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5.000 --> 00:00:08.240 안녕하세요, 전 토니이고 Every Frame a Painting을 시작합니다 한 번 시작해보죠 00:00:08.240 --> 00:00:11.809 오늘의 주제는 마틴 스콜세지와 정적의 예술입니다 00:00:11.809 --> 00:00:15.780 스콜세지는 음악의 사용으로 유명하지만, 그의 위대한 특성 중 하나는 00:00:15.780 --> 00:00:18.940 사실 신중하고 강력한 정적의 이용이죠 00:00:18.940 --> 00:00:22.109 인터뷰에서 그는 성난 황소에서의 이런 작업을 도운 프랭크 워너를 언급했습니다 00:00:22.109 --> 00:00:26.090 한참 후, 많음 효과음이 만들어졌고 우리는 항상 00:00:26.090 --> 00:00:29.490 그걸 빼는 것에 대해 얘기했죠 장면이 정적 속에 흘러가도록요 00:00:29.490 --> 00:00:32.910 귀를 심하게 많이 맞은 것 같은 먹먹한 효과들이죠 00:00:32.910 --> 00:00:35.809 이 장면은 제이크 라모타가 종교적 도살에 스스로를 내던지는 00:00:35.809 --> 00:00:37.870 유명한 장면입니다 00:00:49.870 --> 00:00:53.789 스콜세지의 필모를 살펴보시면 이런 컨셉의 흥미로운 변형들이 있어요 00:00:53.789 --> 00:00:57.050 실제로 그의 작품을 다른 작품들과 비교해 볼 수 있죠 00:00:57.050 --> 00:00:59.930 예를 들어, 무간도 원작에서 00:00:59.930 --> 00:01:02.850 이 중대한 사건의 순간에 음악이 깔립니다 00:01:07.850 --> 00:01:09.850 하지만 리메이크에선... 00:01:16.040 --> 00:01:18.700 당신이 어떤 영화를 더 좋아하느냐에 상관없이 이 두 영화의 비교 과정은 00:01:18.700 --> 00:01:20.900 연구할 만한 요소로 가득찼습니다 00:01:21.900 --> 00:01:25.700 어떤 경우, 스콜세지는 영화를 효과음으로 절정까지 끌고 갑니다 00:01:29.060 --> 00:01:33.160 그리곤 정적이 흐르죠 이 예제는 사실 꽤 극단적인데 00:01:33.160 --> 00:01:36.990 영화에서 가장 시끄러운 장면 뒤에 가장 조용한 장면이 붙어있거든요 00:01:36.990 --> 00:01:41.750 또 다른 경우에선 정적이 장면의 핵심적인 드라마 부분이기도 합니다, 유명한 장면으로는... 00:01:41.750 --> 00:01:45.930 내가 어떻게 웃긴다는 거냐? 내 뭐가 씨발 그렇게 웃긴데? 말해봐 00:01:45.930 --> 00:01:47.930 뭐가 웃긴지 말해봐 00:01:53.130 --> 00:01:58.119 - 지랄하고 있네 그의 50년간 작품들을 00:01:58.119 --> 00:02:01.210 모두 보면, 정적을 재미있게 이용하는 방법이 많이 있습니다 00:02:01.210 --> 00:02:05.170 장면을 더 주관적으로 만들기 징그러운 장면을 더 징그럽게 만들기 00:02:05.170 --> 00:02:06.649 첫눈에 반하는 장면 보여주기 00:02:06.649 --> 00:02:09.269 관객의 기쁨을 급작스럽게 종결시키기 00:02:13.269 --> 00:02:15.870 음, 어쩌면 완전히 종결은 아닐지도 00:02:15.870 --> 00:02:17.489 난 안 떠나 00:02:19.489 --> 00:02:21.840 난 씨발 안 떠난다고! 00:02:23.840 --> 00:02:28.019 제일 휼륭한 것은 모든 효과음 선택이 정확히 캐릭터로부터 발현된다는 겁니다 00:02:28.019 --> 00:02:31.709 캐릭터는 모두 결과가 따라오는 중요한 결정을 내리죠 00:02:31.709 --> 00:02:35.080 돈을 가지기로 하기, 맞서 싸우지 않기, 00:02:35.080 --> 00:02:37.769 감정 숨기기, 누군가를 불신하기, 00:02:37.769 --> 00:02:39.650 불안감이 가시기를 기다리기, 00:02:39.650 --> 00:02:42.000 게임에 다시 참가하기, 사람들이 자신을 원하지 00:02:42.000 --> 00:02:43.500 않는다는 사실을 무시하기 00:02:43.500 --> 00:02:46.989 이런 순간들은 드물고 신중히 반복되기 때문에 영화마다 정적은 00:02:46.989 --> 00:02:49.970 다르게 느껴지고 각기 다른 주제와 연관돼 있습니다 00:02:49.970 --> 00:02:53.799 또 감독은 이 정적을 이용해 영화의 전체 구조를 완성하죠 00:02:53.799 --> 00:02:58.060 예를 들어, 성난 황소에서 거의 모든 격투씬은 조용하고 가정적인 00:02:58.060 --> 00:03:00.200 장면에 따라붙습니다 00:03:00.200 --> 00:03:03.350 이런 방식을 쓰면 펀치로 시작하는 극적 장면 전환이 가능하고 00:03:03.350 --> 00:03:06.620 또한 영화의 주제를 강조하게 해줍니다, 링에서의 폭력은 00:03:06.620 --> 00:03:08.910 가정폭력의 연장선상에 있다는 것이죠 00:03:08.910 --> 00:03:12.109 라모타가 친형제를 공격할 때쯤이면 실제로 똑같은 효과음이 깔려요 00:03:14.880 --> 00:03:16.950 링에 깔리는 효과음과요 00:03:17.950 --> 00:03:20.709 스콜세지만 이런 영화적 구조를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00:03:20.709 --> 00:03:24.010 예를 들면, 라이언 일병 구하기는 두 개의 긴 전투 시퀀스로 구성돼 있죠 00:03:24.010 --> 00:03:26.190 그리고 전투마다 이런 장면이 나옵니다 00:03:30.190 --> 00:03:32.470 영화 초반부에서 우리는 이 인물들을 전혀 알지 못 하지만 00:03:32.470 --> 00:03:34.389 후반부에선 모두를 알게 됩니다 00:03:34.389 --> 00:03:36.579 제 해석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도 있지만 00:03:36.579 --> 00:03:40.340 전 이 캐릭터가 자신의 죽음을 예상하고 있다고 확신해요 00:03:40.340 --> 00:03:42.760 그리고 두 전투 모두에서 그는 그 사실을 받아들이고 계속 싸웁니다 00:03:42.760 --> 00:03:46.440 이건 작품 전체에서 전반적인 영화 구조로 효과음을 이용하는 00:03:46.440 --> 00:03:48.190 아주 좋은 예입니다 00:03:49.190 --> 00:03:51.859 하지만 짚고 넘어가고픈 게, 이건 단지 좋은 음향에 관한 것만은 아니라는 겁니다 00:03:51.859 --> 00:03:54.510 물론 뛰어나야 하지만, 영화를 끊임없이 소리로 채운다면 00:03:54.510 --> 00:03:57.540 음향담당자가 작업을 제대로 해내지 못할 겁니다 00:03:58.190 --> 00:04:02.269 잠깐동안 영화가 시끄러워지는 건 00:04:02.269 --> 00:04:06.930 문제라고 생각지 않습니다 그것 자체는 굉장히 적절해요 00:04:06.930 --> 00:04:11.359 하지만 시퀀스가 20-30분 동안 시끄러워진다면 00:04:11.359 --> 00:04:15.040 정적이 어떤 것인지 잊어버리고 00:04:15.040 --> 00:04:18.540 모든 것이 시끄러우니 시끄러움을 아예 느낄 수가 없게 되죠 00:04:18.540 --> 00:04:22.048 주류 영화에서 각본가와 감독은 정적의 이용에서 00:04:22.048 --> 00:04:25.479 멀어지게 됐습니다, 정적을 부적절히 사용하기는 했죠 00:04:25.479 --> 00:04:28.110 그 행태는 매년 눈에 띄게 나빠졌어요 00:04:28.110 --> 00:04:30.110 잘 보세요, 1978년작입니다 00:04:37.580 --> 00:04:40.350 좀 유치해 보일지는 몰라도, 이 영화는 적어도 캐릭터의 00:04:40.580 --> 00:04:43.350 상실감을 전달하기 위해 정적을 사용합니다 00:04:43.350 --> 00:04:46.600 그리고 그 정적의 순간 동안 계속 캐릭터와 함꼐 하죠 00:04:48.600 --> 00:04:50.960 반면에, 2013년작에서는... 00:04:58.000 --> 00:05:00.460 이 장면은 조용해 보일지는 몰라도, 항상 음악이 깔려 있습니다 00:05:00.460 --> 00:05:04.789 더 중요한 것은 정적 같지 않는 정적이 인물에게 보상해줄 때 쓰인다는 겁니다 00:05:05.430 --> 00:05:09.560 누군가를 죽이자, 포옹을 얻죠 영화를 전부 보시면 00:05:09.560 --> 00:05:11.759 말 그대로 정적이 깔릴 때마다 인물이 포옹을 얻습니다 00:05:14.759 --> 00:05:17.229 그러니 정적을 어떻게 사용할 지 생각하고 신중하게 배치하세요 00:05:17.229 --> 00:05:20.479 극적인 장면마다 남발해서 가치를 떨어뜨리지 말구요 00:05:20.479 --> 00:05:23.550 만약 정적이 캐릭터의 감정으로부터 발현되도록 00:05:23.550 --> 00:05:24.990 영화의 구조를 축조해낸다면 00:05:24.990 --> 00:05:29.150 단순한 정적보다 더 대단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감정적 반응에서요 00:05:29.150 --> 00:05:32.220 뭐가 더 끔찍할까 00:05:32.220 --> 00:05:38.220 괴물로 살아가는 것, 좋은 인간으로서 죽는 것? 00:05:46.120 --> 00:05:47.370 테디? 00:05:59.637 --> 00:06:02.747 편집 & 내러티브 토니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