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Roni Horn in “Structures” - Season 3 | “Art in the Twenty-First Century"

  • 0:10 - 0:11
    로니 혼 : 자기 자신과
  • 0:11 - 0:15
    자신의 일 그리고 관객들 사이에
  • 0:15 - 0:18
    균형을 잡는 것은 저에게는 아주 어렵습니다.
  • 0:19 - 0:22
    어떤 사람들은 자신들만의 가상의 세계에서 삽니다.
  • 0:22 - 0:24
    저는 그렇지 않아요.
  • 0:24 - 0:27
    저는 흐르는 물에 발을 담그고 있는 것을 좋아합니다.
  • 0:31 - 0:32
    저의 야심은
  • 0:32 - 0:36
    저의 주변에 있는 것들과의 대화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 0:37 - 0:41
    저는 무엇이 저를 물로 이끌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제 말 아시겠나요?
  • 0:41 - 0:43
    만약 물에 대해서 생각하기 시작한다면
  • 0:43 - 0:46
    그 생각은 곧 폭발하고 말거에요. 왜냐하면 물은 아주 풍부하고
  • 0:46 - 0:49
    모든 것이면서 아무 것도 아니기도 하거든요.
  • 0:50 - 0:52
    저는 물이 무엇인지를 계속해서
  • 0:52 - 0:55
    재발견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 0:58 - 1:01
    그러므로 제가 물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 1:01 - 1:03
    물이 저를 따라온다고 생각합니다.
  • 1:03 - 1:04
    이런 관계에서 물은
  • 1:04 - 1:08
    수동적이지 않고 능동적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 1:09 - 1:11
    템즈 강에 대해서 이야기하자면
  • 1:11 - 1:15
    그곳은 흥미로운 장소입니다. 도시에 위치한 강이면서
  • 1:15 - 1:19
    외국인들이 자살을 할 때 가장 그럴듯하다고 생각하는 곳이거든요.
  • 1:20 - 1:23
    템즈 강에서 촬영하면서 깨달은 한 가지 사실은
  • 1:23 - 1:26
    그곳의 어두움이 상당히 실제적이었다는 거에요.
  • 1:26 - 1:29
    그 어두움은 가상적인 어둠이 아니었습니다.
  • 1:29 - 1:34
    그것은 심리적인 어둠이었고, 실제적인 어둠이었습니다.
  • 1:34 - 1:37
    사람들은 삶을 그만두고 싶기 때문에
  • 1:37 - 1:40
    그곳으로 갑니다.
  • 1:44 - 1:47
    어두움 속에서도 강은 그림처럼 아름다운 요소를 가집니다.
  • 1:47 - 1:49
    강을 통해 인간의 조건이 무엇인지 생각해볼 수 있게 됩니다.
  • 1:49 - 1:52
    템즈강은 단지 물이기만 한 것은 아닙니다. 템즈강은 인류와
  • 1:52 - 1:55
    물과의 관계를 나타내 보여줍니다.
  • 1:55 - 1:57
    템즈강은 인간의 필요를 만족시켜줍니다.
  • 1:57 - 2:00
    이 때 물은 긍정적인 힘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2:02 - 2:03
    모든 사진은 서로 아주 다른 특징을 가집니다.
  • 2:03 - 2:07
    같은 사진을 계속 찍을 수 있기는 하지만요.
  • 2:07 - 2:12
    1분 1초마다 강은 계속해서 다른 모습을 보여줍니다.
  • 2:14 - 2:15
    그래서 우리가 이곳에 있는 거죠.
  • 2:15 - 2:21
    우리는 15000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아이슬란드에서 두 번째로 가장 큰 마을에 와 있습니다.
  • 2:22 - 2:26
    이곳을 아퀴레이리라고 부릅니다. 레이캬비크 외부에 있는 가장 큰 대학교가 있는 곳이에요.
  • 2:27 - 2:31
    이 지역의 날씨는 상당히 혹독하기 때문에 실내에 머물러야 합니다.
  • 2:31 - 2:33
    건물아 안으로 들어오게 되면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습니다.
  • 2:33 - 2:37
    마치 대도시 안에 있는 듯한 기분이 들게 되죠.
  • 2:38 - 2:40
    작품은
  • 2:40 - 2:43
    크기가 큰 편이고 80장의 사진으로 구성됩니다.
  • 2:44 - 2:47
    이곳에서 건물을 따라서 흐르듯이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의도했죠.
  • 2:48 - 2:51
    그렇지만 관람객이 누구인지, 그들이 어떻게 건물을 이해하고 있는지에 따라서
  • 2:51 - 2:56
    건물을 온전히 이해하는 데 며칠, 몇 달 또는 몇 년이 걸릴 수 있습니다.
  • 2:58 - 2:59
    저는 작품의 규모를
  • 2:59 - 3:02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 3:03 - 3:05
    규모에 압도당해야 하며,
  • 3:05 - 3:10
    그것이 전면에 드러나지는 않지만 공간에서 분명히 느껴질 수 있기를 바랐습니다.
  • 3:10 - 3:13
    [남성이 아이슬란드어로 강의를 함]
  • 3:13 - 3:15
    우리는 자연을 대학교 건물 안으로
  • 3:15 - 3:18
    가지고 들어오는 일을 합니다.
  • 3:19 - 3:22
    그 덕분에 침착해질 수 있어요.
  • 3:22 - 3:26
    학생들이 홀을 따라서 물이 흐르는 것처럼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3:26 - 3:29
    그 덕분에 분위기가 바뀌는 효과가 납니다.
  • 3:30 - 3:33
    사람들이 물이 흐르는 것처럼
  • 3:33 - 3:36
    함께 움직이는 거죠.
  • 3:36 - 3:40
    건물 내부에서 물을 보는 것은 놀라운 경험입니다.
  • 3:43 - 3:43
    혼: 물론
  • 3:43 - 3:46
    저는 아이슬란드를 언제나 저를 위한 스튜디오 또는
  • 3:46 - 3:49
    아이디어의 채석장(a quarry)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3:50 - 3:51
    아마도 채석장이라는 단어는
  • 3:51 - 3:55
    좋은 은유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제가 실제 채굴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 3:55 - 3:58
    무언가를 탐색하고 찾아내는 일을 언제나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3:59 - 4:01
    아이슬란드를 떠올릴 때 과거를 생각하지는 않지만
  • 4:01 - 4:04
    아이슬란드라는 장소 그 자체로서 큰 의미를 지니며
  • 4:05 - 4:08
    이곳에 있어야 할 필요를 느낍니다.
  • 4:09 - 4:13
    저는 이 지역을 여러 번 여행했고 등대에 대해서도 알고 있었습니다.
  • 4:14 - 4:15
    저는 제가 이곳에서
  • 4:15 - 4:18
    살 수 있는지 지방자치단체에 문의했습니다.
  • 4:19 - 4:23
    그들은 괜찮다고 했고
  • 4:23 - 4:26
    그곳에 가서 몇 달 정도 날씨를 관찰했습니다.
  • 4:27 - 4:30
    책도 읽고 그림도 그리면서요.
  • 4:33 - 4:35
    그곳에서 심리학적인 정화를 경험했습니다.
  • 4:35 - 4:39
    그리고 섬과 제가 연결되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4:41 - 4:43
    그곳에서 어떤 야망도 가질 수가 없었습니다.
  • 4:43 - 4:44
    그냥 그곳에 존재하는 거였죠.
  • 4:44 - 4:46
    정말로 단순한 생활을 했습니다.
  • 4:46 - 4:50
    지난 몇 달 동안의 계획은 그곳에 그대로 있었고,
  • 4:51 - 4:54
    생활은 아주 단순하지만 어려웠습니다.
  • 4:57 - 4:59
    "당신이 날씨입니다(You are the Weather)”라는 작품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 4:59 - 5:02
    관람자가 전시실로 걸어 들어오면 백여 개의 이미지에 둘러싸이게 됩니다.
  • 5:02 - 5:07
    이 이미지들은 여러 모습을 지닌 어떤 한 사람의 인물 사진입니다.
  • 5:10 - 5:14
    여성: 맨 처음의 계획은 저에 관한 책을 만드는 거였어요.
  • 5:14 - 5:18
    저의 삶이나 성격에 대한 책은 아니었지요.
  • 5:18 - 5:21
    저의 얼굴은 배경으로 사용될 예정이었습니다.
  • 5:21 - 5:22
    당시에 저는 물 속으로 들어갔고
  • 5:22 - 5:26
    로니가 사진을 찍기 시작했습니다.
  • 5:26 - 5:30
    로니는 카메라의 렌즈를 들여다보는 것 말고는
  • 5:30 - 5:33
    어떤 지시 사항도 주지 않았습니다.
  • 5:34 - 5:38
    로니: 2개월 동안 같이 지내면서 어떤 대화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 5:39 - 5:43
    물은 우리 사이의 관계, 이미지 그리고 주제에서
  • 5:43 - 5:46
    아주 중요한 부분이 되었습니다.
  • 5:47 - 5:49
    관람자와 초상화 사이의 관계에는
  • 5:49 - 5:53
    아주 에로틱한 면이 있습니다.
  • 5:53 - 5:57
    사진 안에 눈을 맞추는 것과 모호함이라는 요소가 함께 들어있거든요.
  • 5:58 - 6:01
    모델: 우리는 함께 많은 시간을 보냈고
  • 6:01 - 6:04
    그것이 작품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 6:04 - 6:07
    시간을 보내며 신뢰가 쌓였고
  • 6:09 - 6:12
    신뢰는 작품에서 아주 중요하기 때문이죠.
  • 6:12 - 6:14
    로니: "당신이 날씨입니다"라는 작품의 경우에
  • 6:14 - 6:19
    저는 모델의 얼굴에서 어떤 장소를 이끌어낼 수 있는지 궁금했습니다.
  • 6:19 - 6:22
    마치 풍경화처럼요. 그렇지만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아니었고
  • 6:22 - 6:25
    그녀의 정체성이 얼마나 가까운지 알고 싶었습니다.
  • 6:26 - 6:28
    모델: 처음 전시회를 열었을 때를 기억합니다.
  • 6:28 - 6:31
    저는 너무 부끄러워서 전시실로 들어갈 수가 없을 정도였어요.
  • 6:32 - 6:38
    그렇지만 당시 다섯 살이었던 제 아들은 그게 굉장히 멋지다고 생각했죠.
  • 6:38 - 6:41
    저는 이런 생각을 계속 했어요. 어떤 방으로 들어갔는데
  • 6:41 - 6:44
    그 방의 벽에서 엄마의 사진만을 볼 수 있는 상황이요.
  • 6:44 - 6:46
    그건 틀림없이 멋진 경험일 겁니다.
  • 6:46 - 6:50
    그리고 아이는 계속해서 저를 부르면서 말했습니다. "엄마 이리 와봐요. 이 방 봤어요?
  • 6:50 - 6:52
    전부 다 엄마에요! 전부 다요!"
  • 6:52 - 6:53
    [부드럽게]: 아...
  • 7:00 - 7:01
    로니: 여기에 수영장이 있습니다.
  • 7:01 - 7:04
    이 수영장은 실제로 레이캬비크에 위치한 곳이며, 제가 정말로 좋아했던 장소입니다.
  • 7:05 - 7:06
    수영장은 그 자체로 상당히 아름답습니다.
  • 7:06 - 7:10
    그렇지만 락커룸으로 들어가면 그 곳은 놀라웠습니다.
  • 7:11 - 7:14
    저는 그 공간이 뫼비우스의 띠처럼 느껴졌습니다.
  • 7:14 - 7:17
    분명한 경계선이 없고 표면만이 지속되었으니까요.
  • 7:17 - 7:21
    락커는 서로 붙어 있었지만 분명한 내부나 외부 가장자리가 없었습니다.
  • 7:21 - 7:26
    마치 타일로 된 끝이 없는 표면처럼 보였어요. 그리고 열린 문과 닫힌 문이
  • 7:26 - 7:29
    있었는데 거기에는 안을 들여다 볼 수 있는 구멍이 있었습니다.
  • 7:30 - 7:32
    저는 그 구멍에 관심이 갔습니다.
  • 7:32 - 7:33
    사람들은 궁금해 할 수도 있었어요. "저기 있는 구멍이 도대체
  • 7:33 - 7:36
    무슨 역할을 하는거야?"라고요. 그리고 아무도 그에 대해 알지 못하는 듯 했어요.
  • 7:36 - 7:38
    이 공간에서 무언가를 몰래
  • 7:38 - 7:41
    훔쳐보는 듯한 기분이 들었고 그래서 아주 신이 났습니다.
  • 7:41 - 7:45
    저는 관음증이 있는 어떤 디자이너와 체스를 좋아하는 어떤 디자이너가 이 건물을 설계한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 7:45 - 7:50
    저는 더 감각적인 측면과 건축물의
  • 7:50 - 7:54
    무미건조한 특성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촬영을 했습니다.
  • 7:56 - 7:57
    저는 그들을 시각적인 기록이
  • 7:57 - 8:00
    될 수 있도록 사진을 찍었습니다.
  • 8:04 - 8:05
    공간을 지나가며 움직이는 것과
  • 8:05 - 8:08
    체스판 위를 가로지는 것 사이에는 비슷한 점이 있습니다.
  • 8:15 - 8:17
    조카 : 로니는 저의 이모입니다.
  • 8:17 - 8:20
    우리는 사이가 아주 좋습니다.
  • 8:20 - 8:23
    한동안 우리는 서로에게 엽서를 보냈습니다.
  • 8:23 - 8:26
    그 위에 동물이나 사람이나 물건들이 있는 엽서요.
  • 8:27 - 8:30
    그리고 우리는 "이게 나야"라고 쓰고 다른 하나를 가리키면서
  • 8:30 - 8:32
    "이게 너야"라고 썼습니다.
  • 8:32 - 8:37
    이 책의 각 사진은 2초 또는 3초 정도 사이를 두고 찍은 것입니다.
  • 8:37 - 8:40
    하나의 사진을 보고
  • 8:41 - 8:44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면
  • 8:45 - 8:47
    거의 같은 이미지를
  • 8:47 - 8:50
    보게 될 것입니다. 그렇지만
  • 8:50 - 8:53
    그 사진은 몇 초 뒤에 찍은 사진이죠.
  • 8:53 - 8:56
    루니: 저는 제 조카가 활동하는 모습을 기록했습니다.
  • 8:56 - 8:59
    그녀가 연기를 하고 있는 듯이 보이지만, 사진을 통해서
  • 9:00 - 9:03
    소녀가 여성으로 성장하는 기간이 있으며, 그 때 그들에게
  • 9:03 - 9:05
    모든 정체성을 시험해보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 9:05 - 9:07
    이것은 소녀의 초상화라고 할 수 있겠네요.
  • 9:07 - 9:10
    여러 다른 옷과 헤어스타일, 그리고 얼굴에 한
  • 9:10 - 9:14
    여러가지 장식들이 조화를 이루지 않거든요.
  • 9:16 - 9:18
    조카: 작업을 3년에 걸쳐서 했는데
  • 9:18 - 9:22
    사진을 보고 있으면 모델이 같은 사람이라는 사실을
  • 9:22 - 9:24
    말하는 게 어려울 정도입니다.
  • 9:24 - 9:27
    예를 들어서, 이 사진에서 저는 아주 짧은 머리를 하고 있어요.
  • 9:28 - 9:33
    그리고 이 사진에서는 노란색 안경을
  • 9:33 - 9:36
    쓰고 있고 긴 머리를 하고 있어요.
  • 9:37 - 9:38
    로니 : "다운 바이 워터(Down by Water)"라는 작품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 9:38 - 9:43
    이 작품을 볼 때는 앞면과 뒷면의 이미지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이해해야 합니다.
  • 9:43 - 9:46
    이 그림을 보면 많은 요소가 함께 상호작용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 9:46 - 9:49
    그리고 관람자는 공간을 따라 움직이면서 그림을 보아야 합니다.
  • 9:52 - 9:53
    아시겠지만, 이곳은 원래 은행 건물이었습니다.
  • 9:53 - 9:56
    이 건물은 균형이 잘 잡혀있고 아주 웅장합니다.
  • 9:57 - 10:00
    패널과 세부사항을 보면 모든 것이 아름답게 설계되었고
  • 10:01 - 10:04
    서로 완벽하게 맞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 10:04 - 10:10
    이 장소를 재정의하지 않고 이 공간에 머무는 것은
  • 10:10 - 10:12
    거의 불가능한 일입니다.
  • 10:12 - 10:16
    작품은 3차원적 경험과 2차원적 경험 사이를
  • 10:16 - 10:18
    계속해서 왔다 갔다 할 수 있게 합니다.
  • 10:18 - 10:21
    제가 이 작품을 만들 때 저는 작은 공간을 사용해
  • 10:21 - 10:25
    서로 다른 주제를 한데 묶기를 원했습니다.
  • 10:26 - 10:29
    이 작품은 모든 각도에서 볼 수 있습니다.
  • 10:29 - 10:32
    아마 "모든 작품이 3차원적으로 만들어졌군"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 10:32 - 10:36
    작품은 동시에 언제나 공간과 고정적인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 10:37 - 10:38
    이 작품을 보세요.
  • 10:38 - 10:42
    그룹 주위를 걸으면 이미지가 나타났다 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10:42 - 10:45
    하나의 그림이 나타나면 다른 그림이 사라집니다.
  • 10:45 - 10:47
    모든 작품은 서로 관계를 맺으며 배열되어야 합니다.
  • 10:47 - 10:50
    그래서 이 작품은 물리적 공간과 이미지상의 공간을
  • 10:50 - 10:55
    통하여 특정한 방식으로 관람자를 이끕니다.
  • 10:55 - 10:58
    이 때의 공간은 건축과 관련된 공간과는 다릅니다.
  • 11:00 - 11:02
    "캐비닛 오브(The Cabinet Of)"에 대해 말해보겠습니다.
  • 11:03 - 11:05
    만약 제가 이 작은 방을 보지 않았다면 이 작품은 만들어지지 않았을 겁니다.
  • 11:05 - 11:10
    이 작은 방은 폐쇄적인 지하에 위치해 있습니다.
  • 11:11 - 11:13
    이것은 캐비닛 안에 있는 캐비닛입니다.
  • 11:13 - 11:16
    캐비닛이 위치한 장소가 지하에 있고
  • 11:16 - 11:19
    다른 모든 작품들과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 11:19 - 11:20
    기능을 하기 때문에 저는 이 작품을 좋아합니다.
  • 11:24 - 11:26
    광대의 이미지가 보여지는데, 이것은 사진을 찍어 만든 작품임에도
  • 11:26 - 11:30
    건축학적 요소와 심리학적 요소를 함께 가지고 있습니다.
  • 11:30 - 11:34
    이 작품은 비유적인 의미 뿐 아니라 상징적인 의미를 가집니다.
  • 11:35 - 11:37
    이 작품에서는 그림을 그리는 기법을
  • 11:37 - 11:39
    사진에도 사용하였습니다.
  • 11:41 - 11:43
    저는 아주 공적인 건물을 선택하고
  • 11:43 - 11:48
    그 건물에 고무로 된 바닥을 깔았다는 사실이 마음에 듭니다.
  • 11:48 - 11:52
    저는 그렇게 하는 것이 분명 적당한 균형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11:53 - 11:56
    몇백 년 전에 부드러운 고무로 바닥을 만들었다면,
  • 11:56 - 12:00
    현재 건물은 지금과는 대단히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을 겁니다.
  • 12:05 - 12:08
    저와 저의 작품 사이의 관계는 언어와 매우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 12:09 - 12:12
    저는 시각보다는 언어에 기반을 두고 작품 활동을 합니다.
  • 12:12 - 12:15
    저는 시각적 요소에 도달하기 위해서 언어를 사용했습니다.
  • 12:16 - 12:20
    텍스트를 시각적 요소만큼이나 많이 생각하고 있기는 하지만요.
  • 12:26 - 12:28
    저는 상징적이고 시각적인 언어와
  • 12:28 - 12:32
    그 내용을 서술하는 사진 사이에
  • 12:32 - 12:35
    어떤 차이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 12:35 - 12:39
    저는 저 자신을 사진 작가나 조각가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 12:39 - 12:41
    저는 더 폭넓은 방식으로 저 자신을 정의합니다.
  • 12:41 - 12:45
    그렇기 때문에 저는 작품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지 않고
  • 12:45 - 12:48
    다른 여러 가지 형상들을 사용합니다.
  • 12:50 - 12:55
    우리는 은유를 사용해서 자신이 집에 있다고 상상할 수 있습니다.
  • 12:55 - 12:58
    알지 못하는 것을 깨닫기 위해서 은유를 사용하기도 하죠.
  • 12:58 - 13:02
    우리는 은유를 사용해서 문제가 바로 우리가 알지 못하는 곳이
  • 13:02 - 13:04
    내가 있기를 바라는 장소라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 13:05 - 13:07
    저는 이 문제가 사라지기를 원치 않습니다.
  • 13:26 - 13:27
    아트21에 대해서 더 알고싶으시거나
  • 13:27 - 13:31
    무료 교육 가이드를 다운받고 싶으신 분들은
  • 13:31 - 13:36
    PBS online@pbs.org로 연락 주시거나 홈페이지에 방문해주세요.
  • 13:39 - 13:41
    21세기 예술은
  • 13:41 - 13:46
    비디오 카세트 또는 DVD를 통해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13:48 - 13:51
    프로그램에 딸려오는 도서 또한 구입 가능합니다.
  • 13:51 - 13:52
    주문하시려면
  • 13:52 - 13:56
    PBS 홈 비디오, 1 800 play PBS로 전화해주세요.
Title:
Roni Horn in “Structures” - Season 3 | “Art in the Twenty-First Century"
Description: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Art21
Project:
"Art in the Twenty-First Century" broadcast series
Duration:
14:17

Korean subtitles

Revisions Compare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