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1,150 --> 00:00:04,285 저는 도구를 만들고, 그것을 사람들과 공유하는 걸 좋아합니다. 2 00:00:05,118 --> 00:00:06,508 제가 어렸을 때 3 00:00:06,532 --> 00:00:09,825 가장 처음으로 만들었던 도구는 현미경으로 기억하는데요. 4 00:00:09,849 --> 00:00:13,521 제 남동생의 안경 렌즈를 훔쳐와서 만들었죠. 5 00:00:14,289 --> 00:00:16,076 동생은 별로 좋아하지 않았죠. 6 00:00:16,100 --> 00:00:18,270 어쩌면 그 때부터 시작해서 7 00:00:18,294 --> 00:00:19,447 30년이 지난 지금도 8 00:00:19,471 --> 00:00:21,359 현미경을 만들고 있는 것 같습니다. 9 00:00:22,359 --> 00:00:25,658 그리고 이런 도구들을 만드는 이유는 이런 순간들 때문입니다. 10 00:00:27,559 --> 00:00:29,979 (비디오) 소녀: 내 머리카락 속에 검정색의 무언가가 있어요. 11 00:00:30,003 --> 00:00:32,278 마누 프라카쉬: 여기는 샌프란시스코의 어느 학교입니다. 12 00:00:32,840 --> 00:00:37,304 (비디오) MP: 현실 세계는 세상이 실제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대한 13 00:00:37,328 --> 00:00:39,295 상상력을 지배합니다. 14 00:00:39,319 --> 00:00:41,770 (비디오) 소년: 오 마이 갓! 15 00:00:43,773 --> 00:00:46,125 MP: 맞아요. '오 마이 갓!' 16 00:00:46,621 --> 00:00:49,622 이 표현이 세계적으로 쓰이고 있다는 걸 이제 알았네요. 17 00:00:51,123 --> 00:00:52,923 지난 2년 간 18 00:00:52,947 --> 00:00:56,234 저희 연구실에서는 5만개의 종이현미경을 만들었습니다. 19 00:00:56,237 --> 00:00:59,147 그리고 전 세계 130개 나라에 전달했습니다. 20 00:00:59,171 --> 00:01:01,757 어린이들에게는 무료로 말이죠. 21 00:01:02,238 --> 00:01:03,481 금년에는 22 00:01:03,505 --> 00:01:05,637 지역사회의 도움으로 23 00:01:05,661 --> 00:01:09,401 백만개의 현미경을 전 세계 어린이들에게 보낼 계획입니다. 24 00:01:10,034 --> 00:01:11,604 이것이 무슨 도움이 될까요? 25 00:01:11,628 --> 00:01:15,384 전 세계적으로 영감을 주는 인재 양성에 도움이 될 겁니다. 26 00:01:15,408 --> 00:01:17,080 서로 배우고 가르치면서 말이죠. 27 00:01:17,104 --> 00:01:21,194 케냐에서 캄팔라까지, 카투만두에서 켄자스까지 말이죠. 28 00:01:21,218 --> 00:01:23,863 그리고 제가 가장 좋아하는 경이로운 점 중 하나는 29 00:01:23,887 --> 00:01:25,443 공동체 의식이에요. 30 00:01:25,871 --> 00:01:27,263 니카라과의 한 아이는 31 00:01:27,287 --> 00:01:30,141 모기 유충을 현미경으로 관찰해서 32 00:01:30,141 --> 00:01:33,923 뎅기열 전염 모기를 가려내는 법을 사람들에게 가르쳐주고 있어요. 33 00:01:33,947 --> 00:01:38,779 어느 약리학자는 가짜 약을 구별하는 신기술을 찾아내기도 했습니다. 34 00:01:39,402 --> 00:01:43,211 결정체가 반짝거리는 이유를 궁금해했던 어느 소녀는 35 00:01:43,211 --> 00:01:46,926 반짝이는 결정체가 만들어지는 물리 법칙을 발견하기도 했습니다. 36 00:01:47,713 --> 00:01:53,488 이 도구로 자궁경부암 검진을 시도한 어느 아르헨티나 의사는 37 00:01:53,628 --> 00:01:57,366 저의 발 뒷꿈치에 1 cm나 파고들어 가 있었던 38 00:01:57,390 --> 00:02:02,166 벼룩의 한 종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39 00:02:03,321 --> 00:02:07,878 이것들이 이례적인 사례라고 생각하는 분도 계실지 모르지만 40 00:02:07,925 --> 00:02:10,395 이런 이례적인 발견을 위한 한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41 00:02:10,617 --> 00:02:12,847 저는 이를 두고 "검소한 과학" 이라 부릅니다. 42 00:02:12,871 --> 00:02:16,723 과학적 경험을 공유하는 것이죠. 43 00:02:16,747 --> 00:02:18,702 단지 정보만 공유하는 것은 아니고요. 44 00:02:19,011 --> 00:02:20,226 잘 생각해보시면 45 00:02:20,250 --> 00:02:22,334 전 세계 10억 명의 사람들이 46 00:02:22,358 --> 00:02:24,873 사회기반시설이 전혀 없거나 47 00:02:24,897 --> 00:02:26,511 도로도 없고 48 00:02:26,535 --> 00:02:27,917 전기도 없고 49 00:02:27,941 --> 00:02:30,457 의료시설도 없는 곳에서 살고 있습니다. 50 00:02:30,967 --> 00:02:35,203 빈곤 속에서 살고 있는 10억 명의 아이들도 있죠. 51 00:02:35,700 --> 00:02:39,688 그들이 다음 세대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어떻게 영감을 불어 넣어야 할까요? 52 00:02:40,264 --> 00:02:42,376 우리는 의료계 종사자들의 도움으로 53 00:02:42,396 --> 00:02:44,808 감염병과 싸우고 54 00:02:44,808 --> 00:02:49,435 최소한의 도구와 자원으로 우리 스스로를 지키고 있습니다. 55 00:02:50,584 --> 00:02:52,178 그래서 스탠퍼드 연구실에서 56 00:02:52,202 --> 00:02:56,139 저는 이것을 검소한 과학과 같은 맥락에 있다고 봅니다. 57 00:02:56,163 --> 00:02:58,748 그런 빈곤 지역 개선을 위한 해결책을 내놓고 있으니까요. 58 00:02:58,772 --> 00:03:03,354 종종 우리는 간단한 방법으로 병을 진단할 수 있기를 원합니다. 59 00:03:03,816 --> 00:03:06,545 오늘 저는 두 가지 새로운 도구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60 00:03:06,569 --> 00:03:08,374 그 중 하나는 우간다에서 시작되었는데요. 61 00:03:08,751 --> 00:03:10,280 2013년에 62 00:03:10,304 --> 00:03:14,350 종이 현미경으로 주혈흡충증을 찾으려고 현지 조사를 나갔을 때 63 00:03:14,374 --> 00:03:16,932 사소한 관찰을 하게 되었습니다. 64 00:03:16,956 --> 00:03:19,913 아주 외딴 지역에 있는 진료소에서 65 00:03:19,920 --> 00:03:23,508 원심 분리기가 문을 고정시켜놓는 용도로 사용되는 걸 보았습니다. 66 00:03:24,192 --> 00:03:26,583 말 그대로 문버팀쇠로 쓰이고 있었어요. 67 00:03:26,607 --> 00:03:28,333 사람들에게 물어보니 이렇게 말하더군요. 68 00:03:28,357 --> 00:03:30,384 "오, 여기는 전기가 안들어와요. 69 00:03:30,408 --> 00:03:33,937 그래서 이게 문버팀쇠로 쓰기에 딱 좋아요." 70 00:03:34,624 --> 00:03:37,326 원심 분리기가 무엇인지 잘 모르는 분들도 계실텐데요. 71 00:03:37,350 --> 00:03:40,574 이것은 샘플 처리를 위한 도구입니다. 72 00:03:40,598 --> 00:03:43,340 핼액과 체액 성분을 분리시켜서 73 00:03:43,364 --> 00:03:45,824 병원균을 찾아낼 수 있는 장비죠. 74 00:03:46,419 --> 00:03:49,253 그러나 원심 분리기는 부피가 크고, 비싸요. 75 00:03:49,277 --> 00:03:51,471 아마 천 달러 정도 할 거예요. 76 00:03:51,495 --> 00:03:53,501 그리고 들고 다니기도 어렵죠. 77 00:03:53,525 --> 00:03:55,914 물론 전기 없이는 작동이 안되죠. 78 00:03:55,914 --> 00:03:57,556 이해가 되시죠? 79 00:03:57,580 --> 00:04:00,128 그래서 저희는 이 문제의 해결 방법을 찾기 시작했어요. 80 00:04:00,152 --> 00:04:03,282 현지 조사에서 돌아와서도 계속 장난감들을 생각했어요. 81 00:04:03,818 --> 00:04:04,982 여기에 82 00:04:06,030 --> 00:04:07,788 몇 개 가지고 왔는데요. 83 00:04:07,812 --> 00:04:09,919 처음에는 요요로 시작했어요. 84 00:04:09,943 --> 00:04:12,574 저는 요요를 정말 못합니다. 85 00:04:12,923 --> 00:04:15,344 이 장난감이 회전하는 걸 보고 저희는 궁금했어요. 86 00:04:15,344 --> 00:04:17,515 실제로 이런 장난감의 물리 법칙을 이용해서 87 00:04:17,515 --> 00:04:19,524 원심 분리기를 만들 수 있을지 생각했죠. 88 00:04:21,257 --> 00:04:23,747 평소엔 이것보다 잘 하는데요. 89 00:04:24,436 --> 00:04:25,929 눈치채신 분도 계실텐데요. 90 00:04:25,953 --> 00:04:28,586 가능성 있는 장난감들을 찾다 보니 91 00:04:28,586 --> 00:04:31,421 이런 팽이 장난감도 시도해 보았고요. 92 00:04:31,445 --> 00:04:33,327 그러다가 실험실에서 93 00:04:33,351 --> 00:04:35,433 우연히 이 물체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94 00:04:35,770 --> 00:04:39,256 이것은 회전 바퀴입니다. 붕붕이나 회전차라고도 하죠. 95 00:04:39,280 --> 00:04:41,697 두 개의 줄과 작은 원반으로 되어 있는데요. 96 00:04:41,721 --> 00:04:43,928 줄을 당기면 원반이 돌아가죠. 97 00:04:44,350 --> 00:04:46,694 어렸을 때 이 장난감으로 놀아보신 분 계신가요? 98 00:04:46,718 --> 00:04:48,340 팔랑개비 팽이라고 불렸죠. 99 00:04:48,340 --> 00:04:50,226 네. 절반 정도나 되네요. 100 00:04:50,250 --> 00:04:51,808 다들 잘 모르는 사실은 101 00:04:51,832 --> 00:04:54,145 이 작은 물체가 102 00:04:54,169 --> 00:04:58,532 인류역사상 가장 오래된 장난감이라는 것입니다. 103 00:04:59,007 --> 00:05:04,152 5000년이나 된 이런 유물들이 세계 곳곳에 숨어있다 발견되었습니다. 104 00:05:05,104 --> 00:05:07,045 그런데 재밌는 점은 105 00:05:07,069 --> 00:05:10,374 사실 이것의 작동 원리를 우리는 모른다는 거예요. 106 00:05:10,828 --> 00:05:12,231 저는 그 점이 흥미로웠습니다. 107 00:05:12,797 --> 00:05:14,878 그래서 사무실로 돌아와서 108 00:05:14,902 --> 00:05:16,692 두 개의 공식을 적었어요. 109 00:05:17,056 --> 00:05:20,369 가해지는 회전력을 알고 110 00:05:20,393 --> 00:05:22,497 원반의 항력과 111 00:05:22,521 --> 00:05:24,426 이 꼬인 줄에서의 항력을 안다면 112 00:05:24,450 --> 00:05:26,939 이걸 수학적으로 풀 수 있습니다. 113 00:05:26,963 --> 00:05:29,771 이 공식뿐만 아니라 114 00:05:29,795 --> 00:05:31,627 10쪽에 걸친 공식을 유도한 끝에 115 00:05:31,651 --> 00:05:36,320 우리는 이 동적 시스템의 완성된 해법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116 00:05:36,388 --> 00:05:39,999 그 결과물이 바로 "종이 원심 분리기"입니다. 117 00:05:40,023 --> 00:05:42,567 이 분은 제 박사후 연구원인 '사드 밤라'씨인데요. 118 00:05:42,591 --> 00:05:44,258 종이 원심분리기의 공동발명자입니다. 119 00:05:44,282 --> 00:05:48,007 사진의 왼쪽에 있는 것이 저희가 교체하려 했던 원심분리기입니다. 120 00:05:48,007 --> 00:05:51,709 여러분들이 보는 이 작은 물체는 121 00:05:52,939 --> 00:05:56,184 원반과 2개의 실, 그리고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어요. 122 00:05:56,208 --> 00:05:57,382 그리고 돌리려면.. 123 00:05:57,940 --> 00:06:00,123 줄을 당기면 원반이 회전하죠. 124 00:06:00,123 --> 00:06:02,378 그리고 분석해보면 125 00:06:02,950 --> 00:06:04,345 수학식을 풀어서 126 00:06:05,579 --> 00:06:08,069 이 물체의 회전수를 계산해보면 127 00:06:08,093 --> 00:06:12,825 이론적으로 분당 백만회까지 회전합니다. 128 00:06:12,849 --> 00:06:15,042 그런데 인체 해부학 측면에서 약간의 한계가 있는데요. 129 00:06:15,066 --> 00:06:17,785 이 물체의 공진 주파수가 10 Hz 정도 되기 때문입니다. 130 00:06:17,785 --> 00:06:19,313 피아노를 쳐본 분이시라면 131 00:06:19,313 --> 00:06:21,527 사람은 2 나 3 Hz 이상 속도를 낼 수 없죠. 132 00:06:22,111 --> 00:06:25,375 이 물체가 낼 수 있는 최고 회전속도는 133 00:06:25,399 --> 00:06:27,328 분당 10,000회도 아니고 134 00:06:27,352 --> 00:06:28,956 50,000 회도 아닙니다. 135 00:06:28,980 --> 00:06:30,905 분당 120,000회입니다. 136 00:06:30,929 --> 00:06:33,733 중력의 3만 배나 되는 원심력이 발생하죠. 137 00:06:33,757 --> 00:06:36,964 여러분을 이 디스크에 붙여서 회전시킨다고 가정하면 138 00:06:36,988 --> 00:06:39,967 어느 정도의 힘을 느끼게 될지 상상해보세요. 139 00:06:40,441 --> 00:06:45,719 이런 도구들의 한가지 요인은 진단에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140 00:06:45,721 --> 00:06:49,291 그래서 제가 간단히 시범을 보여드리겠습니다. 141 00:06:50,442 --> 00:06:54,037 이제 제 손가락을 살짝 찌를 건데요. 142 00:06:54,061 --> 00:06:55,920 피가 약간 나올 텐데 143 00:06:55,920 --> 00:06:58,511 피 보는 게 싫으시면 안보셔도 돼요. 144 00:06:59,005 --> 00:07:00,344 채혈 도구가 있어야 하고요. 145 00:07:00,368 --> 00:07:02,238 이건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146 00:07:02,262 --> 00:07:03,785 완전히 수동으로 작동하죠. 147 00:07:03,809 --> 00:07:07,395 그리고.. 오늘 아침식사를 했다면... 148 00:07:10,047 --> 00:07:11,534 하나도 안 아프네요. 149 00:07:11,558 --> 00:07:15,542 이 작은 관으로 혈액을 채취합니다. 150 00:07:15,566 --> 00:07:17,825 이제 이 한 방울의 혈액이 모든 걸 말해줄 거예요. 151 00:07:17,849 --> 00:07:19,528 가장 흥미로운 부분이죠. 152 00:07:19,910 --> 00:07:23,377 제가 말라리아에 걸렸는지 이걸로 바로 알 수 있습니다. 153 00:07:23,401 --> 00:07:25,233 이 작은 관을 따라 154 00:07:25,257 --> 00:07:27,382 혈액이 타고 나오는 걸 볼 수 있죠. 155 00:07:27,888 --> 00:07:30,156 혈액이 조금 더 필요하겠네요. 156 00:07:32,782 --> 00:07:35,025 이 정도면 충분할 것 같네요. 157 00:07:35,519 --> 00:07:39,649 이제 이 관을 찰흙으로 봉인하겠습니다. 158 00:07:43,492 --> 00:07:45,772 이제 샘플이 봉인되었습니다. 159 00:07:45,796 --> 00:07:47,925 이제 이 샘플을 160 00:07:47,949 --> 00:07:49,913 종이 원심 분리기에 고정시킵니다. 161 00:07:57,092 --> 00:08:00,480 테이프로 구멍을 막아줍니다. 162 00:08:00,975 --> 00:08:03,870 이제 샘플은 완전히 봉인되었습니다. 163 00:08:07,107 --> 00:08:09,400 회전시킬 준비가 되었네요. 164 00:08:11,019 --> 00:08:13,060 이 물체를 당기고 밀어보겠습니다. 165 00:08:13,084 --> 00:08:14,783 일단 좀 감아두고요. 166 00:08:16,277 --> 00:08:18,560 물체가 돌기 시작하는 게 보이시죠. 167 00:08:18,584 --> 00:08:20,598 일반적인 원심 분리기와는 달리 168 00:08:20,622 --> 00:08:24,401 이것은 엇회전식 원심 분리기 입니다. 169 00:08:24,425 --> 00:08:26,761 회전과 역회전이 반복되죠. 170 00:08:27,221 --> 00:08:29,349 이제 점점 빨라집니다. 171 00:08:29,373 --> 00:08:31,201 가속도가 붙은 게 보이시죠. 172 00:08:32,185 --> 00:08:34,797 이 소리가 들리실지 모르겠네요. 173 00:08:34,821 --> 00:08:36,360 이렇게 30초만에 174 00:08:36,989 --> 00:08:41,314 혈구와 혈장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 175 00:08:41,938 --> 00:08:44,751 혈구와 혈장의 비율은 -- 176 00:08:44,775 --> 00:08:46,789 (박수) 177 00:08:48,439 --> 00:08:50,774 자 이제, 이 부분을 보시면 178 00:08:52,206 --> 00:08:53,830 이 부분을 잘 보시면 179 00:08:53,854 --> 00:08:58,599 혈액과 혈장이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 게 보이시죠. 180 00:08:59,154 --> 00:09:03,077 그 비율에 따라 제가 빈혈이 있는지 없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181 00:09:03,101 --> 00:09:07,138 우리는 여러 종류의 종이 원심 분리기를 만들 수 있어요. 182 00:09:07,162 --> 00:09:13,458 이 도구를 조금 더 오래 돌리면 말라리아 기생충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183 00:09:13,493 --> 00:09:17,059 분리한 핼액 속에 있는 말라리아 기생충을 184 00:09:17,083 --> 00:09:20,657 기존의 원심 분리기와 동일하게 찾아낼 수 있죠. 185 00:09:20,681 --> 00:09:25,161 다른 도구는 핵산을 분리시켜 186 00:09:25,185 --> 00:09:28,742 현지 조사에서 핵산 테스트를 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187 00:09:29,573 --> 00:09:33,917 이것은 대량의 샘플을 분리시킬 수 있는 도구 입니다. 188 00:09:33,941 --> 00:09:35,511 그리고 마지막으로 189 00:09:35,535 --> 00:09:37,535 현재 개발중인 새로운 도구인데요. 190 00:09:37,559 --> 00:09:42,354 이것 하나로 여러가지 실험을 해볼 수 있습니다. 191 00:09:42,378 --> 00:09:46,715 이 도구로 샘플 준비부터 화학 실험까지 한번에 할 수 있죠. 192 00:09:47,540 --> 00:09:48,826 이제... 193 00:09:48,850 --> 00:09:50,120 다 좋은데요. 194 00:09:50,144 --> 00:09:54,181 하지만 이런 도구를 고안했다면 이걸 사람들에게 보급해야겠죠. 195 00:09:54,188 --> 00:09:57,570 그 중 하나로 한 일은.. 저희는 마다가스카에 막 돌아왔는데요. 196 00:09:57,594 --> 00:10:00,172 이건 말라리아 임상실험을 하고 있는 장면입니다. 197 00:10:00,196 --> 00:10:01,199 (웃음) 198 00:10:01,223 --> 00:10:03,580 여러분도 커피 마시면서 할 수 있어요. 199 00:10:03,604 --> 00:10:05,477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이 있어요. 200 00:10:05,501 --> 00:10:09,563 이 곳은 도로에서 6시간이나 떨어진 곳에 있는 마을입니다. 201 00:10:10,036 --> 00:10:16,143 저희는 그 마을의 한 어르신과 의료 전문가와 함께 있었는데요. 202 00:10:16,160 --> 00:10:19,657 저를 가장 흥분되게 하는 부분은 203 00:10:19,681 --> 00:10:20,839 바로 저 미소입니다. 204 00:10:20,863 --> 00:10:24,737 단순하지만 이렇게 강력한 도구를 세계 곳곳에 보급할 수 있다는 점이죠. 205 00:10:25,479 --> 00:10:27,781 한가지 빠뜨린 것이 있는데요. 206 00:10:27,805 --> 00:10:30,208 이 모든 것을 만드는데 20센트 밖에 안들었어요. 207 00:10:31,510 --> 00:10:34,392 발표 시간이 마이너스네요. 그럼 남은 시간 동안은 208 00:10:34,416 --> 00:10:36,482 우리 연구실에서 가장 최근에 -- 209 00:10:36,506 --> 00:10:37,626 (웃음) 210 00:10:37,650 --> 00:10:39,520 발명한 것을 보여드릴게요. 211 00:10:39,544 --> 00:10:41,117 어버즈(Abuzz)라는 건데요. 212 00:10:41,618 --> 00:10:45,752 여러분의 도움을 얻어서 모기와 싸울 수 있도록 하자는 개념입니다. 213 00:10:45,776 --> 00:10:48,043 우리 적을 찾을 수 있도록 여러분이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214 00:10:48,067 --> 00:10:52,055 모기가 적인 이유는 말라리아, 지카, 치쿤쿠니아, 뎅기열을 옮기기 때문이죠. 215 00:10:52,079 --> 00:10:56,863 그런데 점은 그 적들이 실제로 어디에 있는지를 모른다는 점입니다. 216 00:10:56,887 --> 00:10:59,866 모기 서식지를 표시한 지도는 없잖아요. 217 00:11:00,303 --> 00:11:01,790 그래서 생각해봤습니다. 218 00:11:01,790 --> 00:11:05,395 3,500종의 모기들이 존재하는데 모두가 거의 비슷하게 생겼어요. 219 00:11:05,395 --> 00:11:06,995 몇몇은 아주 똑같이 생겨서 220 00:11:07,019 --> 00:11:10,407 곤충학자조차 현미경으로 봐도 구분하기 힘듭니다. 221 00:11:11,096 --> 00:11:12,881 그러나 그들에게도 약점은 있죠. 222 00:11:12,905 --> 00:11:16,105 이것은 모기들이 서로 작업을 거는 모습인데요. 223 00:11:16,129 --> 00:11:18,358 수컷이 암컷을 따라다닙니다. 224 00:11:18,382 --> 00:11:22,203 사실 이들은 날개짓 주파수로 대화를 하고 있습니다. 225 00:11:22,227 --> 00:11:23,267 (윙윙 소리) 226 00:11:23,291 --> 00:11:25,648 그러므로, 그들만의 신호가 있지요. 227 00:11:26,652 --> 00:11:30,016 이제 이런 보통 핸드폰으로 228 00:11:30,040 --> 00:11:32,581 5-10달러 짜리 폴더폰으로-- 229 00:11:32,605 --> 00:11:34,707 이 핸드폰을 기억하는 분 계신가요? 230 00:11:34,731 --> 00:11:35,791 (웃음) 231 00:11:35,815 --> 00:11:39,976 모기의 음향 신호를 녹음할 수 있습니다. 232 00:11:40,000 --> 00:11:41,936 방법을 정확히 알려드릴게요. 233 00:11:41,960 --> 00:11:43,651 밖에서 모기를 잡아왔는데요. 234 00:11:43,675 --> 00:11:46,063 빌 게이츠와는 달리, 저는 이 모기들을 놔주지 않을 겁니다. 235 00:11:46,087 --> 00:11:47,127 (웃음) 236 00:11:47,151 --> 00:11:49,726 그러면 어떻게 소리를 녹음하는지 알려드릴게요. 237 00:11:49,750 --> 00:11:52,192 그냥 툭 치기만 하면 됩니다. 그러면 모기가 날라가죠. 238 00:11:52,216 --> 00:11:53,557 먼저 소리를 들어보고요. 239 00:11:53,581 --> 00:11:55,333 지금 실제로 소리가 들리네요. 240 00:11:55,357 --> 00:11:57,811 그리고 마이크가 장착된 핸드폰을 가져와서 -- 241 00:11:57,835 --> 00:12:01,401 그냥 보통 핸드폰인데, 마이크 성능이 아주 좋아요. 242 00:12:01,489 --> 00:12:03,922 가까운 소리는 녹음이 잘 됩니다. 243 00:12:03,946 --> 00:12:06,084 지금은 시간이 없기 때문에 244 00:12:06,108 --> 00:12:09,800 제가 어제 녹음한 것을 들려드릴게요. 245 00:12:09,824 --> 00:12:12,364 (모기 윙윙거리는 소리) 246 00:12:12,388 --> 00:12:15,316 여러분이 평소 듣던 아주 매력적인 소리죠. 247 00:12:15,340 --> 00:12:16,524 다들 좋아하는 소리죠? 248 00:12:18,786 --> 00:12:20,207 이것의 장점은 249 00:12:20,231 --> 00:12:23,097 이 방법으로 보통 핸드폰으로도 250 00:12:23,577 --> 00:12:27,067 어떤 종류의 모기인지 알 수 있다는 점입니다. 251 00:12:27,657 --> 00:12:29,349 이런 폴더폰을 사용해서 252 00:12:29,373 --> 00:12:33,341 저희는 병원균을 옮기는 20-25종 모기들의 253 00:12:33,341 --> 00:12:37,603 음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습니다. 254 00:12:37,627 --> 00:12:39,306 이 자료와 머신러닝 기술을 통해서 255 00:12:39,330 --> 00:12:41,114 누구든 데이터를 업로드하면 256 00:12:41,138 --> 00:12:45,668 어떤 종류의 모기일 가능성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죠. 257 00:12:45,668 --> 00:12:47,117 어버즈(Abuzz)라고 하고요. 258 00:12:47,117 --> 00:12:50,065 가입을 원하시면 웹사이트를 방문해주세요. 259 00:12:50,523 --> 00:12:52,165 마지막으로 260 00:12:52,189 --> 00:12:54,490 아주 중요하고, 제가 늘 새기고 있는 말을 해드리겠습니다. 261 00:12:55,504 --> 00:12:59,451 오늘날 우리에게 닥친 어려움 중 하나는 아주 심각한 문제들을 많다는 것입니다. 262 00:12:59,475 --> 00:13:02,373 백만 명의 인구가 의료 시설이 전혀 없는 곳에서 살고 있고요. 263 00:13:02,397 --> 00:13:05,672 기후변화, 생물 다양성의 감소 등등 많은 문제를 안고 있죠. 264 00:13:06,226 --> 00:13:09,176 우리는 과학이 이런 문제들을 해결해 줄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265 00:13:09,590 --> 00:13:13,538 그러나 오늘 이 강연장을 떠나기 전에 한가지 약속을 해 주셨으면 합니다. 266 00:13:13,925 --> 00:13:16,303 누구나 과학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약속이요. 267 00:13:17,066 --> 00:13:19,205 여유가 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268 00:13:19,229 --> 00:13:21,111 그렇지 않은 백만명의 사람들한테 까지도요. 269 00:13:21,761 --> 00:13:25,777 과학과 과학적 능력을 인권으로 만들어봅시다. 270 00:13:27,564 --> 00:13:32,223 무언가 발견할 수 있을 것 같은 찌릿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271 00:13:32,223 --> 00:13:33,774 아이들에게 영감을 주면 272 00:13:34,443 --> 00:13:38,235 다음 세대에는 그 아이들이 이런 심각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273 00:13:38,259 --> 00:13:40,367 가능성을 열어주게 될 것입니다. 274 00:13:40,391 --> 00:13:41,566 감사합니다. 275 00:13:41,590 --> 00:13:44,968 (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