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전 토니이고
Every Frame a Painting을 시작합니다
한 번 시작해보죠
-
오늘의 주제는 마틴 스콜세지와
정적의 예술입니다
-
스콜세지는 음악의 사용으로 유명하지만,
그의 위대한 특성 중 하나는
-
사실 신중하고 강력한 정적의 이용이죠
-
인터뷰에서 그는 성난 황소에서의 이런 작업을
도운 프랭크 워너를 언급했습니다
-
한참 후, 많음 효과음이 만들어졌고
우리는 항상
-
그걸 빼는 것에 대해 얘기했죠
장면이 정적 속에 흘러가도록요
-
귀를 심하게 많이 맞은 것
같은 먹먹한 효과들이죠
-
이 장면은 제이크 라모타가 종교적 도살에
스스로를 내던지는
-
유명한 장면입니다
-
스콜세지의 필모를 살펴보시면
이런 컨셉의 흥미로운 변형들이 있어요
-
실제로 그의 작품을 다른 작품들과
비교해 볼 수 있죠
-
예를 들어, 무간도 원작에서
-
이 중대한 사건의 순간에 음악이 깔립니다
-
하지만 리메이크에선...
-
당신이 어떤 영화를 더 좋아하느냐에
상관없이 이 두 영화의 비교 과정은
-
연구할 만한 요소로 가득찼습니다
-
어떤 경우, 스콜세지는 영화를
효과음으로 절정까지 끌고 갑니다
-
그리곤 정적이 흐르죠
이 예제는 사실 꽤 극단적인데
-
영화에서 가장 시끄러운 장면 뒤에
가장 조용한 장면이 붙어있거든요
-
또 다른 경우에선 정적이 장면의
핵심적인 드라마 부분이기도 합니다, 유명한 장면으로는...
-
내가 어떻게 웃긴다는 거냐?
내 뭐가 씨발 그렇게 웃긴데? 말해봐
-
뭐가 웃긴지 말해봐
-
- 지랄하고 있네
그의 50년간 작품들을
-
모두 보면, 정적을 재미있게
이용하는 방법이 많이 있습니다
-
장면을 더 주관적으로 만들기
징그러운 장면을 더 징그럽게 만들기
-
첫눈에 반하는 장면 보여주기
-
관객의 기쁨을 급작스럽게 종결시키기
-
음, 어쩌면 완전히 종결은 아닐지도
-
난 안 떠나
-
난 씨발 안 떠난다고!
-
제일 휼륭한 것은 모든 효과음 선택이
정확히 캐릭터로부터 발현된다는 겁니다
-
캐릭터는 모두 결과가
따라오는 중요한 결정을 내리죠
-
돈을 가지기로 하기,
맞서 싸우지 않기,
-
감정 숨기기,
누군가를 불신하기,
-
불안감이 가시기를 기다리기,
-
게임에 다시 참가하기,
사람들이 자신을 원하지
-
않는다는 사실을 무시하기
-
이런 순간들은 드물고 신중히
반복되기 때문에 영화마다 정적은
-
다르게 느껴지고 각기
다른 주제와 연관돼 있습니다
-
또 감독은 이 정적을 이용해
영화의 전체 구조를 완성하죠
-
예를 들어, 성난 황소에서 거의 모든 격투씬은
조용하고 가정적인
-
장면에 따라붙습니다
-
이런 방식을 쓰면 펀치로 시작하는
극적 장면 전환이 가능하고
-
또한 영화의 주제를 강조하게 해줍니다,
링에서의 폭력은
-
가정폭력의 연장선상에 있다는 것이죠
-
라모타가 친형제를 공격할 때쯤이면
실제로 똑같은 효과음이 깔려요
-
링에 깔리는 효과음과요
-
스콜세지만 이런 영화적 구조를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
예를 들면, 라이언 일병 구하기는
두 개의 긴 전투 시퀀스로 구성돼 있죠
-
그리고 전투마다 이런 장면이 나옵니다
-
영화 초반부에서 우리는
이 인물들을 전혀 알지 못 하지만
-
후반부에선 모두를 알게 됩니다
-
제 해석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도 있지만
-
전 이 캐릭터가 자신의 죽음을
예상하고 있다고 확신해요
-
그리고 두 전투 모두에서 그는
그 사실을 받아들이고 계속 싸웁니다
-
이건 작품 전체에서 전반적인 영화 구조로 효과음을 이용하는
-
아주 좋은 예입니다
-
하지만 짚고 넘어가고픈 게, 이건 단지
좋은 음향에 관한 것만은 아니라는 겁니다
-
물론 뛰어나야 하지만,
영화를 끊임없이 소리로 채운다면
-
음향담당자가 작업을 제대로
해내지 못할 겁니다
-
잠깐동안 영화가 시끄러워지는 건
-
문제라고 생각지 않습니다
그것 자체는 굉장히 적절해요
-
하지만 시퀀스가 20-30분 동안
시끄러워진다면
-
정적이 어떤 것인지 잊어버리고
-
모든 것이 시끄러우니
시끄러움을 아예 느낄 수가 없게 되죠
-
주류 영화에서 각본가와 감독은 정적의 이용에서
-
멀어지게 됐습니다,
정적을 부적절히 사용하기는 했죠
-
그 행태는 매년 눈에 띄게 나빠졌어요
-
잘 보세요, 1978년작입니다
-
좀 유치해 보일지는 몰라도,
이 영화는 적어도 캐릭터의
-
상실감을 전달하기 위해 정적을 사용합니다
-
그리고 그 정적의 순간 동안
계속 캐릭터와 함꼐 하죠
-
반면에, 2013년작에서는...
-
이 장면은 조용해 보일지는 몰라도,
항상 음악이 깔려 있습니다
-
더 중요한 것은 정적 같지 않는 정적이
인물에게 보상해줄 때 쓰인다는 겁니다
-
누군가를 죽이자, 포옹을 얻죠
영화를 전부 보시면
-
말 그대로 정적이 깔릴 때마다
인물이 포옹을 얻습니다
-
그러니 정적을 어떻게 사용할 지 생각하고
신중하게 배치하세요
-
극적인 장면마다 남발해서
가치를 떨어뜨리지 말구요
-
만약 정적이 캐릭터의 감정으로부터 발현되도록
-
영화의 구조를 축조해낸다면
-
단순한 정적보다 더 대단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감정적 반응에서요
-
뭐가 더 끔찍할까
-
괴물로 살아가는 것,
좋은 인간으로서 죽는 것?
-
테디?
-
편집 & 내러티브
토니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