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음악을 읽을까 - 팀 한슨(Tim Hansen)
-
0:06 - 0:08우리가 영화나 연극을 볼 때,
-
0:08 - 0:09우리는 배우들이
-
0:09 - 0:11대본으로 그 대사를 배웠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
0:11 - 0:12대본은 배우들에게
-
0:12 - 0:13무엇을 말하고,
-
0:13 - 0:14또 언제 말해야 할지를 알려주죠.
-
0:15 - 0:16음악 작품 또한
-
0:16 - 0:18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만들어집니다.
-
0:18 - 0:20아주 기초적인 것 부터 말하자면,
-
0:20 - 0:22악보는 연주자가 무엇을 연주하고
-
0:22 - 0:23언제 연주를 해야하는지를 알려줍니다.
-
0:24 - 0:26미화해서 말하자면,
-
0:26 - 0:28베토벤과
-
0:28 - 0:29저스틴 비버사이에는
다른 음악 세계가 있습니다. -
0:29 - 0:31하지만 두 예술가는 모두
-
0:31 - 0:33그들의 음악을 창조하기 위해
동일한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
0:33 - 0:34바로 음표입니다.
-
0:34 - 0:35설령 결과의 끝이
-
0:35 - 0:37다소 복잡하게 들릴 수 있다고 하더라도
-
0:37 - 0:38음표뒤에 숨어있는 논리는
-
0:38 - 0:40상당히 단순합니다.
-
0:40 - 0:41자, 이제 봅시다.
-
0:41 - 0:44기보법의 기본적인 요소에서
(기보법 :음악을 기록하는 방법 ) -
0:44 - 0:47서로 어떻게 상호 작용을 하여
예술 작품을 창조해 내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
0:47 - 0:50음악은 좌우로 그려진
-
0:50 - 0:51다섯 줄의 선 위에 쓰여집니다.
-
0:51 - 0:54이 다섯개의 선은 오선이라고 부릅니다.
-
0:54 - 0:56이 오선은 두 개의 축과
함께 작동하는데요, -
0:56 - 0:57위쪽과 아래쪽
-
0:57 - 0:59왼쪽과 오른쪽입니다.
-
0:59 - 1:01위-아래 축은 연주자에게
-
1:01 - 1:03음의 높낮이나
-
1:03 - 1:04어떤 음을 쳐야 하는지 알려줍니다.
-
1:04 - 1:06그리고 왼-오른쪽 축은 연주자에게
-
1:06 - 1:07음의 리듬과
-
1:07 - 1:09언제 연주해야하는지를 알려줍니다.
-
1:09 - 1:11음의 높낮이부터 시작하죠.
-
1:11 - 1:13이해를 돕기위해,
우리는 피아노를 이용해 볼 거에요. -
1:13 - 1:15이 시스템은
여러분이 생각할 수 있는 어떤 악기보다 -
1:15 - 1:17이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
1:17 - 1:19서구의 전통 음악에서
-
1:19 - 1:20높낮이는
-
1:20 - 1:22처음부터 일곱번째까지
알파벳의 이름에서 따왔습니다. -
1:22 - 1:23라
-
1:23 - 1:23시
-
1:23 - 1:24도
-
1:24 - 1:24레
-
1:24 - 1:25미
-
1:25 - 1:25파
-
1:25 - 1:26그리고 솔 입니다.
-
1:26 - 1:29그리고, 이 주기가 계속 반복이 되죠.
-
1:29 - 1:29라
-
1:29 - 1:29시
-
1:29 - 1:30도
-
1:30 - 1:30레
-
1:30 - 1:30미
-
1:30 - 1:30파
-
1:30 - 1:31솔
-
1:31 - 1:31라
-
1:31 - 1:31시
-
1:31 - 1:31도
-
1:31 - 1:32레
-
1:32 - 1:32미
-
1:32 - 1:32파
-
1:32 - 1:32솔
-
1:32 - 1:34이렇게 말이에요.
-
1:34 - 1:36어떻게 음의 높낮이가
이런 이름을 갖게 되었을까요? -
1:36 - 1:38예를 들면요, 만약 여러분이 '파'를 누르고
-
1:38 - 1:39피아노에서 한 옥타브 더 높거나 낮은
-
1:39 - 1:41다른 '파'를 누른다면,
-
1:41 - 1:43그 소리가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겁니다. -
1:43 - 1:46'레'같은 것과 비교했을 때 말이죠.
-
1:46 - 1:47다시 오선으로 돌아가겠습니다.
-
1:47 - 1:50두 줄의 각 선과 공간은
-
1:50 - 1:52음의 높낮이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1:52 - 1:54만약 이 선에, 또는 이 공간에서
-
1:54 - 1:55하나의 음표를 붙이면
-
1:55 - 1:58연주자에게 그 음을 연주하라고
말할는 것입니다. -
1:58 - 2:00음표가 더 높이 위치할 수록
-
2:00 - 2:01음의 높이도 더욱 높아집니다.
-
2:01 - 2:04하지만, 엄청나게 많은 음의 높낮이가 있죠.
-
2:04 - 2:07이 선과 공간을 합친
아홉개의 높이를 제외하고도요. -
2:07 - 2:08예를 들어, 그랜드 피아노는
-
2:08 - 2:1088개의 음을 연주할 수 있습니다.
-
2:10 - 2:14그렇다면, 어떻게 88개의 음을 오선위에
표시할 수 있을까요? -
2:14 - 2:16그래서 우리는
'음자리표'라는 것을 이용합니다. -
2:16 - 2:17'음자리표'는 상당히 이상하게 생겼는데
-
2:17 - 2:19악보의 맨 처음에 위치해있습니다.
-
2:19 - 2:20그리고 기준점의 역할을 담당합니다.
-
2:20 - 2:22특정한 선과 공간이
-
2:22 - 2:26악기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음에
상응하는지를 알려줍니다. -
2:26 - 2:28만약 악보에 있지 않은 음을
치고 싶다면 -
2:28 - 2:30우리는 몇개의 선을
추가로 그리는 속임수인 -
2:30 - 2:31'덧줄'을 사용할 수 도 있습니다.
-
2:31 - 2:33음표를 그 위에다가 그려넣는거죠.
-
2:33 - 2:35만약, 혼동을 초래할 수 있는 덧줄을
-
2:35 - 2:36아주 많이 그려 넣어야 한다면,
-
2:36 - 2:40다른 음자리표로
바꿔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
2:40 - 2:42연주자에게 언제
음을 쳐야하는지를 알려주는 -
2:42 - 2:44두 개의 요소가 있습니다.
-
2:44 - 2:45박자,
-
2:45 - 2:46그리고 리듬입니다.
-
2:46 - 2:48음악의 박자는
-
2:48 - 2:50사실, 그 자체로는 조금 지루하죠.
-
2:50 - 2:52이런 소리입니다.
-
2:54 - 2:56소리가 변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2:56 - 2:58그저 행복하게 잘 진행되고 있습니다.
-
2:58 - 3:01느리게 갈 수도 있고,
-
3:01 - 3:02빠르게 갈 수도 있습니다.
-
3:02 - 3:04여러분이 좋아하는 방식대로요.
-
3:04 - 3:07여기서 요점은,
마치 1분을 60초로 쪼개는 초침처럼 -
3:07 - 3:09작동한다는 것입니다.
-
3:09 - 3:12각 초 뒤에 그 다음 초가 이어지듯이
-
3:12 - 3:14박자는 음악 작품을
-
3:14 - 3:16작은 시간의 단위로
쪼개는 역할을 합니다. -
3:16 - 3:17박자는 모두
-
3:17 - 3:19동일한 길이를 지니고 있습니다.
-
3:19 - 3:20기본적으로 변함이 없습니다.
-
3:20 - 3:22우리는 음의 높낮이에
리듬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3:22 - 3:24여기서 바로 음악이 시작되는 겁니다.
-
3:25 - 3:27이것은 4분음표입니다.
-
3:27 - 3:29리듬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죠.
-
3:29 - 3:31한 박자를 차지합니다.
-
3:31 - 3:33이것은 2분음표입니다. 2박자를 차지합니다.
-
3:33 - 3:35여기 있는 온음표는 4박자를 차지하고요,
-
3:35 - 3:37이 작은 음표는 8분음표라고 불리는데
-
3:37 - 3:39각각 반박자를 차지합니다.
-
3:39 - 3:42여러분은 "좋아요. 그런데
그게 무슨말이죠?" 라고 말하겠죠. -
3:42 - 3:43여러분은
-
3:43 - 3:44악보의 한 줄의 전체 길이에서
-
3:44 - 3:47작은 부분으로 나누고 있는 선을
보셨을지 모르겠습니다. -
3:47 - 3:49이것은 '세로 줄'입니다.
-
3:49 - 3:52우리는 각 부분을 이러한 마디로 표시하죠.
-
3:52 - 3:53음악이 처음 시작할때,
-
3:53 - 3:55음자리표 바로 뒤에
-
3:55 - 3:57'박자표'라고 불리는 것이 있습니다.
-
3:57 - 4:00'박자표'는 연주자에게 한 마디 안에
얼마나 많은 박자가 있는지 알려줍니다. -
4:00 - 4:02이 것은 각 마디안에
두박자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4:02 - 4:04이 말은 세박자,
-
4:04 - 4:04이건 네 박자,
-
4:04 - 4:06이렇게 말입니다.
-
4:06 - 4:08밑에 있는 숫자는
-
4:08 - 4:11어떤 음표가 박자의 기본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지를 알려 줍니다. -
4:11 - 4:131은 온음표를 뜻하고요,
-
4:13 - 4:142는 반음표,
-
4:14 - 4:164는 4분음표를 말합니다.
-
4:16 - 4:16그리고 8은 8분음표를 의미합니다.
-
4:16 - 4:18이렇게 말이에요.
-
4:18 - 4:19그래서 이 '박자표'는
-
4:19 - 4:22각 마디 안에 4분음표가 4개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
4:22 - 4:23하나
-
4:23 - 4:23둘
-
4:23 - 4:23셋
-
4:23 - 4:24넷
-
4:24 - 4:24하나
-
4:24 - 4:25둘
-
4:25 - 4:25셋
-
4:25 - 4:26넷
-
4:26 - 4:27이렇게 계속됩니다.
-
4:27 - 4:28하지만 제가 조금 전에 말씀드렸듯이,
-
4:28 - 4:30이 박자를 계속 동일하게 유지한다면
-
4:30 - 4:31음악은 상당히 지루해질 것입니다.
-
4:31 - 4:33그래서 몇개의 4분음표를
-
4:33 - 4:35다른 리듬으로 바꿔보겠습니다.
-
4:35 - 4:37각 마디 안에 있는 음표의 개수는
-
4:37 - 4:38변했지만,
-
4:38 - 4:41각 마디의 전체 박자수는
변하지 않았습니다. -
4:42 - 4:45그럼 우리가 창조한 음악은 어떨까요?
-
4:48 - 4:51오, 좋습니다. 하지만
소리가 약간 가냘프죠? -
4:51 - 4:52이제 여기에 나름의
음높이와 리듬을 가진 -
4:52 - 4:54다른 악기를 추가해봅시다.
-
4:54 - 4:57이제야 제대로된 음악같네요.
-
4:58 - 4:59물론, 연습을 조금 더 해야
-
4:59 - 5:00빨리 연주할 수 있고
-
5:00 - 5:02우리가 악기에서 보는 그대로
연주할 수 있습니다. -
5:02 - 5:04조금만 더 시간과 인내심을 투자하면,
-
5:04 - 5:06어러분은 차세대의 베토벤,
-
5:06 - 5:07혹은
-
5:07 - 5:08저스틴 비버가 될 수 있을겁니다.
- Title:
- 어떻게 음악을 읽을까 - 팀 한슨(Tim Hansen)
- Speaker:
- Tim Hansen
- Description:
-
배우의 대본처럼, 악보는 음악가에게 어떤 것을 연주하고(음의 높낮이) , 언제 연주해야 할지(리듬)을 알려줍니다. 악보는 다소 복잡하게 보일 수도 있지만 음표, 마디, 음자리표 같은 기본적인 구성 요소만 알고 난다면 록음악을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팀 한슨은 여러분이 음악을 읽는데 필요한 기본적 지식들을 제공합니다.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Ed
- Duration:
- 05:24
![]() |
TED Translators admin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to read music | |
![]() |
K Bang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How to read music | |
![]() |
K Bang commented on Korean subtitles for How to read music | |
![]() |
K B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to read music | |
![]() |
K B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to read music | |
![]() |
Shawn Kim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How to read music | |
![]() |
Shawn Kim commented on Korean subtitles for How to read music | |
![]() |
Shawn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to read music |
Shawn Kim
잘 배워갑니다! :)
K Bang
안녕하세요? 몇군데 간결하게 바꾸고 19.615 에서 음악은 을 악보는 으로 수정했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