얼마나 힘든지
  • 2:35 - 2:38
    어떤 일이 얼마나 어려운지
  • 2:38 - 2:40
    또 얼마나 자신을 의심하는지
    정확히 아는 것은 어렵기에
  • 2:40 - 2:45
    자신보다 다른 사람들이 유능하다는
    생각을 떨쳐낼 쉬운 방법은 없습니다.
  • 2:45 - 2:47
    강렬한 가면증후군의 감정은
  • 2:47 - 2:49
    자신의 훌륭한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것과
  • 2:49 - 2:53
    잘할 수 있는 일과 프로그램에
    지원하지 못하게 합니다.
  • 2:53 - 2:54
    적어도 지금까지는
  • 2:54 - 2:58
    가면증후군을 이겨내는 확실한 방법은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는 겁니다.
  • 2:58 - 3:00
    가면증후군으로 고통받는 많은 사람들은
  • 3:00 - 3:03
    자신의 성과에 대해 물었을 때
  • 3:03 - 3:04
    두려움이 확인될까봐 두려워합니다.
  • 3:04 - 3:06
    그들이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때도
  • 3:06 - 3:09
    속이고 있다는 감정이
    누그러지지 않습니다.
  • 3:09 - 3:10
    그러나 반면에
  • 3:10 - 3:14
    조언자나 멘토가 가면증후군을
    겪었다고 듣는 것은
  • 3:14 - 3:16
    마음을 가라앉히는 데 도움을 줍니다.
  • 3:16 - 3:18
    다른 이들에게도 마찬가지입니다.
  • 3:18 - 3:21
    단순히 이 감정에 명칭이 있음을
    아는 것만으로도
  • 3:21 - 3:23
    놀라울 만큼 안도가 됩니다.
  • 3:23 - 3:24
    이 현상을 알고나면
  • 3:24 - 3:29
    긍정적인 평가를 모으고 생각하며
    가면증후군을 이겨낼 수 있습니다.
  • 3:29 - 3:32
    실험실 사고를 자책하던 한 과학자는
  • 3:32 - 3:36
    무언가가 잘못될 때마다
    원인들을 기록하기 시작했습니다.
  • 3:36 - 3:38
    결국 대부분의 사고는
  • 3:38 - 3:40
    실험장비의 오류임을 알아내면서
  • 3:40 - 3:42
    자신의 능력을 깨달았습니다.
  • 3:42 - 3:45
    가면증후군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지만
  • 3:45 - 3:50
    학업이나 직업에 대한 어려움을
    나눌 수는 있습니다.
  • 3:50 - 3:53
    이 경험이 얼마나 흔한지
    더 많이 인식할 수록
  • 3:53 - 3:57
    더 홀가분하게 감정에 솔직해지고
  • 3:57 - 3:59
    몇 가지 사실들에
    확신을 가질 수 있습니다.
  • 3:59 - 4:04
    여러분은 재능있고,
    유능하며 혼자가 아닙니다.
Title:
가면증후군은 무엇이며 어떻게 이겨낼까요?|엘리자베스 콕스
Speaker:
엘리자베스 콕스(Elizabeth Cox)
Description:

전체 강의 보기: https://ed.ted.com/lessons/what-is-imposter-syndrome-and-how-can-you-combat-it-elizabeth-cox

열한 권의 책을 쓰고 이름있는 상들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마야 안젤루는 자신이 자격이 없다는 끊임없는 의심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이 사기 치는 감정은 흔합니다. 우리는 왜 자격이 없는데도 성과를 이뤄냈으며 자신의 생각과 능력이 타인의 관심을 받을 가치가 없다고 생각할까요? 엘리자베스 콕스는 가면증후군의 숨겨진 심리학적 사실과 이를 이겨내기위해 무엇을 해야할지를 설명해줍니다.

강의: 엘리자베스 콕스
감독: 샤론 콜맨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closed TED
Project:
TED-Ed
Duration:
04:17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