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생명을 구하는 종이 과학 도구

  • 0:01 - 0:04
    저는 도구를 만들고, 그것을
    사람들과 공유하는 걸 좋아합니다.
  • 0:05 - 0:07
    제가 어렸을 때
  • 0:07 - 0:10
    가장 처음으로 만들었던 도구는
    현미경으로 기억하는데요.
  • 0:10 - 0:14
    제 남동생의 안경 렌즈를
    훔쳐와서 만들었죠.
  • 0:14 - 0:16
    동생은 별로 좋아하지 않았죠.
  • 0:16 - 0:18
    어쩌면 그 때부터 시작해서
  • 0:18 - 0:19
    30년이 지난 지금도
  • 0:19 - 0:21
    현미경을 만들고 있는 것 같습니다.
  • 0:22 - 0:26
    그리고 이런 도구들을 만드는 이유는
    이런 순간들 때문입니다.
  • 0:28 - 0:30
    (비디오) 소녀: 내 머리카락 속에
    검정색의 무언가가 있어요.
  • 0:30 - 0:32
    마누 프라카쉬: 여기는
    샌프란시스코의 어느 학교입니다.
  • 0:33 - 0:37
    (비디오) MP: 현실 세계는
    세상이 실제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대한
  • 0:37 - 0:39
    상상력을 지배합니다.
  • 0:39 - 0:42
    (비디오) 소년: 오 마이 갓!
  • 0:44 - 0:46
    MP: 맞아요. '오 마이 갓!'
  • 0:47 - 0:50
    이 표현이 세계적으로 쓰이고
    있다는 걸 이제 알았네요.
  • 0:51 - 0:53
    지난 2년 간
  • 0:53 - 0:56
    저희 연구실에서는 5만개의
    종이현미경을 만들었습니다.
  • 0:56 - 0:59
    그리고 전 세계 130개
    나라에 전달했습니다.
  • 0:59 - 1:02
    어린이들에게는 무료로 말이죠.
  • 1:02 - 1:03
    금년에는
  • 1:04 - 1:06
    지역사회의 도움으로
  • 1:06 - 1:09
    백만개의 현미경을 전 세계
    어린이들에게 보낼 계획입니다.
  • 1:10 - 1:12
    이것이 무슨 도움이 될까요?
  • 1:12 - 1:15
    전 세계적으로 영감을 주는
    인재 양성에 도움이 될 겁니다.
  • 1:15 - 1:17
    서로 배우고 가르치면서 말이죠.
  • 1:17 - 1:21
    케냐에서 캄팔라까지,
    카투만두에서 켄자스까지 말이죠.
  • 1:21 - 1:24
    그리고 제가 가장 좋아하는
    경이로운 점 중 하나는
  • 1:24 - 1:25
    공동체 의식이에요.
  • 1:26 - 1:27
    니카라과의 한 아이는
  • 1:27 - 1:30
    모기 유충을 현미경으로 관찰해서
  • 1:30 - 1:34
    뎅기열 전염 모기를 가려내는 법을
    사람들에게 가르쳐주고 있어요.
  • 1:34 - 1:39
    어느 약리학자는 가짜 약을 구별하는
    신기술을 찾아내기도 했습니다.
  • 1:39 - 1:43
    결정체가 반짝거리는 이유를
    궁금해했던 어느 소녀는
  • 1:43 - 1:47
    반짝이는 결정체가 만들어지는
    물리 법칙을 발견하기도 했습니다.
  • 1:48 - 1:53
    이 도구로 자궁경부암 검진을
    시도한 어느 아르헨티나 의사는
  • 1:54 - 1:57
    저의 발 뒷꿈치에 1 cm나
    파고들어 가 있었던
  • 1:57 - 2:02
    벼룩의 한 종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 2:03 - 2:08
    이것들이 이례적인 사례라고
    생각하는 분도 계실지 모르지만
  • 2:08 - 2:10
    이런 이례적인 발견을 위한
    한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2:11 - 2:13
    저는 이를 두고
    "검소한 과학" 이라 부릅니다.
  • 2:13 - 2:17
    과학적 경험을 공유하는 것이죠.
  • 2:17 - 2:19
    단지 정보만 공유하는 것은 아니고요.
  • 2:19 - 2:20
    잘 생각해보시면
  • 2:20 - 2:22
    전 세계 10억 명의 사람들이
  • 2:22 - 2:25
    사회기반시설이 전혀 없거나
  • 2:25 - 2:27
    도로도 없고
  • 2:27 - 2:28
    전기도 없고
  • 2:28 - 2:30
    의료시설도 없는 곳에서
    살고 있습니다.
  • 2:31 - 2:35
    빈곤 속에서 살고 있는
    10억 명의 아이들도 있죠.
  • 2:36 - 2:40
    그들이 다음 세대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어떻게 영감을 불어 넣어야 할까요?
  • 2:40 - 2:42
    우리는 의료계 종사자들의 도움으로
  • 2:42 - 2:45
    감염병과 싸우고
  • 2:45 - 2:49
    최소한의 도구와 자원으로
    우리 스스로를 지키고 있습니다.
  • 2:51 - 2:52
    그래서 스탠퍼드 연구실에서
  • 2:52 - 2:56
    저는 이것을 검소한 과학과
    같은 맥락에 있다고 봅니다.
  • 2:56 - 2:59
    그런 빈곤 지역 개선을 위한
    해결책을 내놓고 있으니까요.
  • 2:59 - 3:03
    종종 우리는 간단한 방법으로
    병을 진단할 수 있기를 원합니다.
  • 3:04 - 3:07
    오늘 저는 두 가지 새로운
    도구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 3:07 - 3:08
    그 중 하나는 우간다에서
    시작되었는데요.
  • 3:09 - 3:10
    2013년에
  • 3:10 - 3:14
    종이 현미경으로 주혈흡충증을
    찾으려고 현지 조사를 나갔을 때
  • 3:14 - 3:17
    사소한 관찰을 하게 되었습니다.
  • 3:17 - 3:20
    아주 외딴 지역에 있는 진료소에서
  • 3:20 - 3:24
    원심 분리기가 문을 고정시켜놓는
    용도로 사용되는 걸 보았습니다.
  • 3:24 - 3:27
    말 그대로 문버팀쇠로 쓰이고 있었어요.
  • 3:27 - 3:28
    사람들에게 물어보니
    이렇게 말하더군요.
  • 3:28 - 3:30
    "오, 여기는 전기가 안들어와요.
  • 3:30 - 3:34
    그래서 이게 문버팀쇠로
    쓰기에 딱 좋아요."
  • 3:35 - 3:37
    원심 분리기가 무엇인지
    잘 모르는 분들도 계실텐데요.
  • 3:37 - 3:41
    이것은 샘플 처리를 위한 도구입니다.
  • 3:41 - 3:43
    핼액과 체액 성분을 분리시켜서
  • 3:43 - 3:46
    병원균을 찾아낼 수 있는 장비죠.
  • 3:46 - 3:49
    그러나 원심 분리기는
    부피가 크고, 비싸요.
  • 3:49 - 3:51
    아마 천 달러 정도 할 거예요.
  • 3:51 - 3:54
    그리고 들고 다니기도 어렵죠.
  • 3:54 - 3:56
    물론 전기 없이는 작동이 안되죠.
  • 3:56 - 3:58
    이해가 되시죠?
  • 3:58 - 4:00
    그래서 저희는 이 문제의
    해결 방법을 찾기 시작했어요.
  • 4:00 - 4:03
    현지 조사에서 돌아와서도
    계속 장난감들을 생각했어요.
  • 4:04 - 4:05
    여기에
  • 4:06 - 4:08
    몇 개 가지고 왔는데요.
  • 4:08 - 4:10
    처음에는 요요로 시작했어요.
  • 4:10 - 4:13
    저는 요요를 정말 못합니다.
  • 4:13 - 4:15
    이 장난감이 회전하는 걸 보고
    저희는 궁금했어요.
  • 4:15 - 4:18
    실제로 이런 장난감의
    물리 법칙을 이용해서
  • 4:18 - 4:20
    원심 분리기를 만들 수
    있을지 생각했죠.
  • 4:21 - 4:24
    평소엔 이것보다 잘 하는데요.
  • 4:24 - 4:26
    눈치채신 분도 계실텐데요.
  • 4:26 - 4:29
    가능성 있는 장난감들을 찾다 보니
  • 4:29 - 4:31
    이런 팽이 장난감도 시도해 보았고요.
  • 4:31 - 4:33
    그러다가 실험실에서
  • 4:33 - 4:35
    우연히 이 물체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 4:36 - 4:39
    이것은 회전 바퀴입니다.
    붕붕이나 회전차라고도 하죠.
  • 4:39 - 4:42
    두 개의 줄과 작은 원반으로
    되어 있는데요.
  • 4:42 - 4:44
    줄을 당기면 원반이 돌아가죠.
  • 4:44 - 4:47
    어렸을 때 이 장난감으로
    놀아보신 분 계신가요?
  • 4:47 - 4:48
    팔랑개비 팽이라고 불렸죠.
  • 4:48 - 4:50
    네. 절반 정도나 되네요.
  • 4:50 - 4:52
    다들 잘 모르는 사실은
  • 4:52 - 4:54
    이 작은 물체가
  • 4:54 - 4:59
    인류역사상 가장 오래된
    장난감이라는 것입니다.
  • 4:59 - 5:04
    5000년이나 된 이런 유물들이
    세계 곳곳에 숨어있다 발견되었습니다.
  • 5:05 - 5:07
    그런데 재밌는 점은
  • 5:07 - 5:10
    사실 이것의 작동 원리를
    우리는 모른다는 거예요.
  • 5:11 - 5:12
    저는 그 점이 흥미로웠습니다.
  • 5:13 - 5:15
    그래서 사무실로 돌아와서
  • 5:15 - 5:17
    두 개의 공식을 적었어요.
  • 5:17 - 5:20
    가해지는 회전력을 알고
  • 5:20 - 5:22
    원반의 항력과
  • 5:23 - 5:24
    이 꼬인 줄에서의 항력을 안다면
  • 5:24 - 5:27
    이걸 수학적으로 풀 수 있습니다.
  • 5:27 - 5:30
    이 공식뿐만 아니라
  • 5:30 - 5:32
    10쪽에 걸친 공식을 유도한 끝에
  • 5:32 - 5:36
    우리는 이 동적 시스템의
    완성된 해법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 5:36 - 5:40
    그 결과물이 바로
    "종이 원심 분리기"입니다.
  • 5:40 - 5:43
    이 분은 제 박사후 연구원인
    '사드 밤라'씨인데요.
  • 5:43 - 5:44
    종이 원심분리기의 공동발명자입니다.
  • 5:44 - 5:48
    사진의 왼쪽에 있는 것이 저희가
    교체하려 했던 원심분리기입니다.
  • 5:48 - 5:52
    여러분들이 보는 이 작은 물체는
  • 5:53 - 5:56
    원반과 2개의 실, 그리고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어요.
  • 5:56 - 5:57
    그리고 돌리려면..
  • 5:58 - 6:00
    줄을 당기면 원반이 회전하죠.
  • 6:00 - 6:02
    그리고 분석해보면
  • 6:03 - 6:04
    수학식을 풀어서
  • 6:06 - 6:08
    이 물체의 회전수를 계산해보면
  • 6:08 - 6:13
    이론적으로 분당 백만회까지 회전합니다.
  • 6:13 - 6:15
    그런데 인체 해부학 측면에서
    약간의 한계가 있는데요.
  • 6:15 - 6:18
    이 물체의 공진 주파수가
    10 Hz 정도 되기 때문입니다.
  • 6:18 - 6:19
    피아노를 쳐본 분이시라면
  • 6:19 - 6:22
    사람은 2 나 3 Hz 이상
    속도를 낼 수 없죠.
  • 6:22 - 6:25
    이 물체가 낼 수 있는
    최고 회전속도는
  • 6:25 - 6:27
    분당 10,000회도 아니고
  • 6:27 - 6:29
    50,000 회도 아닙니다.
  • 6:29 - 6:31
    분당 120,000회입니다.
  • 6:31 - 6:34
    중력의 3만 배나 되는
    원심력이 발생하죠.
  • 6:34 - 6:37
    여러분을 이 디스크에 붙여서
    회전시킨다고 가정하면
  • 6:37 - 6:40
    어느 정도의 힘을
    느끼게 될지 상상해보세요.
  • 6:40 - 6:46
    이런 도구들의 한가지 요인은
    진단에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 6:46 - 6:49
    그래서 제가 간단히
    시범을 보여드리겠습니다.
  • 6:50 - 6:54
    이제 제 손가락을 살짝 찌를 건데요.
  • 6:54 - 6:56
    피가 약간 나올 텐데
  • 6:56 - 6:59
    피 보는 게 싫으시면 안보셔도 돼요.
  • 6:59 - 7:00
    채혈 도구가 있어야 하고요.
  • 7:00 - 7:02
    이건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 7:02 - 7:04
    완전히 수동으로 작동하죠.
  • 7:04 - 7:07
    그리고.. 오늘 아침식사를 했다면...
  • 7:10 - 7:12
    하나도 안 아프네요.
  • 7:12 - 7:16
    이 작은 관으로 혈액을 채취합니다.
  • 7:16 - 7:18
    이제 이 한 방울의 혈액이
    모든 걸 말해줄 거예요.
  • 7:18 - 7:20
    가장 흥미로운 부분이죠.
  • 7:20 - 7:23
    제가 말라리아에 걸렸는지
    이걸로 바로 알 수 있습니다.
  • 7:23 - 7:25
    이 작은 관을 따라
  • 7:25 - 7:27
    혈액이 타고 나오는 걸 볼 수 있죠.
  • 7:28 - 7:30
    혈액이 조금 더 필요하겠네요.
  • 7:33 - 7:35
    이 정도면 충분할 것 같네요.
  • 7:36 - 7:40
    이제 이 관을 찰흙으로
    봉인하겠습니다.
  • 7:43 - 7:46
    이제 샘플이 봉인되었습니다.
  • 7:46 - 7:48
    이제 이 샘플을
  • 7:48 - 7:50
    종이 원심 분리기에 고정시킵니다.
  • 7:57 - 8:00
    테이프로 구멍을 막아줍니다.
  • 8:01 - 8:04
    이제 샘플은 완전히 봉인되었습니다.
  • 8:07 - 8:09
    회전시킬 준비가 되었네요.
  • 8:11 - 8:13
    이 물체를 당기고 밀어보겠습니다.
  • 8:13 - 8:15
    일단 좀 감아두고요.
  • 8:16 - 8:19
    물체가 돌기 시작하는 게 보이시죠.
  • 8:19 - 8:21
    일반적인 원심 분리기와는 달리
  • 8:21 - 8:24
    이것은 엇회전식 원심 분리기 입니다.
  • 8:24 - 8:27
    회전과 역회전이 반복되죠.
  • 8:27 - 8:29
    이제 점점 빨라집니다.
  • 8:29 - 8:31
    가속도가 붙은 게 보이시죠.
  • 8:32 - 8:35
    이 소리가 들리실지 모르겠네요.
  • 8:35 - 8:36
    이렇게 30초만에
  • 8:37 - 8:41
    혈구와 혈장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
  • 8:42 - 8:45
    혈구와 혈장의 비율은 --
  • 8:45 - 8:47
    (박수)
  • 8:48 - 8:51
    자 이제, 이 부분을 보시면
  • 8:52 - 8:54
    이 부분을 잘 보시면
  • 8:54 - 8:59
    혈액과 혈장이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 게 보이시죠.
  • 8:59 - 9:03
    그 비율에 따라 제가 빈혈이
    있는지 없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 9:03 - 9:07
    우리는 여러 종류의
    종이 원심 분리기를 만들 수 있어요.
  • 9:07 - 9:13
    이 도구를 조금 더 오래 돌리면
    말라리아 기생충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 9:13 - 9:17
    분리한 핼액 속에 있는
    말라리아 기생충을
  • 9:17 - 9:21
    기존의 원심 분리기와
    동일하게 찾아낼 수 있죠.
  • 9:21 - 9:25
    다른 도구는 핵산을 분리시켜
  • 9:25 - 9:29
    현지 조사에서 핵산 테스트를
    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 9:30 - 9:34
    이것은 대량의 샘플을
    분리시킬 수 있는 도구 입니다.
  • 9:34 - 9:36
    그리고 마지막으로
  • 9:36 - 9:38
    현재 개발중인 새로운 도구인데요.
  • 9:38 - 9:42
    이것 하나로 여러가지
    실험을 해볼 수 있습니다.
  • 9:42 - 9:47
    이 도구로 샘플 준비부터
    화학 실험까지 한번에 할 수 있죠.
  • 9:48 - 9:49
    이제...
  • 9:49 - 9:50
    다 좋은데요.
  • 9:50 - 9:54
    하지만 이런 도구를 고안했다면
    이걸 사람들에게 보급해야겠죠.
  • 9:54 - 9:58
    그 중 하나로 한 일은.. 저희는
    마다가스카에 막 돌아왔는데요.
  • 9:58 - 10:00
    이건 말라리아 임상실험을
    하고 있는 장면입니다.
  • 10:00 - 10:01
    (웃음)
  • 10:01 - 10:04
    여러분도 커피 마시면서
    할 수 있어요.
  • 10:04 - 10:05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이 있어요.
  • 10:06 - 10:10
    이 곳은 도로에서 6시간이나
    떨어진 곳에 있는 마을입니다.
  • 10:10 - 10:16
    저희는 그 마을의 한 어르신과
    의료 전문가와 함께 있었는데요.
  • 10:16 - 10:20
    저를 가장 흥분되게 하는 부분은
  • 10:20 - 10:21
    바로 저 미소입니다.
  • 10:21 - 10:25
    단순하지만 이렇게 강력한 도구를
    세계 곳곳에 보급할 수 있다는 점이죠.
  • 10:25 - 10:28
    한가지 빠뜨린 것이 있는데요.
  • 10:28 - 10:30
    이 모든 것을 만드는데
    20센트 밖에 안들었어요.
  • 10:32 - 10:34
    발표 시간이 마이너스네요.
    그럼 남은 시간 동안은
  • 10:34 - 10:36
    우리 연구실에서 가장 최근에 --
  • 10:37 - 10:38
    (웃음)
  • 10:38 - 10:40
    발명한 것을 보여드릴게요.
  • 10:40 - 10:41
    어버즈(Abuzz)라는 건데요.
  • 10:42 - 10:46
    여러분의 도움을 얻어서 모기와
    싸울 수 있도록 하자는 개념입니다.
  • 10:46 - 10:48
    우리 적을 찾을 수 있도록
    여러분이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10:48 - 10:52
    모기가 적인 이유는 말라리아, 지카,
    치쿤쿠니아, 뎅기열을 옮기기 때문이죠.
  • 10:52 - 10:57
    그런데 점은 그 적들이 실제로
    어디에 있는지를 모른다는 점입니다.
  • 10:57 - 11:00
    모기 서식지를 표시한 지도는 없잖아요.
  • 11:00 - 11:02
    그래서 생각해봤습니다.
  • 11:02 - 11:05
    3,500종의 모기들이 존재하는데
    모두가 거의 비슷하게 생겼어요.
  • 11:05 - 11:07
    몇몇은 아주 똑같이 생겨서
  • 11:07 - 11:10
    곤충학자조차 현미경으로 봐도
    구분하기 힘듭니다.
  • 11:11 - 11:13
    그러나 그들에게도 약점은 있죠.
  • 11:13 - 11:16
    이것은 모기들이 서로
    작업을 거는 모습인데요.
  • 11:16 - 11:18
    수컷이 암컷을 따라다닙니다.
  • 11:18 - 11:22
    사실 이들은 날개짓 주파수로
    대화를 하고 있습니다.
  • 11:22 - 11:23
    (윙윙 소리)
  • 11:23 - 11:26
    그러므로, 그들만의 신호가 있지요.
  • 11:27 - 11:30
    이제 이런 보통 핸드폰으로
  • 11:30 - 11:33
    5-10달러 짜리 폴더폰으로--
  • 11:33 - 11:35
    이 핸드폰을 기억하는 분 계신가요?
  • 11:35 - 11:36
    (웃음)
  • 11:36 - 11:40
    모기의 음향 신호를
    녹음할 수 있습니다.
  • 11:40 - 11:42
    방법을 정확히 알려드릴게요.
  • 11:42 - 11:44
    밖에서 모기를 잡아왔는데요.
  • 11:44 - 11:46
    빌 게이츠와는 달리, 저는
    이 모기들을 놔주지 않을 겁니다.
  • 11:46 - 11:47
    (웃음)
  • 11:47 - 11:50
    그러면 어떻게 소리를
    녹음하는지 알려드릴게요.
  • 11:50 - 11:52
    그냥 툭 치기만 하면 됩니다.
    그러면 모기가 날라가죠.
  • 11:52 - 11:54
    먼저 소리를 들어보고요.
  • 11:54 - 11:55
    지금 실제로 소리가 들리네요.
  • 11:55 - 11:58
    그리고 마이크가 장착된
    핸드폰을 가져와서 --
  • 11:58 - 12:01
    그냥 보통 핸드폰인데,
    마이크 성능이 아주 좋아요.
  • 12:01 - 12:04
    가까운 소리는 녹음이 잘 됩니다.
  • 12:04 - 12:06
    지금은 시간이 없기 때문에
  • 12:06 - 12:10
    제가 어제 녹음한 것을 들려드릴게요.
  • 12:10 - 12:12
    (모기 윙윙거리는 소리)
  • 12:12 - 12:15
    여러분이 평소 듣던
    아주 매력적인 소리죠.
  • 12:15 - 12:17
    다들 좋아하는 소리죠?
  • 12:19 - 12:20
    이것의 장점은
  • 12:20 - 12:23
    이 방법으로 보통 핸드폰으로도
  • 12:24 - 12:27
    어떤 종류의 모기인지
    알 수 있다는 점입니다.
  • 12:28 - 12:29
    이런 폴더폰을 사용해서
  • 12:29 - 12:33
    저희는 병원균을 옮기는
    20-25종 모기들의
  • 12:33 - 12:38
    음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습니다.
  • 12:38 - 12:39
    이 자료와 머신러닝 기술을 통해서
  • 12:39 - 12:41
    누구든 데이터를 업로드하면
  • 12:41 - 12:46
    어떤 종류의 모기일 가능성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죠.
  • 12:46 - 12:47
    어버즈(Abuzz)라고 하고요.
  • 12:47 - 12:50
    가입을 원하시면
    웹사이트를 방문해주세요.
  • 12:51 - 12:52
    마지막으로
  • 12:52 - 12:54
    아주 중요하고, 제가 늘 새기고
    있는 말을 해드리겠습니다.
  • 12:56 - 12:59
    오늘날 우리에게 닥친 어려움 중 하나는
    아주 심각한 문제들을 많다는 것입니다.
  • 12:59 - 13:02
    백만 명의 인구가 의료 시설이
    전혀 없는 곳에서 살고 있고요.
  • 13:02 - 13:06
    기후변화, 생물 다양성의 감소
    등등 많은 문제를 안고 있죠.
  • 13:06 - 13:09
    우리는 과학이 이런 문제들을
    해결해 줄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 13:10 - 13:14
    그러나 오늘 이 강연장을 떠나기 전에
    한가지 약속을 해 주셨으면 합니다.
  • 13:14 - 13:16
    누구나 과학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약속이요.
  • 13:17 - 13:19
    여유가 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 13:19 - 13:21
    그렇지 않은 백만명의
    사람들한테 까지도요.
  • 13:22 - 13:26
    과학과 과학적 능력을
    인권으로 만들어봅시다.
  • 13:28 - 13:32
    무언가 발견할 수 있을 것 같은
    찌릿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 13:32 - 13:34
    아이들에게 영감을 주면
  • 13:34 - 13:38
    다음 세대에는 그 아이들이
    이런 심각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 13:38 - 13:40
    가능성을 열어주게 될 것입니다.
  • 13:40 - 13:42
    감사합니다.
  • 13:42 - 13:45
    (박수)
Title:
생명을 구하는 종이 과학 도구
Speaker:
마누 프라카시(Manu Prakash)
Description:

발명가 마누 프라카시는 종이 현미경부터 기발한 모기 추적기까지 일상생활의 사물을 강력한 과학 도구로 바꿉니다. 이 TED 강연에서는 20센트에 불과한 회전 장난감에서 영감을 얻어 발명한 수동 종이 원심분리기를 소개하고, 전력이 필요하지 않은 이 도구가 1000 달러를 호가하는 기존 원심분리기를 대신할 수 있을 거라고 설명합니다.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closed TED
Project:
TEDTalks
Duration:
13:58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