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14.963,0:00:18.273 여기 한 무리의[br]정지된 그림들이 있습니다. 0:00:18.273,0:00:20.547 하나씩 보도록 하죠. 0:00:23.747,0:00:24.931 빠르게. 0:00:28.152,0:00:30.306 이제, 간격을 없애보죠. 0:00:30.306,0:00:31.904 점점 더 빠르게 해보죠. 0:00:32.904,0:00:34.528 좀 더 기다리세요... 0:00:36.021,0:00:37.413 ...짠! 0:00:37.413,0:00:38.496 움직임! 0:00:39.249,0:00:41.069 왜 이렇죠? 0:00:41.069,0:00:42.431 우리는 그냥 나열된 정지 그림들을 0:00:42.431,0:00:44.192 연속적으로 보고 있다는 사실을[br]알고 있습니다. 0:00:44.192,0:00:46.176 하지만 그림들이[br]충분히 빨리 바뀌면 0:00:46.176,0:00:47.546 착시 현상을 일으켜 0:00:47.546,0:00:49.817 형태와 위치가 점점 변화하는 0:00:49.817,0:00:52.618 하나의 지속적인 영상으로 보입니다. 0:00:52.618,0:00:56.149 이 효과는 [br]모든 영상 기술의 기초입니다. 0:00:56.149,0:00:58.204 오늘날의 LED 화면에서 시작해서 0:00:58.204,0:01:00.833 이런 것들의[br]20세기 조상인 음극선까지, 0:01:00.833,0:01:02.483 또 영화 상영에서부터 0:01:02.483,0:01:03.876 싸구려 장난감까지도요, 0:01:03.876,0:01:05.425 심지어는, 0:01:05.425,0:01:06.925 그 옛날 석기 시대에 0:01:06.925,0:01:09.427 사람들이 벽화를 그리기 시작한 시절까지[br]그 뿌리가 있다는 설이 있습니다. 0:01:09.427,0:01:11.687 이런 연속적인 그림들을 0:01:11.687,0:01:13.121 외형적인 움직임으로[br]인식하는 현상은 0:01:13.121,0:01:15.154 인간 지각의 특성인, 0:01:15.154,0:01:18.652 역사적으로 "지각의 항상성(persistence of vision)" [br]이라고 불리는 것 때문입니다. 0:01:18.652,0:01:19.443 이 용어는 0:01:19.443,0:01:22.645 영국과 스위스의 물리학자인[br]피터 마크 로제(Peter Mark Roget)에 의해 알려졌는데, 0:01:22.645,0:01:24.389 19세기 사람이었던 그는, 0:01:24.389,0:01:27.161 움직이는 물체가[br]어떤 속도에 도달했을 때 0:01:27.161,0:01:28.695 마치 정지된 것처럼 인식하는 0:01:28.695,0:01:32.058 우리 눈의 결점을 설명하는 데에[br]이 단어를 사용했습니다. 0:01:32.058,0:01:33.079 얼마 지나지 않아, 0:01:33.079,0:01:35.284 이 단어는 반대로 0:01:35.284,0:01:37.532 정지된 그림으로 움직임을 표현하는 것을[br]설명하는데에 쓰였습니다. 0:01:37.532,0:01:39.922 페나키스토스코프(phenakistoscope)를[br]발명한 0:01:39.922,0:01:41.972 벨기에 물리학자 (Joseph Plateau)에 의해서요. 0:01:41.972,0:01:43.727 그는 시각의 항상성을 0:01:43.727,0:01:46.478 연속적인 잔상들의 결과로[br]정의했습니다. 0:01:46.478,0:01:48.840 그것은 망막에 저장된 후 조합되어 0:01:48.840,0:01:50.595 우리가 보고있는 것이 0:01:50.595,0:01:52.927 움직이는 하나의 물체라고 믿게 [br]만드는 것이었습니다. 0:01:52.927,0:01:54.510 이러한 설명는 이후 수십년동안 0:01:54.510,0:01:55.607 널리 받아들여졌습니다. 0:01:55.607,0:01:57.690 20세기에 있었던 전환점까지는요. 0:01:57.690,0:01:58.808 그것은 몇몇 사람들이 0:01:58.808,0:02:01.193 생리적인 설명에 대해[br]의문을 표시하기 시작한 때였지요. 0:02:01.193,0:02:04.270 1912년, 독일 물리학자인[br]막스 베르타이메르(Max Wertheimer)는 0:02:04.270,0:02:06.856 간단한 착시 현상을 가지고 0:02:06.856,0:02:09.359 움직이는 상에 대한[br]기본적인 과정을 약술했습니다. 0:02:09.359,0:02:10.650 이런 실험들은 그가[br]이런 결론을 짓게 만들었습니다: 0:02:10.650,0:02:12.701 그 현상은 망막뒤에서 벌어지는 0:02:12.701,0:02:15.265 과정 때문에 일어난다는 것이었어요. 0:02:15.265,0:02:17.534 1915년, [br]휴고 문스터베르크(Hugo Munsterberg)는, 0:02:17.534,0:02:19.971 독일-미국의 응용 심리학[br]선구자였던 그는 0:02:19.971,0:02:21.565 연속적인 그림들이 0:02:21.565,0:02:22.807 움직이는것처럼 보이는 것은 0:02:22.807,0:02:25.251 그림들이 눈에 저장되어서가 아니라 0:02:25.251,0:02:28.194 우리의 정신적 조작 때문일 것이라고[br]제안했습니다. 0:02:29.317,0:02:30.453 그 후 한 세기동안 0:02:30.453,0:02:31.786 생리학자들에 의한 실험은 0:02:31.786,0:02:34.366 이런 결론을[br]거의 확인하였습니다. 0:02:34.366,0:02:36.329 영상에서 오는[br]착시 현상과 연관지어 0:02:36.329,0:02:39.252 시각의 항상성은 시각 자체보다는 0:02:39.252,0:02:41.915 뇌에서 어떻게 받아들이는가에[br]더 관련이 깊다고요. 0:02:41.915,0:02:43.671 연구에 의하면 0:02:43.671,0:02:45.022 우리 눈이 보는 여러가지 면들, 0:02:45.022,0:02:45.936 형태, 0:02:45.936,0:02:46.525 색, 0:02:46.525,0:02:47.251 깊이, 0:02:47.251,0:02:48.376 그리고 움직임들은 0:02:48.376,0:02:51.245 각기 다른 길들을 통해[br]망막으로 부터 0:02:51.245,0:02:53.272 시각을 담당하는 피질 속의 여러 영역으로[br]전달된다는 것입니다. 0:02:53.272,0:02:54.532 이런 여러 측면의 신호를 종합하여 0:02:54.532,0:02:56.849 지각으로 완성하는 것은 바로 0:02:56.849,0:02:58.970 시각 피질 속의 다양한 활동들의 0:02:58.970,0:03:01.020 끊임없는 상호 작용이었습니다. 0:03:01.020,0:03:02.598 우리들의 뇌는[br]끊임없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0:03:02.598,0:03:04.091 우리들이 보고 , 0:03:04.091,0:03:04.603 듣고, 0:03:04.603,0:03:05.182 냄새 맡고, 0:03:05.182,0:03:05.696 그리고 만지는것을 0:03:05.696,0:03:06.804 현재 매 순간-순간의 0:03:06.804,0:03:09.263 하나의 의미있는 경험으로[br]동기화시킵니다. 0:03:09.263,0:03:10.849 그러므로, 연속적인 그림들을 통해 0:03:10.849,0:03:12.675 움직이는 듯한 착시 현상을[br]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0:03:12.675,0:03:14.377 이미지들 간에 간격을[br]우리 뇌가 현재라는 것을 0:03:14.377,0:03:17.855 처리하는 속도에 가깝게[br]맞춰야 합니다. 0:03:18.531,0:03:21.765 그렇다면, 우리 뇌에 의하면 '현재'는 [br]얼마나 빠르게 지나가고 있는 걸까요? 0:03:21.765,0:03:22.837 얼마나 빨리 그림들이 변화해야 0:03:22.837,0:03:24.961 이런 착시 현상이 발생하는 지를[br]측정함으로써 0:03:24.961,0:03:26.627 이것을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0:03:26.627,0:03:27.766 어디 한번 실험을 반복하는걸로 0:03:27.766,0:03:29.820 알아 낼 수 있을지 알아봅시다. 0:03:29.820,0:03:31.019 여기 그림 사이에 1초의 암전을 포함하여 0:03:31.019,0:03:33.652 2초에 한 장면씩 보여지는 0:03:33.652,0:03:36.116 영상이 있습니다 0:03:36.116,0:03:37.226 이 정도 속도의 변화와 0:03:37.226,0:03:39.474 그림 사이에 텅빈 간격으로는, 0:03:39.474,0:03:41.935 그 어떤 움직임도[br]지각되지 않습니다. 0:03:41.935,0:03:44.055 암전 시간을 조금 줄이면, 0:03:44.055,0:03:46.865 위치의 미세한 변화가[br]조금 눈에 띕니다, 0:03:46.865,0:03:48.940 이후 우리는 다른 장면들 사이에 0:03:48.940,0:03:50.982 어렴풋이 움직임을[br]느끼기 시작합니다. 0:03:50.982,0:03:53.332 초당 한 장면, 0:03:55.517,0:03:57.470 초당 두 장면, 0:03:59.362,0:04:01.459 초당 네 장면. 0:04:02.383,0:04:04.274 이제 우리는 움직임을[br]느끼기 시작하는데요, 0:04:04.274,0:04:06.523 사실 부드럽지는 않습니다. 0:04:06.523,0:04:07.690 우리는 아직도[br]여러 다른 그림들을 0:04:07.690,0:04:09.346 보고있다는 걸 알고 있죠. 0:04:09.346,0:04:10.417 자 속도를 올려볼까요, 0:04:10.417,0:04:12.228 1초에 여덟 장면, 0:04:13.889,0:04:15.683 1초에 열 두 장면, 0:04:16.329,0:04:18.563 거의 다 된 것 같은데요. 0:04:21.440,0:04:22.890 1초에 스물 네 장면, 0:04:22.890,0:04:24.772 움직임이 더욱 부드러워 보입니다. 0:04:24.772,0:04:26.773 이게 기본적인 최고 속도입니다. 0:04:28.157,0:04:30.419 그럼, 우리가 중간 간격에 대한[br]인식을 하지 못하고 0:04:30.419,0:04:31.875 움직임으로써 보는 지점은 0:04:31.875,0:04:35.745 초당 여덟 장면에서 열 두 장면[br]사이인것 같군요. 0:04:35.745,0:04:36.595 이게 과학이 결정한 0:04:36.595,0:04:37.931 분리된 이미지라고 인식하는 0:04:37.931,0:04:39.685 일반적인 임계값의 0:04:39.685,0:04:41.760 근처입니다. 0:04:41.760,0:04:43.853 일반적으로 말해, 우리는[br]그림 사이의 간격을 0:04:43.853,0:04:46.722 100 밀리초(millisecond) 근처에서[br]인식하지 못하기 시작하는데, 0:04:46.722,0:04:48.150 이것을 장면 비율(frame rate)으로 따지면 0:04:48.150,0:04:50.152 초당 열 장면과 동일합니다. 0:04:50.152,0:04:51.347 장면 비율이 증가할수록, 0:04:51.347,0:04:53.481 그림 사이의 간격에 대한[br]인식을 아예 잃어버리고 0:04:53.481,0:04:54.780 우리 모두는 착시의 현실에 의해 0:04:54.780,0:04:56.372 설득되어 버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