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애니메이션의 원리 : 동작의 시각적 착각 - TED-Ed

  • 0:15 - 0:18
    여기 한 무리의
    정지된 그림들이 있습니다.
  • 0:18 - 0:21
    하나씩 보도록 하죠.
  • 0:24 - 0:25
    빠르게.
  • 0:28 - 0:30
    이제, 간격을 없애보죠.
  • 0:30 - 0:32
    점점 더 빠르게 해보죠.
  • 0:33 - 0:35
    좀 더 기다리세요...
  • 0:36 - 0:37
    ...짠!
  • 0:37 - 0:38
    움직임!
  • 0:39 - 0:41
    왜 이렇죠?
  • 0:41 - 0:42
    우리는 그냥 나열된 정지 그림들을
  • 0:42 - 0:44
    연속적으로 보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 0:44 - 0:46
    하지만 그림들이
    충분히 빨리 바뀌면
  • 0:46 - 0:48
    착시 현상을 일으켜
  • 0:48 - 0:50
    형태와 위치가 점점 변화하는
  • 0:50 - 0:53
    하나의 지속적인 영상으로 보입니다.
  • 0:53 - 0:56
    이 효과는
    모든 영상 기술의 기초입니다.
  • 0:56 - 0:58
    오늘날의 LED 화면에서 시작해서
  • 0:58 - 1:01
    이런 것들의
    20세기 조상인 음극선까지,
  • 1:01 - 1:02
    또 영화 상영에서부터
  • 1:02 - 1:04
    싸구려 장난감까지도요,
  • 1:04 - 1:05
    심지어는,
  • 1:05 - 1:07
    그 옛날 석기 시대에
  • 1:07 - 1:09
    사람들이 벽화를 그리기 시작한 시절까지
    그 뿌리가 있다는 설이 있습니다.
  • 1:09 - 1:12
    이런 연속적인 그림들을
  • 1:12 - 1:13
    외형적인 움직임으로
    인식하는 현상은
  • 1:13 - 1:15
    인간 지각의 특성인,
  • 1:15 - 1:19
    역사적으로 "지각의 항상성(persistence of vision)"
    이라고 불리는 것 때문입니다.
  • 1:19 - 1:19
    이 용어는
  • 1:19 - 1:23
    영국과 스위스의 물리학자인
    피터 마크 로제(Peter Mark Roget)에 의해 알려졌는데,
  • 1:23 - 1:24
    19세기 사람이었던 그는,
  • 1:24 - 1:27
    움직이는 물체가
    어떤 속도에 도달했을 때
  • 1:27 - 1:29
    마치 정지된 것처럼 인식하는
  • 1:29 - 1:32
    우리 눈의 결점을 설명하는 데에
    이 단어를 사용했습니다.
  • 1:32 - 1:33
    얼마 지나지 않아,
  • 1:33 - 1:35
    이 단어는 반대로
  • 1:35 - 1:38
    정지된 그림으로 움직임을 표현하는 것을
    설명하는데에 쓰였습니다.
  • 1:38 - 1:40
    페나키스토스코프(phenakistoscope)를
    발명한
  • 1:40 - 1:42
    벨기에 물리학자 (Joseph Plateau)에 의해서요.
  • 1:42 - 1:44
    그는 시각의 항상성을
  • 1:44 - 1:46
    연속적인 잔상들의 결과로
    정의했습니다.
  • 1:46 - 1:49
    그것은 망막에 저장된 후 조합되어
  • 1:49 - 1:51
    우리가 보고있는 것이
  • 1:51 - 1:53
    움직이는 하나의 물체라고 믿게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 1:53 - 1:55
    이러한 설명는 이후 수십년동안
  • 1:55 - 1:56
    널리 받아들여졌습니다.
  • 1:56 - 1:58
    20세기에 있었던 전환점까지는요.
  • 1:58 - 1:59
    그것은 몇몇 사람들이
  • 1:59 - 2:01
    생리적인 설명에 대해
    의문을 표시하기 시작한 때였지요.
  • 2:01 - 2:04
    1912년, 독일 물리학자인
    막스 베르타이메르(Max Wertheimer)는
  • 2:04 - 2:07
    간단한 착시 현상을 가지고
  • 2:07 - 2:09
    움직이는 상에 대한
    기본적인 과정을 약술했습니다.
  • 2:09 - 2:11
    이런 실험들은 그가
    이런 결론을 짓게 만들었습니다:
  • 2:11 - 2:13
    그 현상은 망막뒤에서 벌어지는
  • 2:13 - 2:15
    과정 때문에 일어난다는 것이었어요.
  • 2:15 - 2:18
    1915년,
    휴고 문스터베르크(Hugo Munsterberg)는,
  • 2:18 - 2:20
    독일-미국의 응용 심리학
    선구자였던 그는
  • 2:20 - 2:22
    연속적인 그림들이
  • 2:22 - 2:23
    움직이는것처럼 보이는 것은
  • 2:23 - 2:25
    그림들이 눈에 저장되어서가 아니라
  • 2:25 - 2:28
    우리의 정신적 조작 때문일 것이라고
    제안했습니다.
  • 2:29 - 2:30
    그 후 한 세기동안
  • 2:30 - 2:32
    생리학자들에 의한 실험은
  • 2:32 - 2:34
    이런 결론을
    거의 확인하였습니다.
  • 2:34 - 2:36
    영상에서 오는
    착시 현상과 연관지어
  • 2:36 - 2:39
    시각의 항상성은 시각 자체보다는
  • 2:39 - 2:42
    뇌에서 어떻게 받아들이는가에
    더 관련이 깊다고요.
  • 2:42 - 2:44
    연구에 의하면
  • 2:44 - 2:45
    우리 눈이 보는 여러가지 면들,
  • 2:45 - 2:46
    형태,
  • 2:46 - 2:47
    색,
  • 2:47 - 2:47
    깊이,
  • 2:47 - 2:48
    그리고 움직임들은
  • 2:48 - 2:51
    각기 다른 길들을 통해
    망막으로 부터
  • 2:51 - 2:53
    시각을 담당하는 피질 속의 여러 영역으로
    전달된다는 것입니다.
  • 2:53 - 2:55
    이런 여러 측면의 신호를 종합하여
  • 2:55 - 2:57
    지각으로 완성하는 것은 바로
  • 2:57 - 2:59
    시각 피질 속의 다양한 활동들의
  • 2:59 - 3:01
    끊임없는 상호 작용이었습니다.
  • 3:01 - 3:03
    우리들의 뇌는
    끊임없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 3:03 - 3:04
    우리들이 보고 ,
  • 3:04 - 3:05
    듣고,
  • 3:05 - 3:05
    냄새 맡고,
  • 3:05 - 3:06
    그리고 만지는것을
  • 3:06 - 3:07
    현재 매 순간-순간의
  • 3:07 - 3:09
    하나의 의미있는 경험으로
    동기화시킵니다.
  • 3:09 - 3:11
    그러므로, 연속적인 그림들을 통해
  • 3:11 - 3:13
    움직이는 듯한 착시 현상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 3:13 - 3:14
    이미지들 간에 간격을
    우리 뇌가 현재라는 것을
  • 3:14 - 3:18
    처리하는 속도에 가깝게
    맞춰야 합니다.
  • 3:19 - 3:22
    그렇다면, 우리 뇌에 의하면 '현재'는
    얼마나 빠르게 지나가고 있는 걸까요?
  • 3:22 - 3:23
    얼마나 빨리 그림들이 변화해야
  • 3:23 - 3:25
    이런 착시 현상이 발생하는 지를
    측정함으로써
  • 3:25 - 3:27
    이것을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 3:27 - 3:28
    어디 한번 실험을 반복하는걸로
  • 3:28 - 3:30
    알아 낼 수 있을지 알아봅시다.
  • 3:30 - 3:31
    여기 그림 사이에 1초의 암전을 포함하여
  • 3:31 - 3:34
    2초에 한 장면씩 보여지는
  • 3:34 - 3:36
    영상이 있습니다
  • 3:36 - 3:37
    이 정도 속도의 변화와
  • 3:37 - 3:39
    그림 사이에 텅빈 간격으로는,
  • 3:39 - 3:42
    그 어떤 움직임도
    지각되지 않습니다.
  • 3:42 - 3:44
    암전 시간을 조금 줄이면,
  • 3:44 - 3:47
    위치의 미세한 변화가
    조금 눈에 띕니다,
  • 3:47 - 3:49
    이후 우리는 다른 장면들 사이에
  • 3:49 - 3:51
    어렴풋이 움직임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 3:51 - 3:53
    초당 한 장면,
  • 3:56 - 3:57
    초당 두 장면,
  • 3:59 - 4:01
    초당 네 장면.
  • 4:02 - 4:04
    이제 우리는 움직임을
    느끼기 시작하는데요,
  • 4:04 - 4:07
    사실 부드럽지는 않습니다.
  • 4:07 - 4:08
    우리는 아직도
    여러 다른 그림들을
  • 4:08 - 4:09
    보고있다는 걸 알고 있죠.
  • 4:09 - 4:10
    자 속도를 올려볼까요,
  • 4:10 - 4:12
    1초에 여덟 장면,
  • 4:14 - 4:16
    1초에 열 두 장면,
  • 4:16 - 4:19
    거의 다 된 것 같은데요.
  • 4:21 - 4:23
    1초에 스물 네 장면,
  • 4:23 - 4:25
    움직임이 더욱 부드러워 보입니다.
  • 4:25 - 4:27
    이게 기본적인 최고 속도입니다.
  • 4:28 - 4:30
    그럼, 우리가 중간 간격에 대한
    인식을 하지 못하고
  • 4:30 - 4:32
    움직임으로써 보는 지점은
  • 4:32 - 4:36
    초당 여덟 장면에서 열 두 장면
    사이인것 같군요.
  • 4:36 - 4:37
    이게 과학이 결정한
  • 4:37 - 4:38
    분리된 이미지라고 인식하는
  • 4:38 - 4:40
    일반적인 임계값의
  • 4:40 - 4:42
    근처입니다.
  • 4:42 - 4:44
    일반적으로 말해, 우리는
    그림 사이의 간격을
  • 4:44 - 4:47
    100 밀리초(millisecond) 근처에서
    인식하지 못하기 시작하는데,
  • 4:47 - 4:48
    이것을 장면 비율(frame rate)으로 따지면
  • 4:48 - 4:50
    초당 열 장면과 동일합니다.
  • 4:50 - 4:51
    장면 비율이 증가할수록,
  • 4:51 - 4:53
    그림 사이의 간격에 대한
    인식을 아예 잃어버리고
  • 4:53 - 4:55
    우리 모두는 착시의 현실에 의해
  • 4:55 - 4:56
    설득되어 버립니다.
Title:
애니메이션의 원리 : 동작의 시각적 착각 - TED-Ed
Description:

모든 강연 보기 : http://ed.ted.com/lessons/animation-basics-the-optical-illusion-of-motion-ted-ed

이미지들을 삶에 옮기는데 애니메이션 작가들은 어떤 방법을 활용할까요?

시각적 착각인 것일까요, 혹은 이미지들이 실제로 움직이는 것일까요? TED_ed는 애니면이션과 강연을 통해 영화 장면에서 보이는 동작들의 비밀을 밝혀냅니다.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closed TED
Project:
TED-Ed
Duration:
05:12
  • 안녕하세요?
    우리 말로 옮기기 까다로운 문장이 속속에 있는 강연이군요. 몇 군데 손을 봤습니다. 본문의 image는 상황에 따라 (정지)그림의 의미에 가까운 곳이 많아 보였습니다. 종종 (움직이는)영상의 의미로 보이는 곳도 있었습니다. 중간에 근간은 동사가 아니어서 수정했습니다. 1:43.727 부근은 문장이 너무 길어서 분리했습니다. 2:54.532 부근 문장은 그 구조상 It ~ that 의 ~부분으로 해석했습니다.

    까다롭고 긴 문장이 많은 강연의 번역에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Korean subtitles

Revisions Compare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