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전 토니이고
Every Frame a Painting을 시작합니다
-
오늘은 좀 변화를 줘서 문제 해결에 대해
얘기해보고자 하는데요
-
제가 영화제작을 좋아하는 이유 중 하나는
특정한 걸림돌에 대한 해결책을
-
직접 마련해야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
예를 들면, 영화에서 문자 메세지는
어떻게 보여줘야 할까요?
-
흥미로운 수수께끼지요
문자는 시각적이니 이론상
-
어려울 이유가 없죠
-
그런데도 연출자가 폰 화면을 인서트
숏으로 편집해낼 때마다
-
관객이 지루해하는 게 느껴지죠
많은 영화들은 그냥 인물들이 문자를 하지 않거나
-
멍청이처럼 문자를 소리내어 읽도록
만들어서 이 문제를 넘어가려 듭니다
-
더 형편없게는 폰이 고장날 원인을 고안해내요
-
- 97% 지역이 통화 범위인데
우린 그 나머지인 3%에 들어왔군
-
하지만 지난 4-5년 간 어떤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
영화 감독들이 화면에 메세지를 띄우는
새로운 형식적 관례를 차용하기 시작한 것이죠
-
지난 몇 년만에 엄청나게 번져나갔어요
-
전 이것을 BBC [셜록]에서 처음 눈치챘습니다
-
하지만 트위터를 참고해보니
이의 전례를 찾을 수 있었는데, 그건 연속극이나
-
십대 영화
-
한국, 일본의 영화에서였습니다
-
당신이 이것을 어디서 처음 보았던,
이건 어떻게 영화 형식이 항상 진화하고
-
있는지의 좋은 사례입니다
-
그렇담 영화 감독들이 왜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걸까요?
-
전 단순한 3가지의 이유가 있다고 봅니다
-
첫째, 예산이 절약되죠
문자가 중요하게 다뤄지는 이야기라면
-
감독은 폰 화면 클로즈업 60개를
찍지 않음으로써 엄청난 돈을 아낄 수 있습니다
-
필요한 건 애프터 이펙트와 이 남자 뿐이죠
-
- 비디오 코파일럿의 앤드류 크레이머입니다
(이펙트 관련 튜토리얼과 소스, 유로 플러그인 배포)
-
둘째, 미적으로도 효율적입니다
숏-리버스 숏은 재미가 없죠
-
문자를 읽을 수 있을 만큼 폰이 화면에
오래 머물러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
어떤 경우엔 터무니없이 거대한
할머니 폰트를 쓰죠
-
스크린 위 문자는 이 문제의
많은 부분을 해결해 줍니다
-
우리가 행동과 반응을 동일한 화면에서
받아들이도록 해주죠
-
가장 좋은 점은 배우의 연기를
끊기지 않고 보여준다는 겁니다
-
하지만 이 방식이 주목받은
셋째 이유도 있습니다, 우아한 디자인
-
그리고 이건 [셜록]이 특출난 부분이죠
그 자체만 놓고 봐도 아름다워요
-
문자 주위에 틀이 없음을
눈치채셨을 텐데요
-
틀이야말로 가장 먼저 시대에
뒤질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
폰트는 각 시즌마다 일관되어 있으며
인물마다 색을 지정해주는 대신
-
색깔은 그저 하얗죠
-
우린 누가 문자를 보내고 받는지를 알지 못 하는데,
관객이 문자 내용에 근거해
-
직접 추론해야 하기에
우리의 참여도를 높이는 훌륭한 방식입니다
-
글자들은 폰의 옆에 나타나지만
독립적으로 움직여요
-
이 영화에 비교해보죠,
문자가 전자기에 붙어있는 것처럼 움직입니다
-
아니 잠깐, 사람에 붙어있군
-
아니, 폰에 붙었네
하나만 좀 하란 말야
-
그러니 혹시 모르죠
이게 새로운 관습이 될 수도 있지만
-
중간 과정에 불과할 지도요
- 아니야
-
하지만 [셜록]이 문자 메세지 문제를
해결한 듯 보이는 반면에
-
우리에겐 또 다른 문제가 있습니다
-
아주 많은 이들이 시도해 봤지만,
우린 여전히 인터넷 묘사에 있어서
-
단 하나의 훌륭한 방식을 찾지 못 했습니다
-
어떤 방식은 값싸다고 보기엔 좀 뭐하고
-
또 어떤 방식은 조금 비효율적이죠
-
또 다른 방식은....뭐, 아시겠죠
-
저는 사실 새로 개발된 한 방식을 지지합니다,
'데스크 톱 영화'로
-
모든 사건이 화면 위에서
직접적으로 벌어지죠
-
- 당신께 보여드리죠
-
제가 누구를 대변하는 건 아니지만,
이 영화들은 사실
-
제가 매일 정보를 얻는 방식과 아주 유사합니다
-
어떤 것들은 감정적인 공명을 일으키고
-
어떤 것들은 기이하죠
-
그리고 어떤 것들은 아주 실험적이고요
-
하지만 당신이 정말로 최첨단 기술을
시도해 보고 싶다면, 딱 하나가 있습니다
-
- 도쿄행 표 한장이요
-
지난 20년간 애니메이션은
온라인 세계 묘사 방식을
-
과감하게 발전시켜 왔습니다
-
그것이 초평면적이고 유동적이든
-
삽입자막식으로 보여지는 전자 게시판이든
-
독립적인 온라인 세계로 연결되는 것이든
-
그리고 또 다른 매혹적인 가능성들이 넘쳐나고
-
다른 영화에서 효과적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지만
-
생각해보는 것만으로
정말 흥미롭죠
-
심지어 아시아 감독들이 실사 영화에서
이것을 시도해보기도 했습니다
-
사람들이 수다를 떠는 물리적 공간이나
-
핸드폰 내부의 애니메이션 세계 같은 것이죠
-
이 모든 것은 실험적이고
몇몇은 솔직히 실패했습니다
-
하지만 그건 좋은 일이죠
시도해보고 있다는 거니까
-
그리고 이번만은, 공평한 경쟁의 장입니다
-
당신과 제가 할리우드 영화의 다음 해결책을
알아내는 데 있어서 같은 기회를 가진 거예요
-
이와 같은 분야에선,
예산 부족이 오히려 강점입니다
-
기억하세요, 값싸고, 효율적이고, 우아한
-
의외로 해결책이 이미 존재할지도 모릅니다
-
- 해커야
-
뭐, [셜록]이 이미 발명해냈을 지도 모르죠
-
하지만 그 동안에 옳은 방향으로의 사소한 발전 단계를
인정하는 건 좋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
이는 영화 형식이 비영구적이라는 증거입니다
-
사람들은 발명해내길 멈추지 않죠
그리고 지금 당장은 적어도
-
우리가 해결하지 못 한 큰 문제가 있으며
이에 뛰어들어 보고픈 누구에게나
-
아주 공평한 경쟁의 장이 열려있다고 봅니다
-
편집 & 내러티브
토니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