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Lari Pittman in "Romance" - Season 4 - "Art in the Twenty-First Century" | Art21

  • 0:09 - 0:12
    라리 피트먼: 저는 미국 문화가 혼란스럽다고 생각하지만 슬프게도, 아이러니하게도
  • 0:14 - 0:17
    또는 기이하게도 그 혼란속에서 오히려 살아가는 힘을 얻습니다.
  • 0:18 - 0:22
    저는 엄청난 자유를 누릴 수 있으며
  • 0:22 - 0:25
    특히 로스엔젤레스에서는 더욱 그렇습니다.
  • 0:30 - 0:35
    저는 미적 감각과 아름다움에 대한 개념을 이 곳에서
  • 0:35 - 0:41
    더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일은 강력한 미적 규범이
  • 0:41 - 0:46
    자리잡고 있는 문화적 환경에서는 불가능한 일이죠.
  • 0:47 - 0:50
    이 곳에서는 여전히 '서부 개척 시대'에서와 마찬가지로
  • 0:50 - 0:54
    무엇이든 원하는 방식으로 그릴 수 있습니다.
  • 0:58 - 1:03
    저는 사람들이 제 그림 앞에서 섰을 때
  • 1:04 - 1:08
    믿을 수 없다는 느낌을 받기를 바랍니다.
  • 1:08 - 1:12
    그러나 그 믿을 수 없다는 순간, 그들이
  • 1:12 - 1:14
    실제로 보고 있는것에 휩쓸려 빠져들게 되죠.
  • 1:15 - 1:18
    그림 속 모든 것이 가짜이고 인공적이지만
  • 1:18 - 1:21
    그들은 멀리 다른 세계로 이동하는 듯한 느낌을 받습니다.
  • 1:21 - 1:22
    그것이야말로 제가 원하는 바입니다.
  • 1:27 - 1:30
    제 작품은 누구에게나 열려 있습니다.
  • 1:30 - 1:34
    다양한 사람들이 저마다 다르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 1:34 - 1:41
    에를 들어, 택배 기사나 정수기 기사분이
  • 1:41 - 1:44
    제 스튜디오에 배달을 오셨을 때,
  • 1:44 - 1:49
    그분들이 작품을 보고 즉각적으로 엄지를 치켜드는 모습을 보면
  • 1:49 - 1:50
    항상 흥미롭고 기쁩니다.
  • 1:50 - 1:52
    '하이파이브'를 하지 않기는 하지만 말입니다.
  • 1:56 - 2:00
    동시에, 제 작품이 더 깊이 있는 비평적 영억을 차지하기를 바랍니다.
  • 2:00 - 2:04
    이는 또 다른 유형의 관객을 필요로 하며,
  • 2:04 - 2:07
    더 높은 수준의 시각적 문해력을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
  • 2:10 - 2:13
    그러나 제 작품은 특정한 계층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 2:13 - 2:17
    대중적인 요소와 엘리트적인 요소 사이를
  • 2:17 - 2:21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 2:33 - 2:38
    저는 지중해적 정서가 강한 사람입니다.
  • 2:38 - 2:40
    솔직히 말씀드리면, 저는 햇볕이 많이 필요한 사람입니다.
  • 2:44 - 2:49
    저는 캘리포니아주 글렌데일에서 태어났지만, 성장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는 콜롬비아에서 보냈습니다.
  • 2:49 - 2:51
    어머니는 콜림비아 출신이시고,
  • 2:51 - 2:56
    아버지는 미국 남부 출신으로
  • 2:56 - 2:57
    개신교 신앙을 가지셨습니다.
  • 2:57 - 3:02
    저는 모순된 환경에서 자란 것은 아니지만,
  • 3:02 - 3:04
    다양한 문화가 혼합된 환경에서 성장했습니다.
  • 3:10 - 3:13
    어릴 때 '하이메'라는 애완 닭을 키웠습니다.
  • 3:13 - 3:18
    콜롬바이에서 이모님이 백화점에서
  • 3:18 - 3:20
    사주신 닭이었죠.
  • 3:22 - 3:27
    그러다 저희 가족이 적도 근처에 있는 어머니의 고향으로 이사 가게 되었습니다.
  • 3:27 - 3:30
    하지만 저는 하이메를 두고 떠날 수 없었습니다.
  • 3:30 - 3:37
    아버지께서 비행기 기장님께 닭을 제 무릎 위에 올려도 되는지 여쭤보셨고,
  • 3:37 - 3:40
    다행히 허락을 받았습니다.
  • 3:40 - 3:43
    할머니께서도 칼리에서 저희와 함께 지내셨는데,
  • 3:43 - 3:47
    저는 하이메를 위한 여행용 옷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 3:47 - 3:49
    그래서 우리는 조끼를 만들었습니다.
  • 3:51 - 3:53
    저는 그 조끼를 입은 하이메가 너무 자랑스러워고, 그 누구도 저를 놀리지 않았습니다.
  • 3:53 - 3:58
    그저 자연스러운 일이었어요.
  • 3:58 - 4:03
    그래서 아버지께서 저와 함게 계셨고, 저는 여행용 옷을 입은 제 닭을
  • 4:03 - 4:05
    무릎 위에 올려둘 수 있도록 허락받았습니다.
  • 4:06 - 4:10
    그런 어린 시절 덕분에,
  • 4:10 - 4:18
    저는 어린시절부터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었습니다.
  • 4:18 - 4:23
    아무도 그것을 제한하지 않았고,
  • 4:23 - 4:27
    제 감각이 자연스럽게 발달할 수 있었습니다.
  • 4:27 - 4:32
    이러한 경험이 제 작품속 장식적 요소가 자연스럽게자리 잡게 한 것 같습니다.
  • 4:32 - 4:40
    이러한 경험이 제 작품속 정신적 요소가 자연스럽게 자리 잡게 한 것 같습니다.
  • 5:02 - 5:06
    저는 제 삶이 굉장히 행운이었다고 생각합니다. 특정한 특권을 누릴 수 있었던 점에
  • 5:06 - 5:09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 5:09 - 5:15
    그러나 그런 환경 속에서도,
  • 5:15 - 5:27
    제가 현실을 잊지않게 해주는 요소들이 있었습니다.
  • 5:28 - 5:33
    미국 사회에서 여전히 만연한 동성애자에 대한 증오와
  • 5:33 - 5:36
    차별적인 법안들이 그 중 하나입니다.
  • 5:39 - 5:44
    저는 충분히 평온한 삶을 살 수 있지만
  • 5:44 - 5:54
    그런 사회적 분위기가 저를 깨우쳐주고
  • 5:54 - 5:58
    저를 다시 현실로 돌아오게 만듭니다.
  • 6:03 - 6:06
    저는 회화를 절대 포기하지 않을 것입니다.
  • 6:06 - 6:08
    절대 놓지 않을 것입니다.
  • 6:08 - 6:18
    저는 이것이 아마도 동성애자들이 가질 수 있는 깊은 문화적 특성에서
  • 6:19 - 6:26
    비롯된다고 생각합니다. 즉, 무언가를 고치고 다듬는 것
  • 6:26 - 6:30
    사물을 바라보고 개선하는 일종의 봉사적 요소 말입니다.
  • 6:30 - 6:33
    1970년대에 회화는
  • 6:33 - 6:36
    거의 버려진 상태였습니다.
  • 6:38 - 6:40
    저는 그 점이 오히려 흥미로웠습니다.
  • 6:40 - 6:43
    '이걸 내가 고쳐볼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죠.
  • 6:47 - 6:53
    이 그림의 영감은 멕시코의 '레타블로'에서 왔습니다.
  • 6:53 - 6:55
    레타블로는 주석판에 그려진 종교적 회화로
  • 6:56 - 7:00
    19세기 중반에서 후반에 유행했습니다.
  • 7:00 - 7:05
    저는 익명의 화가들이 그린 레타블로를
  • 7:05 - 7:10
    수집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 7:10 - 7:13
    그리고 아이러니하게도 저는 무신론자입니다.
  • 7:13 - 7:15
    그러나 종교적 미술에 매우 강한 매력을 느낍니다.
  • 7:15 - 7:20
    왜냐하면 이 작품들은 보통
  • 7:20 - 7:23
    성인의 고통이나 순교, 혹은 예수 그리스도의
  • 7:23 - 7:29
    극적인 순간을 표현하기 때문입니다.
  • 7:30 - 7:34
    저는 이러한 종교적 이미지를 세속적인 시각에서 바라봅니다.
  • 7:34 - 7:38
    그리고 실제로 이 작은 회화에서 제 그림의 색조에 대한
  • 7:38 - 7:43
    힌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 7:44 - 7:48
    하지만 지금은 더 불안정한 색감을 추가해야 할 것 같습니다.
  • 7:51 - 7:54
    저는 오랫동안 레타블로에서 영감을 받아 왔지만,
  • 7:54 - 7:58
    그보다는 회화 기법과
  • 7:58 - 8:02
    장식적인 기법에 더 집중해 왔습니다.
  • 8:02 - 8:05
    레타블로의 표면을 장식하는 이러한 기법을
  • 8:05 - 8:08
    저는 20년 넘게 사용해 왔습니다.
  • 8:08 - 8:12
    하지만 이번에는 처음으로 직접적으로 차용한 경우였습니다.
  • 8:12 - 8:15
    아마도 그것이 형상(figuration)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 8:22 - 8:27
    매일 아침, 저는 산책을 하며 우리가 심은 선인장들을 자세히 관찰합니다.
  • 8:27 - 8:29
    정말 면밀히 들여다보죠.
  • 8:29 - 8:36
    이번 작품에서는 처음으로 새로운 이미지를 창조하거나 구성하는 대신,
  • 8:36 - 8:39
    매일 아침 제가 보고 있는 특정한 대상을
  • 8:39 - 8:41
    그대로 반영하려고 했습니다.
  • 8:41 - 8:46
    제가 생각하기에 이 그림에서 아직 필요한 것은
  • 8:46 - 8:50
    우리가 배경을 보고 있으며, 여러 개의 명사 목록이 있다는 점입니다.
  • 8:50 - 8:52
    그리고 형용사 목록도 존재합니다.
  • 8:52 - 8:56
    명사들이 모두 형용사에 의해 수식되고 있지만
  • 8:56 - 9:02
    언어적으로 이 그림에는 아직 어떤행위가 일어나고 있지 않습니다.
  • 9:02 - 9:04
    제가 작년에 뉴욕에서 전시했던
  • 9:04 - 9:09
    그림들을 포함해, 제 모든 그림에는 항상 일종의
  • 9:09 - 9:15
    폴터가이스트(poltergeist)적인 요소나 애니미즘(animisn)이 존재합니다.
  • 9:15 - 9:17
    그림 속 장면에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느껴지죠.
  • 9:17 - 9:21
    분명히 이 그림의 특정한 영역에서 무언가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 9:21 - 9:26
    공간의 정체성이 변하고 있지만 우리는 그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이름 붙일 수 없습니다.
  • 9:26 - 9:30
    그런데 저는 이 효과를
  • 9:30 - 9:32
    너무 극적으로 만들고 싶지는 않았습니다.
  • 9:32 - 9:39
    그래서 거미줄을 추가했습니다. 마치 그 효과를 부드럽게 제어하려는 시도처럼요.
  • 9:39 - 9:43
    거미줄은 이 그림에서 중요한 요소이지만,
  • 9:43 - 9:45
    아직도 '동사'의 역할을 하기에는 부족합니다.
  • 9:45 - 9:51
    그리고 저는 이 그림에서 '동사'가 어디에 있어야 할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 9:51 - 9:56
    선인장의 가지를 활성화시키는 방식ㅇ로 동사가 표현되어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 9:56 - 9:59
    그것이 다소 비유적인 방식이 되더라도
  • 9:59 - 10:01
    저는 개의치 않습니다.
  • 10:13 - 10:20
    저는 제 개인적인 삶의 요소가 작품 속으로 스며드는 것을 억지로 막으려하지 않습니다.
  • 10:20 - 10:25
    정원이 작품 속에 자연스럽게 자리를 잡는 것처럼요.
  • 10:27 - 10:30
    저는 자연 자체보다는
  • 10:30 - 10:33
    조경(landscaping)을 선호합니다.
  • 10:33 - 10:38
    자연의 혼돈과 폭력성을 조금이라도 제어할 수 있는
  • 10:38 - 10:40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 10:41 - 10:46
    그래서 저는 선인장과 다육식물 위에
  • 10:46 - 10:51
    일종의 합리적인 조경 구조를 덧씌우고 있습니다.
  • 10:54 - 11:01
    우리는 자연주의적 방식에 그다지 열중하지 않기 때문에, 정원은 매우 의도적인 매너리즘을 갖고 있습니다.
  • 11:04 - 11:07
    선인장은 대체 구조물이며,
  • 11:07 - 11:11
    정원 자체가 하나의 복합적 은유의 표현이 됩니다.
  • 11:13 - 11:17
    정원을 가꾸면서 정원사가 경험하게 되는 것 중 하나는,
  • 11:17 - 11:21
    좋든 나쁘든 '죽음'에 대한 깊은 성찰입니다.
  • 11:22 - 11:25
    왜냐하면 식물의 삶고 죽음이
  • 11:25 - 11:31
    매우 밀집되고 압착된 방식으로 반복되기 때문입니다.
  • 11:33 - 11:37
    정원을 가꾸지 않는다면 그렇게까지 깊이 생각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정원을 가꾸면서 그에 대해 조금 더 많이 고민하게 됩니다.
  • 11:37 - 11:42
    그것은 점점 더 강조되고 요약된 삶과 죽음의 순환이
  • 11:42 - 11:45
    끊이없이 반복되는 경험이 됩니다.
Title:
Lari Pittman in "Romance" - Season 4 - "Art in the Twenty-First Century" | Art21
Description: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Art21
Project:
"Art in the Twenty-First Century" broadcast series
Duration:
12:53

Korean subtitles

Revisions Compare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