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6,825 --> 00:00:09,101 따끈하고 부드러운 쿠키를 그려보세요. 2 00:00:09,101 --> 00:00:10,513 바삭바삭한 사탕, 3 00:00:10,513 --> 00:00:12,076 부드러운 케잌, 4 00:00:12,076 --> 00:00:14,693 아이스크림이 잔뜩 들어있는 와플. 5 00:00:14,693 --> 00:00:16,670 입맛을 다시게 되죠? 6 00:00:16,670 --> 00:00:17,538 디저트를 원하시나요? 7 00:00:17,538 --> 00:00:18,843 왜요? 8 00:00:18,843 --> 00:00:20,338 뇌 속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길래 9 00:00:20,338 --> 00:00:22,946 단 음식을 거부할 수 없을까요? 10 00:00:22,946 --> 00:00:24,559 당분은 탄수화물이라고 하는 11 00:00:24,559 --> 00:00:26,549 분자의 한 부류를 나타내는 12 00:00:26,549 --> 00:00:28,427 일반적인 용어입니다. 13 00:00:28,427 --> 00:00:31,278 다양한 음식과 음료에서 발견되죠. 14 00:00:31,278 --> 00:00:34,212 달콤한 제품을 구입했을 때 성분표시를 확인해보세요. 15 00:00:34,212 --> 00:00:34,913 포도당, 16 00:00:34,913 --> 00:00:35,695 과당, 17 00:00:35,695 --> 00:00:36,627 자당, 18 00:00:36,627 --> 00:00:37,495 엿당, 19 00:00:37,495 --> 00:00:38,295 젖당, 20 00:00:38,295 --> 00:00:38,969 우선당, 21 00:00:38,969 --> 00:00:39,681 녹말 등은 22 00:00:39,681 --> 00:00:41,445 모두 당분 종류입니다. 23 00:00:41,445 --> 00:00:43,525 과당이 많은 곡물 시럽, 24 00:00:43,525 --> 00:00:44,309 과일 쥬스, 25 00:00:44,309 --> 00:00:45,294 원당, 26 00:00:45,294 --> 00:00:46,521 벌꿀도 그렇습니다. 27 00:00:46,521 --> 00:00:49,073 당분은 사탕과 디저트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28 00:00:49,073 --> 00:00:51,188 토마토 소스에도 들어가고, 29 00:00:51,188 --> 00:00:51,846 요거트, 30 00:00:51,846 --> 00:00:52,777 말린 과일, 31 00:00:52,777 --> 00:00:53,856 향을 첨가한 물, 32 00:00:53,856 --> 00:00:55,700 견과류 과자에도 들어갑니다. 33 00:00:55,700 --> 00:00:56,603 당분은 어디에나 들어가기 때문에 34 00:00:56,603 --> 00:00:58,026 중요하게 알아야 할 점은 당분이 35 00:00:58,026 --> 00:00:59,906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것입니다. 36 00:00:59,906 --> 00:01:02,275 당분이 혀에 닿을때 어떤 일이 일이 일어나죠? 37 00:01:02,275 --> 00:01:03,528 당분을 조금 먹으면 38 00:01:03,528 --> 00:01:05,480 더 먹고 싶게 됩니까? 39 00:01:05,480 --> 00:01:07,025 여러분이 곡물을 한입 먹습니다. 40 00:01:07,025 --> 00:01:08,276 여기에 포함된 당분은 41 00:01:08,276 --> 00:01:10,528 혀에 있는 맛봉오리 일부인 42 00:01:10,528 --> 00:01:12,770 단맛 수용체를 작동시킵니다. 43 00:01:12,770 --> 00:01:15,771 이 수용체는 뇌간까지 신호를 보내고 44 00:01:15,771 --> 00:01:17,375 거기에서 나뉘어져 45 00:01:17,375 --> 00:01:19,261 앞쪽 뇌의 여러 부분으로 갑니다. 46 00:01:19,261 --> 00:01:21,813 그 중 하나는 대뇌피질입니다. 47 00:01:21,813 --> 00:01:23,964 대뇌피질의 다른 부분은 48 00:01:23,964 --> 00:01:25,864 다른 맛을 처리합니다: 49 00:01:25,864 --> 00:01:26,399 쓴맛, 50 00:01:26,399 --> 00:01:26,985 짠맛, 51 00:01:26,985 --> 00:01:27,711 감칠맛, 52 00:01:27,711 --> 00:01:29,823 이 경우엔, 단맛이죠. 53 00:01:29,823 --> 00:01:31,328 여기서부터 이 신호는 54 00:01:31,328 --> 00:01:33,440 뇌의 보상 시스템을 작동시킵니다. 55 00:01:33,440 --> 00:01:34,909 이 보상 시스템은 56 00:01:34,909 --> 00:01:37,125 전기, 화학적 경로의 연속이며 57 00:01:37,125 --> 00:01:39,749 뇌의 여러가지 다른 부분을 거쳐갑니다. 58 00:01:39,749 --> 00:01:40,873 그건 복잡한 그물망인데, 59 00:01:40,873 --> 00:01:44,171 잠재 의식 속 한가지 질문에 대답하게 합니다. 60 00:01:44,171 --> 00:01:45,877 '또 다시 먹어야 할까?' 61 00:01:45,877 --> 00:01:47,413 할머니의 초컬릿 케익을 맛볼 때 62 00:01:47,413 --> 00:01:49,501 그 따뜻하고 알쏭달쏭한 느낌? 63 00:01:49,501 --> 00:01:51,295 여러분의 보상 시스템은 말하죠, 64 00:01:51,295 --> 00:01:52,753 "음, 좋아!" 65 00:01:52,753 --> 00:01:55,090 보상 시스템은 단지 음식으로만 작동하는건 아닙니다. 66 00:01:55,090 --> 00:01:55,935 사교, 67 00:01:55,935 --> 00:01:56,795 성적 행동, 68 00:01:56,795 --> 00:01:57,469 약물은 69 00:01:57,469 --> 00:01:58,931 그런 보상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70 00:01:58,931 --> 00:02:00,346 물질 및 경험의 71 00:02:00,346 --> 00:02:02,959 몇가지 예입니다. 72 00:02:02,959 --> 00:02:05,145 하지만 이 보상 시스템을 너무 활성화하면 73 00:02:05,145 --> 00:02:08,435 불행한 일이 연속으로 시작됩니다. 74 00:02:08,435 --> 00:02:09,268 자제력 상실, 75 00:02:09,268 --> 00:02:10,199 갈망, 76 00:02:10,199 --> 00:02:12,711 당분에 대한 내성 증가입니다. 77 00:02:12,711 --> 00:02:15,054 곡물 한입을 먹었던 곳으로 돌아가봅시다. 78 00:02:15,054 --> 00:02:17,069 곡물은 뱃속으로 내려가서 79 00:02:17,069 --> 00:02:18,912 결국 내장에 들어갑니다. 80 00:02:18,912 --> 00:02:19,949 상상해보세요. 81 00:02:19,949 --> 00:02:22,380 여기에도 당분 수용체가 있습니다. 82 00:02:22,380 --> 00:02:23,335 그건 맛봉오리가 아니지만 83 00:02:23,335 --> 00:02:24,755 뇌에 신호를 보냅니다 84 00:02:24,755 --> 00:02:26,587 포만감 85 00:02:26,587 --> 00:02:28,709 또는 몸이 인슐린을 더 생산해서 86 00:02:28,709 --> 00:02:31,003 여러분이 먹는 추가의 당분을 처리해야 한다는 것 등이죠. 87 00:02:31,003 --> 00:02:32,428 보상 시스템의 주된 흐름은 88 00:02:32,428 --> 00:02:34,563 도파민입니다. 89 00:02:34,563 --> 00:02:37,153 중요한 화학 물질인 신경 전달 물질이죠. 90 00:02:37,153 --> 00:02:39,684 앞쪽 뇌에는 도파민 수용체가 많이 있습니다만 91 00:02:39,684 --> 00:02:41,840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92 00:02:41,840 --> 00:02:44,724 어떤 부분에는 수용체가 빽빽하게 모여있고, 93 00:02:44,724 --> 00:02:46,312 이렇게 도파민이 많은 지점이 94 00:02:46,312 --> 00:02:48,481 보상 시스템의 일부입니다. 95 00:02:48,481 --> 00:02:49,767 알콜과 같은 약물, 96 00:02:49,767 --> 00:02:50,436 니코틴, 97 00:02:50,436 --> 00:02:51,361 또는 헤로인은 98 00:02:51,361 --> 00:02:53,366 도파민을 과다하게 분비시키고, 99 00:02:53,366 --> 00:02:56,449 어떤 사람들은 도파민이 높은 상태를 계속 갈구하게 됩니다. 100 00:02:56,449 --> 00:02:58,645 다른 말로 중독이라고 하지요. 101 00:02:58,645 --> 00:03:01,071 당분은 약물만큼 격하게는 아니지만 102 00:03:01,071 --> 00:03:03,238 도파민을 방출시켜줍니다. 103 00:03:03,238 --> 00:03:06,400 음식 중에 당분만큼 도파민을 유도하는 것은 드뭅니다. 104 00:03:06,400 --> 00:03:08,652 예들 들면, 브로콜리는 그 효과가 없습니다, 105 00:03:08,652 --> 00:03:09,738 아마도 그렇기 때문에 106 00:03:09,738 --> 00:03:12,837 아이들이 채소를 먹도록 하는게 어렵겠죠. 107 00:03:12,837 --> 00:03:14,416 건강한 음식에 관해 말하자면 108 00:03:14,416 --> 00:03:15,620 여러분이 배가 고프고 109 00:03:15,620 --> 00:03:17,597 균형잡힌 식사를 하기로 했다고 합시다. 110 00:03:17,597 --> 00:03:19,683 그러면 보상 시스템이 많은 지점에서 111 00:03:19,683 --> 00:03:21,349 도파민 자극이 발생합니다. 112 00:03:21,349 --> 00:03:24,730 하지만 같은 음식을 여러날 동안 계속 먹으면 113 00:03:24,730 --> 00:03:27,063 도파민 자극은 점점 더 적어지고 114 00:03:27,063 --> 00:03:28,998 마침내 평평한 상태가 됩니다. 115 00:03:28,998 --> 00:03:30,643 그렇기 때문에 음식과 관련해서 116 00:03:30,643 --> 00:03:33,077 뇌는 새롭거나 다른 맛에 117 00:03:33,077 --> 00:03:34,955 특별한 관심을 보이도록 발달했습니다. 118 00:03:34,955 --> 00:03:35,900 왜일까요? 119 00:03:35,900 --> 00:03:37,070 두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20 00:03:37,070 --> 00:03:39,444 첫째, 상한 음식을 가려내기 위해서입니다. 121 00:03:39,444 --> 00:03:41,731 둘째, 우리가 식사를 할 때 122 00:03:41,731 --> 00:03:42,753 더욱 다양하게 할 수록 123 00:03:42,753 --> 00:03:44,085 우리가 필요로 하는 모든 영양분을 얻는 124 00:03:44,085 --> 00:03:45,876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125 00:03:45,876 --> 00:03:47,251 그런 다양성을 유지하려면 126 00:03:47,251 --> 00:03:49,663 우리는 새로운 음식을 인식할 필요가 있고 127 00:03:49,663 --> 00:03:50,839 더 중요하게는 128 00:03:50,839 --> 00:03:53,544 새로운 음식을 먹고 싶어 해야 합니다. 129 00:03:53,544 --> 00:03:55,505 바로 그것이 음식이 지겨워질 때 130 00:03:55,505 --> 00:03:57,367 도파민 자극이 적어지는 이유입니다. 131 00:03:57,367 --> 00:03:58,966 자, 식사로 돌아가봅시다. 132 00:03:58,966 --> 00:04:00,423 만약 건강하고 균형잡힌 식사 대신에 133 00:04:00,423 --> 00:04:02,092 당분이 많은 음식을 먹으면 134 00:04:02,092 --> 00:04:04,307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135 00:04:04,307 --> 00:04:05,840 만약 당분을 드물게 먹거나 136 00:04:05,840 --> 00:04:07,339 한번에 많이 먹지 않으면 137 00:04:07,339 --> 00:04:09,973 그 효과는 균형잡힌 식사와 비슷합니다. 138 00:04:09,973 --> 00:04:11,174 하지만 너무 많이 먹으면 139 00:04:11,174 --> 00:04:13,726 도파민 반응은 평평해지지 않습니다. 140 00:04:13,726 --> 00:04:15,493 다시 말해, 당분을 과다섭취하면 141 00:04:15,493 --> 00:04:17,745 보상 받는 느낌이 지속됩니다. 142 00:04:17,745 --> 00:04:21,153 이리하여 당분은 약물과 조금 비슷합니다. 143 00:04:21,153 --> 00:04:22,933 그것이 사람들이 단 음식에 중독되는 144 00:04:22,933 --> 00:04:24,621 한가지 이유입니다. 145 00:04:24,621 --> 00:04:27,267 그러니 다양한 종류의 당분을 되돌아보세요. 146 00:04:27,267 --> 00:04:28,740 각각은 특유하지만 147 00:04:28,740 --> 00:04:30,928 어떤 당분이든 소비될 때마다 148 00:04:30,928 --> 00:04:33,382 뇌에서 연쇄 반응을 일으켜 149 00:04:33,382 --> 00:04:35,289 보상받는 느낌을 줍니다. 150 00:04:35,289 --> 00:04:36,544 너무 많이, 너무 자주, 151 00:04:36,544 --> 00:04:38,720 그러면 과다해질 수 있습니다. 152 00:04:38,720 --> 00:04:40,922 네, 당분의 과소비는 153 00:04:40,922 --> 00:04:42,975 뇌에 중독 효과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154 00:04:42,975 --> 00:04:46,178 하지만 가끔 먹는 케익 한조각은 괜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