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분은 뇌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 니콜 아베나 (Nicole Avena)
-
0:07 - 0:09따끈하고 부드러운 쿠키를 그려보세요.
-
0:09 - 0:11바삭바삭한 사탕,
-
0:11 - 0:12부드러운 케잌,
-
0:12 - 0:15아이스크림이 잔뜩 들어있는 와플.
-
0:15 - 0:17입맛을 다시게 되죠?
-
0:17 - 0:18디저트를 원하시나요?
-
0:18 - 0:19왜요?
-
0:19 - 0:20뇌 속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길래
-
0:20 - 0:23단 음식을 거부할 수 없을까요?
-
0:23 - 0:25당분은 탄수화물이라고 하는
-
0:25 - 0:27분자의 한 부류를 나타내는
-
0:27 - 0:28일반적인 용어입니다.
-
0:28 - 0:31다양한 음식과 음료에서 발견되죠.
-
0:31 - 0:34달콤한 제품을 구입했을 때
성분표시를 확인해보세요. -
0:34 - 0:35포도당,
-
0:35 - 0:36과당,
-
0:36 - 0:37자당,
-
0:37 - 0:37엿당,
-
0:37 - 0:38젖당,
-
0:38 - 0:39우선당,
-
0:39 - 0:40녹말 등은
-
0:40 - 0:41모두 당분 종류입니다.
-
0:41 - 0:44과당이 많은 곡물 시럽,
-
0:44 - 0:44과일 쥬스,
-
0:44 - 0:45원당,
-
0:45 - 0:47벌꿀도 그렇습니다.
-
0:47 - 0:49당분은 사탕과 디저트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
0:49 - 0:51토마토 소스에도 들어가고,
-
0:51 - 0:52요거트,
-
0:52 - 0:53말린 과일,
-
0:53 - 0:54향을 첨가한 물,
-
0:54 - 0:56견과류 과자에도 들어갑니다.
-
0:56 - 0:57당분은 어디에나 들어가기 때문에
-
0:57 - 0:58중요하게 알아야 할 점은 당분이
-
0:58 - 1:00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것입니다.
-
1:00 - 1:02당분이 혀에 닿을때 어떤 일이 일이 일어나죠?
-
1:02 - 1:04당분을 조금 먹으면
-
1:04 - 1:05더 먹고 싶게 됩니까?
-
1:05 - 1:07여러분이 곡물을 한입 먹습니다.
-
1:07 - 1:08여기에 포함된 당분은
-
1:08 - 1:11혀에 있는 맛봉오리 일부인
-
1:11 - 1:13단맛 수용체를 작동시킵니다.
-
1:13 - 1:16이 수용체는 뇌간까지 신호를 보내고
-
1:16 - 1:17거기에서 나뉘어져
-
1:17 - 1:19앞쪽 뇌의 여러 부분으로 갑니다.
-
1:19 - 1:22그 중 하나는 대뇌피질입니다.
-
1:22 - 1:24대뇌피질의 다른 부분은
-
1:24 - 1:26다른 맛을 처리합니다:
-
1:26 - 1:26쓴맛,
-
1:26 - 1:27짠맛,
-
1:27 - 1:28감칠맛,
-
1:28 - 1:30이 경우엔, 단맛이죠.
-
1:30 - 1:31여기서부터 이 신호는
-
1:31 - 1:33뇌의 보상 시스템을 작동시킵니다.
-
1:33 - 1:35이 보상 시스템은
-
1:35 - 1:37전기, 화학적 경로의 연속이며
-
1:37 - 1:40뇌의 여러가지 다른 부분을 거쳐갑니다.
-
1:40 - 1:41그건 복잡한 그물망인데,
-
1:41 - 1:44잠재 의식 속 한가지 질문에
대답하게 합니다. -
1:44 - 1:46'또 다시 먹어야 할까?'
-
1:46 - 1:47할머니의 초컬릿 케익을 맛볼 때
-
1:47 - 1:50그 따뜻하고 알쏭달쏭한 느낌?
-
1:50 - 1:51여러분의 보상 시스템은 말하죠,
-
1:51 - 1:53"음, 좋아!"
-
1:53 - 1:55보상 시스템은 단지
음식으로만 작동하는건 아닙니다. -
1:55 - 1:56사교,
-
1:56 - 1:57성적 행동,
-
1:57 - 1:57약물은
-
1:57 - 1:59그런 보상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
1:59 - 2:00물질 및 경험의
-
2:00 - 2:03몇가지 예입니다.
-
2:03 - 2:05하지만 이 보상 시스템을 너무 활성화하면
-
2:05 - 2:08불행한 일이 연속으로 시작됩니다.
-
2:08 - 2:09자제력 상실,
-
2:09 - 2:10갈망,
-
2:10 - 2:13당분에 대한 내성 증가입니다.
-
2:13 - 2:15곡물 한입을 먹었던 곳으로 돌아가봅시다.
-
2:15 - 2:17곡물은 뱃속으로 내려가서
-
2:17 - 2:19결국 내장에 들어갑니다.
-
2:19 - 2:20상상해보세요.
-
2:20 - 2:22여기에도 당분 수용체가 있습니다.
-
2:22 - 2:23그건 맛봉오리가 아니지만
-
2:23 - 2:25뇌에 신호를 보냅니다
-
2:25 - 2:27포만감
-
2:27 - 2:29또는 몸이 인슐린을 더 생산해서
-
2:29 - 2:31여러분이 먹는 추가의 당분을
처리해야 한다는 것 등이죠. -
2:31 - 2:32보상 시스템의 주된 흐름은
-
2:32 - 2:35도파민입니다.
-
2:35 - 2:37중요한 화학 물질인 신경 전달 물질이죠.
-
2:37 - 2:40앞쪽 뇌에는 도파민 수용체가 많이 있습니다만
-
2:40 - 2:42고르게 분포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
2:42 - 2:45어떤 부분에는 수용체가 빽빽하게 모여있고,
-
2:45 - 2:46이렇게 도파민이 많은 지점이
-
2:46 - 2:48보상 시스템의 일부입니다.
-
2:48 - 2:50알콜과 같은 약물,
-
2:50 - 2:50니코틴,
-
2:50 - 2:51또는 헤로인은
-
2:51 - 2:53도파민을 과다하게 분비시키고,
-
2:53 - 2:56어떤 사람들은 도파민이 높은 상태를
계속 갈구하게 됩니다. -
2:56 - 2:59다른 말로 중독이라고 하지요.
-
2:59 - 3:01당분은 약물만큼 격하게는 아니지만
-
3:01 - 3:03도파민을 방출시켜줍니다.
-
3:03 - 3:06음식 중에 당분만큼
도파민을 유도하는 것은 드뭅니다. -
3:06 - 3:09예들 들면, 브로콜리는 그 효과가 없습니다,
-
3:09 - 3:10아마도 그렇기 때문에
-
3:10 - 3:13아이들이 채소를 먹도록 하는게 어렵겠죠.
-
3:13 - 3:14건강한 음식에 관해 말하자면
-
3:14 - 3:16여러분이 배가 고프고
-
3:16 - 3:18균형잡힌 식사를 하기로 했다고 합시다.
-
3:18 - 3:20그러면 보상 시스템이 많은 지점에서
-
3:20 - 3:21도파민 자극이 발생합니다.
-
3:21 - 3:25하지만 같은 음식을
여러날 동안 계속 먹으면 -
3:25 - 3:27도파민 자극은 점점 더 적어지고
-
3:27 - 3:29마침내 평평한 상태가 됩니다.
-
3:29 - 3:31그렇기 때문에 음식과 관련해서
-
3:31 - 3:33뇌는 새롭거나 다른 맛에
-
3:33 - 3:35특별한 관심을 보이도록 발달했습니다.
-
3:35 - 3:36왜일까요?
-
3:36 - 3:37두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
3:37 - 3:39첫째, 상한 음식을 가려내기 위해서입니다.
-
3:39 - 3:42둘째, 우리가 식사를 할 때
-
3:42 - 3:43더욱 다양하게 할 수록
-
3:43 - 3:44우리가 필요로 하는 모든 영양분을 얻는
-
3:44 - 3:46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
3:46 - 3:47그런 다양성을 유지하려면
-
3:47 - 3:50우리는 새로운 음식을 인식할 필요가 있고
-
3:50 - 3:51더 중요하게는
-
3:51 - 3:54새로운 음식을 먹고 싶어 해야 합니다.
-
3:54 - 3:56바로 그것이 음식이 지겨워질 때
-
3:56 - 3:57도파민 자극이 적어지는 이유입니다.
-
3:57 - 3:59자, 식사로 돌아가봅시다.
-
3:59 - 4:00만약 건강하고 균형잡힌 식사 대신에
-
4:00 - 4:02당분이 많은 음식을 먹으면
-
4:02 - 4:04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
4:04 - 4:06만약 당분을 드물게 먹거나
-
4:06 - 4:07한번에 많이 먹지 않으면
-
4:07 - 4:10그 효과는 균형잡힌 식사와 비슷합니다.
-
4:10 - 4:11하지만 너무 많이 먹으면
-
4:11 - 4:14도파민 반응은 평평해지지 않습니다.
-
4:14 - 4:15다시 말해, 당분을 과다섭취하면
-
4:15 - 4:18보상 받는 느낌이 지속됩니다.
-
4:18 - 4:21이리하여 당분은 약물과 조금 비슷합니다.
-
4:21 - 4:23그것이 사람들이 단 음식에 중독되는
-
4:23 - 4:25한가지 이유입니다.
-
4:25 - 4:27그러니 다양한 종류의 당분을 되돌아보세요.
-
4:27 - 4:29각각은 특유하지만
-
4:29 - 4:31어떤 당분이든 소비될 때마다
-
4:31 - 4:33뇌에서 연쇄 반응을 일으켜
-
4:33 - 4:35보상받는 느낌을 줍니다.
-
4:35 - 4:37너무 많이, 너무 자주,
-
4:37 - 4:39그러면 과다해질 수 있습니다.
-
4:39 - 4:41네, 당분의 과소비는
-
4:41 - 4:43뇌에 중독 효과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4:43 - 4:46하지만 가끔 먹는 케익 한조각은 괜찮습니다.
- Title:
- 당분은 뇌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 니콜 아베나 (Nicole Avena)
- Speaker:
- Nicole Avena
- Description:
-
전체 강연 보기: http://ed.ted.com/lessons/how-sugar-affects-the-brain-nicole-avena
당분이 포함된 음식을 먹을 때, 여러분의 맛봉우리와 내장과 뇌는 당분을 모두 알아차립니다. 보상 시스템이 작동하는 것은 몸이 알콜이나 니코틴과 같은 중독성 물질을 처리하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당분의 과다섭취는 도파민 분비를 일으키고 더욱 갈망하게 합니다. 니콜 아베나는 왜 달콤한 것을 적당히 즐겨야 하는지 설명합니다.
강의: 니콜 아베나,
그림: STK 필름.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Ed
- Duration:
- 05:03
![]() |
Michelle Mehrtens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sugar affects the brain | |
![]() |
TED Translators admin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sugar affects the brain | |
![]() |
K Bang commented on Korean subtitles for How sugar affects the brain | |
![]() |
K B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sugar affects the brain | |
![]() |
K B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sugar affects the brain | |
![]() |
K B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sugar affects the brain | |
![]() |
K Bang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How sugar affects the brain | |
![]() |
K B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sugar affects the brain |
Retired user
18.834"뇌 속에서 무엇이 벌어지길래"->"뇌 속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길래"로 조금 더 매끄럽게 바꾸었습니다.
52.877"맛 들인 물"->"향을 첨가한 물"로 매끄럽게 바꾸었습니다.
2.23.335"뇌에다 신호를 보냅니다"
->"뇌에 신호를 보냅니다"로 필요없는 "다"를 뺐습니다.
3.09.738"아이들이 채소를 먹게 하는게 어려울 것입니다"->"아이들이 채소를 먹도록 하는게 어려울 것입니다" 로 '게'가 두 번 반복되어 어색한것을 고쳤습니다.
4.15.493"보상받는 느낌이 지속됩니다."
->"보상 받는 느낌이 지속됩니다."로 띄어쓰기 하였습니다.
설명의 "당분이 포함된 것을 먹을때, 여러분의 맛봉우리와 내장과 뇌는 모두 알아차립니다"->"당분이 포함된 음식을 먹을때, 여러분의 맛봉우리와 내장과 뇌는 당분을 모두 알아차립니다." '것'을 구체적인 단어인 음식으로 바꾸고 목적어가 빠진 문장에 목적어를 넣었습니다.
전체적으로 번역이 매우 훌륭하여 바로 Accept하였습니다. 부족하나마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K Bang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