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감사합니다
- 그래, 또 보세, 고마워
-
안녕하세요, 전 토니이고
-
Every Frame a Painting을 시작합니다
-
오늘의 주제는 워너입니다, 롱테이크라고도 하죠
-
아마 영화 촬영 기법에 있어서
가장 닳도록 얘기됐을 겁니다
-
하지만 기본적으로, 이건 그저
-
장면 전체를 한 번에,
끊기지 않는 숏으로 찍는 건데요
-
솔직히 말해보죠, 꽤 멋지긴 하잖아요
-
모두 각자 취향의 롱테이크가 있죠
-
인터넷을 뒤지면 이에 대한 목록이
72개가 있을 정도지만
-
우리는 눈길을 확 끄는 기법들만
주로 알아보곤 하죠
-
그러니 이 감독들은 모두 제껴놓고
-
이런 워너를 항상 사용하는 한 감독을 봅시다
-
그의 목적은 그 사실을 드러나지 않게 하는 거지만...
-
이 친구예요
-
솔직히, 스필버그의 숏들은 그리 길지도 않습니다
-
그는 워너를 3분 이내로 끊어내곤 하죠
-
사실, 스필버그는 1-2분대를 정말 좋아해요
-
전체 장면을 담아낼 만큼 충분히 길지만,
-
빠른 속도감을 유지할 만큼 짧죠
-
다른 감독들은 그들만의 롱테이크에서
-
형식적으로 압도적인 기술을 뽐내는데요
-
예를 들어, 웨스 앤더슨은
측면적인 움직임을 좋아합니다.
-
스필버그의 워너를 제대로 정의하는
문장이 하나 있다면
-
'눈에 띄지 않아야 한다'는 겁니다
-
그러니 그게 보인다고 하는 제 말부터가
개소리인 걸지도 모르겠네요
-
이 영상에 삽입된 숏들은
제가 전부 편집한 것이니
-
전체 장면을 보길 원하신다면
-
그 장면들이 모두 들어간 아래 링크에 있는
두 개의 비디오를 참조하세요
-
첫째로, '레이더스'에서의 숏이 있습니다
-
이는 한 번에 끊기지 않고 촬영된
90초짜리 테이크예요
-
이 장면의 훌륭한 점은 한 번에
4개의 다른 숏을 보여준다는 것인데요
-
캐릭터 달리 숏,
대칭되는 싱글 숏 2개와 인서트 숏이죠
-
스필버그는 4개를 결합해 하나의
움직이는 마스터 숏으로 만들어낸 것입니다
-
정말 단순하면서 우아하고
-
아마 촬영장에서 많은 시간을
절약하기도 했을 겁니다
-
또한, 이것은 장면 자체로서도 효과가 있어요
-
술 마시기 대회에 긴장감을 부여하니까요
-
그래서 전 이 장면을
수없이 반복해서 봐도
-
정확한 시간을 재지 못 하기 때문에
-
그럴 때마다 항상 재미있어요
-
다음으로는 '마이너리티 리포트'의 숏이 있습니다
-
이번엔 스테디 캠에서 진행되는데요
-
카메라가 이유 없이는
움직이지 않는 순간들을 보세요
-
항상 감정이나 액션에 따라 움직이죠
-
기다려줄래.
-
속도감이 환상적이에요
-
실제로 당신 앞에서 장면이
펼쳐지는 것 같은 느낌을 받죠
-
카메라맨의 조작이 느껴지는 게 아니라요
-
당신 진짜 큰일났어, 존
-
배우들의 협연은 굉장히 유려하며
-
숏은 한 캐릭터를 주목했다가
-
...또 다른 캐릭터를 주목하기도 하죠
-
아픈 데를 찔린 모양이군
-
더 전으로 돌아가면, '죠스'가 있습니다
-
이 숏의 뛰어난 점은
움직임을 절제시킨 법에 있죠
-
카메라맨은 거의 움직이지 않습니다
-
모든 움직임은 배우들의 연기에 있고
-
특히, 진짜 영리한 선택은 장소에 있어요
-
실제 화물선에서 촬영함으로서
-
스필버그는 배경의 움직임을
경쾌한 속도감으로 만들어내죠
-
제가 이 숏의 길이를 측정하는 데
실패한 이유 중 하나는
-
배경이 계속해서 뒤바뀌고
-
항상 뭔가 새로운 걸 바라보게 되기 때문이죠
-
당신이 "상어다!"라고 외치면
-
독림기념일 장사 제대로 말아먹는 겁니다
-
다음으로, 라이언 일병 구하기입니다
-
스필버그 워너의 특징 중 하나는
-
그가 마스터 숏에서 거의 모든 시각효과나
특수효과를 보여준다는 점이죠
-
이 장면이 아주 특이한데요
-
폭발, 낙석, 먼지, 연기, 총격, 기폭이 보이며
그리고 아시다시피...
-
탱크도요
-
죽여주죠
-
여기서 제가 짚고 넘어가고 싶은 건
-
스필버그가 이런 종류의 숏을
발명하진 않았다는 겁니다
-
사실, 전에는 아주 흔히 쓰이곤 했던 숏이죠
-
당신은 어때요, 멋쟁이?
-
어디선가 당신이랑 만난 적이 있었던가?
-
40, 50, 60초 범위에서
-
스튜디오 감독들은 스토리를 진행시키기 위해
-
중간 길이의 워너를 자주 이용했었습니다
-
그럼 이건 어때?
나한테 알리바이가 부족해지고 있어
-
하지만 '로프'와 '악의 손길'을 시작으로
-
워너는 감독들의 명함이 되었어요
-
관객은 눈치를 챘고
-
평론가들과 영화학도들은
이에 열광했습니다
-
그리고 지난 50년 동안 이는
남보다 한 수 앞서려는 경쟁 같은 게 됐죠
-
니 워너는 3분이냐?
내 워너는 17분이지롱
-
히치콕이 하나의 테이크처럼 보이는
영화를 만들었다고?
-
우리는 진짜 하나로 찍었거든
-
이 롱테이크들이 나쁘다는 얘기는 아닙니다
-
대부분이 굉장히 흥미로워요
-
전부 거의 경외감을 불러일으킬 정도인데요
-
하지만 적어도 미국 영화계는
하나의 제대로 된 숏의 사용을 이어왔었어요 그건...
-
굳이 말하자면, 작살났다고나 할까요
-
그러니까, 망쳤다는 게 아니라
-
효과가 있었다고요, 일을 제대로 해낸 거죠
-
항상 보기 즐거웠어요
-
관심을 끌려고만 하지 않았습니다
-
믿을 수 있었던 거죠
-
이제는, 둘로 갈렸습니다
-
한 연출 계보는
-
더 빠르게, 짧게, 혼란스럽게 만드려는 쪽이고
-
또 다른 한 계보는 거의 의도적으로
그 반대를 하려는 쪽이죠
-
어떤 이들은 여전히 그 중간에 있지만요.
-
알폰소 쿠아론이 떠오르는데요
-
극적 장면에 쓰려는 용도로 롱테이크를 차용하죠
-
하지만 알폰소도 이의 가시성을
숨기려고 하진 않습니다
-
스필버그조차 가끔 당신이
알아채주길 바라는데요 뭐
-
'마이너리티 리포트'의 이 숏은
-
사실상 드 팔마나 히치콕적이에요
-
'대결'에서의 이건, 그러니까,
거의 슬래셔 무비 같다니까요
-
'영혼은 그대 곁에'에서의 이건,
-
참고로 끔찍한 영화죠
-
747 보잉기의 움직임과 합을 맞춥니다
-
그리고 이건 그냥 미친 수준이구요
-
하지만 그 외에는 스필버그는
잔잔한 연출을 합니다
-
좀 이상하게 들리는 게,
왜냐면 아시잖아요, 그 스필버그인데
-
하지만 그의 동년배 감독들에 비해
-
지금까지 40년 동안 계속되온 이 기술은
-
그를 더욱더 뛰어난 감독으로 만들죠
-
어느 차에 탈 생각이니?
-
박사님이 타시는 차요
-
그러니 스필버그 워너의 정의에
가장 가까운 표현은 이 정도인 듯 싶습니다
-
드러나지 않게 가능한
모든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죠
-
그러니 당신이 만약 감독이고
-
스필버그 워너를 얻어내고 싶다면
-
따라야 할 몇 가지 간단한 규칙들이 있습니다
-
첫째로, 배우들을 움직이게 하세요
-
돌아다니게 하세요
-
2014 블록버스터마냥
-
그냥 가만히 세워놓고 얘기하게 두지 말라구요
-
얘는 신경쓰지 마세요
-
- 영국 유머인가?
- 스코틀랜드 위스키요
-
두번째, 그 움직임을 쫓으세요
-
카메라가 경직된 채로 따라갈 필요는 없습니다
-
여기저기 흔들릴 수도 있고,
움직임의 방향과 반대로 갈 수도 있고,
-
측면으로 쫓아갈 수도 있고, 어떤 것이든지요
-
하지만 장면 전체를 보고서 그에 맞춰 움직이세요
-
세번째,
-
여러개의 구도와 더 작은 단위의
앵글들로 숏을 쪼개세요
-
당신은 기본적으로 5-6개의 숏들을
-
하나의 움직이는 마스터 숏으로
엮어내는 셈입니다
-
그러니 당신은
-
싱글 숏, 오버 더 숄더 숏, 인서트 숏,
와이드 숏을 선택할 수 있고
-
모두 하나로 흐르게 되죠
-
아, 프랭크
-
아, 그리고 이 모든 것들을
카메라를 움직이지도 않고
-
해낼 수 있다면?
-
더 좋죠
-
전부가?
-
네번째, 시각효과나 특수효과를 하는데
-
"마법"을 실제처럼 보이게 하려면
-
와이드 숏에서 하세요
-
그런 요소들을 클로즈업이나 장면전환들로 채워서
-
사기치지 말구요
-
와이드 숏에 담아서 배우가 그것과
상호작용하도록 하세요
-
그리고 현실적이어야 할 장면에
좆같은 그린 스크린 처리 하지 마세요
-
관객들도 배우가
-
화면에 실제로 있는 것에 반응할 때와
없는 것에 반응할 때를
-
구별할 줄 아니까요
-
다섯번째, 필요하다면 장면전환을 하세요
-
이 영상의 모든 숏들은 완벽하게
끊기지 않는 테이크이지만
-
스필버그는 바보가 아니죠
-
그는 종종 워너에서 인서트 숏이나
장면전환을 씁니다
-
제대로 촬영됐음을 알면서도요
-
이러면 필요할 경우 편집을 더 강화할 수 있죠
-
원 테이크의 시작부분과
-
또 다른 테이크의 끝부분을
따로 쓸 수도 있어요
-
또한 특히 어려운 행위를 보여줄 때
-
도움이 됩니다
-
총을 딱 원하는 자리에 놓기 같은 거죠
-
...난 신중한 사람이라
-
마지막으로, 짧게 끊어내세요
-
필요한 만큼만 보여주시라구요
-
스필버그 워너는 장면들을 신속히
끝내고 속도감을 유지하도록
-
설계되어 있습니다
-
모든 걸 완전하게 담아내려다 시간을 낭비해선
-
안 되죠
-
그런 건 이런 장면에 쓰이는 겁니다
-
그래서 끝으로
-
저도 스필버그를 진지한 예술가로
대함에 있어서
-
가끔 많은 반발이 있다는 걸 잘 압니다
-
그러니까, 가끔 감상적인 요소는
받아들이기 좀 힘들긴 하죠
-
그의 과거의 영광에 대해서
얘기하진 않을 테지만
-
그의 워너는 기릴 만하다고 생각해요
-
특히 이게 일반적으로 주류 감독들에게
-
버려진 기술이라는 점을 고려해서요
-
이런 말도 안 되는 바보짓이나
-
정말 뛰어나지만 좀 많이 뚜렷하기도 한
이 스타일을 봤을 때 그렇죠
-
역설적이게도, 이분,
-
한 때 70년대 할리우드 영화제작의 틀을
부숴버린 데 책임이 있다고 여겨졌던 이분은,
-
아마 고전 할리우드 전통을 이어오는
-
가장 위대한 현역일 겁니다
-
그가 이를 안타깝게 생각할지 궁금하네요
-
그럴 리가, 존나 부잔데!
-
편집 & 내러티브
토니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