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TED-Ed 수업 만들기: 슬램 포에트리를 움직이게 하는 두가지 방법

  • 0:06 - 0:09
    이 짧은 비디오에서,
    우리가
  • 0:09 - 0:10
    두개의 다른 기술인,
  • 0:10 - 0:13
    로토스코핑(rotoscoping)과
    기존방식의 손으로 그린 에니메이션
  • 0:13 - 0:15
    두가지 기술을TED-Ed 강의에서
    어떻게 사용하는지 보여드리겠습니다.
  • 0:15 - 0:19
    "미스 게일의 슬램 시 로의 5단계:
    (Miss Gayle's 5 Steps to Slam Poetry):
  • 0:19 - 0:22
    변형의 수업 (A Lesson of
    Transformation)" 에서요.
  • 0:22 - 0:27
    [슬램 시란 무엇인가?
    [왜 두가지 영상기법을 이용하는가?]
  • 0:27 - 0:28
    포에트리 슬램 (poetry slam)은
    경쟁입니다.
  • 0:28 - 0:31
    어떤 시인들이 그들의 시를
  • 0:31 - 0:32
    종종 감정의 힘에 관한 자질과
  • 0:32 - 0:34
    서정적인 반향에 대해 평가받죠.
  • 0:34 - 0:36
    이 수업은 게일 댄리(Gayle Danley)
    에 의해 제작되었습니다.
  • 0:36 - 0:38
    그녀는 슬램 시인 숙련가인데
  • 0:38 - 0:39
    10년을 아이들에게
  • 0:39 - 0:42
    음성언어 (구어)로 자신을
    표현하는것을 가르치는 데 종사했죠.
  • 0:42 - 0:44
    시를 만들 수 있도록
  • 0:44 - 0:46
    긴급성과 힘으로
    지침서를 제공하는 수업은,
  • 0:46 - 0:49
    또한 바로 그 긴급성과 힘에 대한
    바로 그 예시의 역할을 합니다.
  • 0:49 - 0:51
    그것은 시의 형태로
    전달된 이야기인데,
  • 0:51 - 0:53
    실제로 감성적인
    강한타격을 포용합니다.
  • 0:53 - 0:55
    그녀가
    타일러(Tyler)를 소개합니다.
  • 0:55 - 0:57
    그는 11학년의
    작문수업을 받고있는데,
  • 0:57 - 0:59
    그의 개인적인 경험에 기반을 둔
    시를 쓰는 과제에 대해
  • 0:59 - 1:01
    힘겨워하고 있습니다.
  • 1:01 - 1:04
    그 이야기는
    두가지 관점으로 전달됩니다.
  • 1:04 - 1:05
    하나는 외부적이고,
  • 1:05 - 1:06
    또하나는 내부적이죠.
  • 1:06 - 1:08
    미스 게일(Miss Gayle)의
    담화는 외부세계의
  • 1:08 - 1:10
    무대환경을 설정하고,
  • 1:10 - 1:12
    음성언어 예술가 페이지스 D. 마탄
    (Pages D. Matan)은
  • 1:12 - 1:14
    타일러(Tyler)의
    내면의 목소리를 수행합니다.
  • 1:14 - 1:15
    이 내면과 외부 경험의
  • 1:15 - 1:17
    두군데의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서,
  • 1:17 - 1:18
    각 영역을 묘사하려고,
  • 1:18 - 1:20
    다른 에니메이션 기술이
    사용되었습니다.
  • 1:20 - 1:22
    실제 세계는
    로토스코핑에 의해 에니메이션으로,
  • 1:22 - 1:25
    라이브 액션 장면의
    프레임별 추적과 더불어
  • 1:25 - 1:27
    흑백의 라인 예술로
    만들어졌습니다.
  • 1:27 - 1:28
    타일러의 기억의 의식세계의
  • 1:28 - 1:31
    내면의 흐름을 묘사한 에니메이션은
  • 1:31 - 1:32
    종이위에 전통적으로 그려졌는데,
  • 1:32 - 1:34
    물색의 배경과
  • 1:34 - 1:36
    더 많은 표현적인 디자인을
    특징으로 합니다.
  • 1:36 - 1:38
    일단 이 일반적인 접근이 결정되면,
  • 1:38 - 1:41
    그 프로젝트는
    사전 제작단계로 바로 들어갑니다.
  • 1:41 - 1:45
    [사전제작이란 무었인가?]
    [무엇이 중요한가?]
  • 1:45 - 1:48
    에니메이션에서,
    사전 제작은 계획단계입니다.
  • 1:48 - 1:49
    그것은 해야될 필요가 있는
  • 1:49 - 1:51
    촬영되고 실제로 그 일을
  • 1:51 - 1:52
    최종형태로 만들기 이전의
    모든 결정들을 의미합니다.
  • 1:52 - 1:53
    이 단계는
  • 1:53 - 1:55
    그 작품의 외관이나 디자인을
  • 1:55 - 1:57
    색깔과 카메라 각도로 실험하고,
  • 1:57 - 1:59
    스크립트를 수정하는 기타의
    개발단계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 1:59 - 2:01
    이러한 모든 결정은
  • 2:01 - 2:03
    그들이 얼마나 많은 작업과 시간이
  • 2:03 - 2:04
    그 제작에 걸릴 지를
    결정하므로 중요한 것입니다.
  • 2:04 - 2:06
    이 단계에서 작업을 이해하기위해
    소모되는 여분의 시간은
  • 2:06 - 2:09
    나중에 자주
    시간을 절약하게 합니다.
  • 2:09 - 2:11
    우리의 프로젝트를 위해서,
    스토리보드를 처음으로 만들었는데,
  • 2:11 - 2:13
    그 안에는 각 장면을 위한
  • 2:13 - 2:15
    프레임, 구성, 그리고
    이미지가 결정되었습니다.
  • 2:15 - 2:16
    그 다음에,
    에니마틱이 만들어졌는데,
  • 2:16 - 2:18
    그것은 기본적으로
    스토리보드의 영화입니다.
  • 2:18 - 2:21
    이것은 우리가 각 장면의
    타이밍을 파악하는 것을 돕습니다.
  • 2:21 - 2:22
    그것은 또한
  • 2:22 - 2:24
    어떻게 모든것이 함께 시각적으로
    잘 흐를지에 대해 추측하게 합니다.
  • 2:24 - 2:25
    우리의 로토스코프와
  • 2:25 - 2:27
    기존의 방식으로 움직이게
    만들어진 장면들 사이에서
  • 2:27 - 2:29
    일단 그것들이 짜맞추어지면요.
  • 2:29 - 2:32
    [로토스코프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영상은 어떻게 짜맞추어지는가?]
  • 2:32 - 2:35
    로토스코프로 만들어진
    장면들을 위해서, 우리는 먼저
  • 2:35 - 2:38
    라이브 액션 장면들이
    추적되게 만들어야했죠.
  • 2:38 - 2:40
    우리의 조촐한 사무실에서
    우리가 가진것을 가지고 작업하면서,
  • 2:40 - 2:42
    우리는 교실의 책상을
  • 2:42 - 2:44
    단지 하나의 작은 테이블을
    이용하여 만들었습니다.
  • 2:45 - 2:47
    우리는 이것을 여러번
  • 2:47 - 2:49
    스토리보드에 필요한
    각각의 각도에서
  • 2:49 - 2:50
    우리의 동료중
  • 2:50 - 2:53
    매번 다른 지원자와
    함께 찍었죠.
  • 2:53 - 2:54
    우리의 영상 출처의 요소가
  • 2:54 - 2:56
    그 다음에 합성되거나
  • 2:56 - 2:58
    또는 함께 짜맞추어지고
    배열될 필요가 있습니다
  • 2:58 - 2:59
    우리가 그것들을
    로토스코프로 찍기전에요.
  • 2:59 - 3:01
    합성은 특수효과의 용어입니다.
  • 3:01 - 3:04
    개별적으로 만들어진 장면 안에
  • 3:04 - 3:06
    두개 이상의 요소가
    조합된 장면에 대한거죠.
  • 3:06 - 3:07
    이렇게 하기위해,
    사후효과를 사용했습니다.
  • 3:07 - 3:10
    디지털 합성및
    모션 그래픽 프로그램이죠.
  • 3:10 - 3:11
    첫번째 단계는
  • 3:11 - 3:13
    우리가 필요했던 프레임을
  • 3:13 - 3:15
    불필요한 음화 부분을
    마스크 오프시키거나,
  • 3:15 - 3:17
    우리가 불필요했던 프레임의
    일부로 고립시키는 것입니다.
  • 3:17 - 3:19
    개별촬영이 그 다음에 각 층은
  • 3:19 - 3:20
    동시에 모든 등장인물들의 균형을 잡고
  • 3:20 - 3:22
    그들의 착시현상을 만들기 위해
  • 3:22 - 3:23
    크기를 재조정하고 적절하게 배열하여
  • 3:23 - 3:27
    하나의 합성장면으로 들어갔죠.
  • 3:27 - 3:28
    매 세번째 프레임은 그 다음에
  • 3:28 - 3:30
    이미지 시퀀스(순서)로써
  • 3:30 - 3:32
    로토스코프가 찍을 준비가 되어
    엑스포트되었죠.
  • 3:32 - 3:33
    추적은 디지털로,
  • 3:33 - 3:37
    신팈 (Cintiq (그리기 소프트웨어))
    모니터위에서 직접 그려졌죠.
  • 3:39 - 3:43
    [기존의 영상기법은
    로토스코핑과 어떻게 다른가?]
  • 3:43 - 3:44
    나머지 에니메이션은
  • 3:44 - 3:45
    종이위에서 손으로 완성되었습니다.
  • 3:45 - 3:47
    고토스코프로 찍는것과는 달리,
  • 3:47 - 3:49
    여기서 에니메이션의
    타이밍과 움직임은
  • 3:49 - 3:51
    사전에 에니메이션 제작자
    (animator)에 의해 계획되었습니다.
  • 3:51 - 3:53
    그 다음에는, 적절한 수의 그림이
  • 3:53 - 3:56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완성되었습니다.
  • 3:56 - 3:58
    그 다음에는, 각 에니메이션 그림이
    컴퓨터에서 스캔되었고,
  • 3:58 - 3:59
    레지스터되었고,
  • 3:59 - 4:02
    함께 순서대로 컴퓨터에
    정리되었습니다.
  • 4:02 - 4:04
    그 다음에
    그 에니메이션 시퀀스(순서)는
  • 4:04 - 4:07
    겹겹이 쌓여진
    배경의 예술과 함께 합성되었습니다.
  • 4:07 - 4:11
    카메라 움직임이 그 다음에
    구상되어 실행되었습니다.
  • 4:14 - 4:17
    [시와 영상은 어떻게 비슷한가?]
  • 4:17 - 4:19
    감정과 아이디어를 소통하기 위해서
    시(詩)가 언어를
  • 4:19 - 4:20
    이용하는 한가지 방식은
  • 4:20 - 4:22
    메타포(은유)의
    이용을 통해서입니다.
  • 4:22 - 4:26
    "엄마의 거짓말은
    너무 많아서 셀 수도 없는
  • 4:26 - 4:29
    변명을 만드는
    까만색 눈위의 발자국이다."
  • 4:29 - 4:31
    에니메이션은 또한
  • 4:31 - 4:34
    시각적인 메타포를 통해
    감정과 아이디어를 소통하는 데
  • 4:34 - 4:36
    독특하게 아주 적합한 매체입니다.
  • 4:36 - 4:38
    로토스코프로 된것과
    전통적인 에니메이션의
  • 4:38 - 4:40
    각각 그들 자신의
    본질적인 모습으로
  • 4:40 - 4:42
    두가지 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 4:42 - 4:43
    수업에서 묘사된
  • 4:43 - 4:45
    창조적인 과정의 두가지의 본성을
  • 4:45 - 4:47
    우리가 시각적으로
    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합니다.
  • 4:47 - 4:49
    경험과 기억의
    내면적인 측면이 있는데,
  • 4:49 - 4:51
    그것은 영감을 위해 채굴되었고,
  • 4:51 - 4:52
    구성된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 4:52 - 4:55
    그것을 세상에 폭로하는 것에 대한
    외부적인 측면이 있습니다.
  • 4:55 - 4:57
    우리는 타일러가 그의 시를
    세상에 전달하는 데 대한
  • 4:57 - 4:59
    마지막 장면들을 위해
    두가지 기술 모두를 합성하여
  • 4:59 - 5:01
    커뮤니케이션의 그 순간의 힘을
  • 5:01 - 5:03
    우리가 직접, 시각적인 방법으로
    전달하는게 가능하게 합니다.
  • 5:03 - 5:05
    내면적인 것이
    외부적인 것이 되는 경우,
  • 5:05 - 5:07
    그것이 시와 에니메이션
    두가지 모두에서,
  • 5:07 - 5:10
    마법이 일어나는 곳이죠.
Title:
TED-Ed 수업 만들기: 슬램 포에트리를 움직이게 하는 두가지 방법
Description:

전체강의 보기: http://ed.ted.com/lessons/become-a-slam-poet-in-five-steps-gayle-danley
원래강의 보기: http://ed.ted.com/lessons/become-a-slam-poet-in-five-steps-gayle-danley

슬램 포에트리는 강력한 구어적 메타포를 이용하여 감정적인 강한타격을 감싸안는다. TED-ed 에니메이션 제작자들은 두가지 개별적인 기술 --로토스코핑과 더 전통적인 손으로 그린 에니메이션--이 어떻게 슬램시인이 되는 겹겹이 쌓인 과정에 생명을 주는지를 보여준다.

강의와 에니메이션: TED-Ed.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closed TED
Project:
TED-Ed
Duration:
05:25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