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Equal Access: Universal Design of an Academic Department

  • 0:01 - 0:02
    [음악]
  • 0:02 - 0:09
    [음악과 제목 내레이션]
  • 0:09 - 0:12
    내레이터: 대학과 대학교의 학생 구성은
  • 0:12 - 0:14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 0:14 - 0:18
    학생과 직원 모두 강의, 시설, 그리고 캠퍼스 생활의 모든 측면에서
  • 0:18 - 0:21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합니다.
  • 0:24 - 0:26
    그러나 장애인들은 여전히
  • 0:26 - 0:30
    접근할 수 없는 웹사이트, 강의 자료, 시설 등을 접하고 있습니다.
  • 0:30 - 0:34
    그 해결책 중 하나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도입입니다.
  • 0:34 - 0:37
    건축가 론 메이스는 이를
  • 0:37 - 0:41
    "모든 사람이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조정이나
  • 0:41 - 0:42
    특수 설계 없이 제품과 환경을
  • 0:42 - 0:47
    디자인하는 것"이라고 정의했습니다.
  • 0:47 - 0:50
    니미사 고쉬 로이: 유니버설 디자인의 가치는 단순하고 쉬우며,
  • 0:50 - 0:55
    모든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입니다.
  • 0:55 - 0:58
    내레이터: 일반적인 사용자만을 고려하여 학과 프로그램을
  • 0:58 - 1:00
    설계하는 것이 아니라,
  • 1:00 - 1:03
    다양한 능력, 장애, 읽기수준, 학습 스타일,
  • 1:03 - 1:06
    모국어 및 기타 특성을 가진 사람들을 위해
  • 1:06 - 1:09
    설계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1:10 - 1:13
    리처드 래드너: 유니버설 디자인은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 1:13 - 1:18
    이는 교육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 1:18 - 1:23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교육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 1:29 - 1:33
    캠퍼스 관계자들은 계획과 정책을 고려해야 합니다.
  • 1:33 - 1:37
    장애인과 소외된 집단의 구성원이 교직원, 교수진, 또는
  • 1:37 - 1:40
    학생으로 포함되어 있는지 자문해 보아야 합니다.
  • 1:41 - 1:44
    짐 고르스크: 대학 차원의 정책을 개발할 때,
  • 1:44 - 1:47
    우선적으로 적당한 사람들을 모아
  • 1:47 - 1:51
    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1:51 - 1:56
    이 때 교수진만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 1:56 - 1:59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들, 서비스를 받는 사람들,
  • 1:59 - 2:01
    수업을 듣는 학생들, 그리고
  • 2:01 - 2:03
    정책이 미칠 영향을 설계하는
  • 2:03 - 2:08
    사람들도
  • 2:08 - 2:09
    포함해야 합니다.
  • 2:09 - 2:12
    내레이터: 강의나 서비스가 평가될 때,
  • 2:12 - 2:17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경험을 묻는 항목이 포함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2:18 - 2:23
    토니 델라일: 대학이나 학과가
  • 2:23 - 2:26
    장애인 친화적인 환경이 되려면
  • 2:26 - 2:29
    결국 문화적인 요소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2:29 - 2:35
    즉, 대학과 학과 전체에 걸쳐 널리 퍼지고 자리잡은
  • 2:35 - 2:39
    태도와 신념의 사회적 규범이요.
  • 2:44 - 2:48
    내레이터: 캠퍼스 시설은 접근 가능하고 환영받을 수 있는 환경이어야 합니다.
  • 2:48 - 2:51
    다양한 능력, 인종 및 민족적 배경, 성별, 연령을 가진
  • 2:51 - 2:53
    방문객들이 신체적으로 접근 가능하고,
  • 2:53 - 2:57
    편안하며, 안전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2:57 - 3:01
    존 맥고프: 접근 가능한 시설을 평가하기 시작할 때
  • 3:01 - 3:02
    좋은 장소는 주차장입니다.
  • 3:02 - 3:06
    충분한 수의 장애인 주차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야 하며,
  • 3:06 - 3:08
    명확하게 표시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3:08 - 3:13
    장애인 주차장에서 건물까지의 경로는 크고
  • 3:13 - 3:17
    명확한 대비가 있는 표지판으로 잘 표시되어 있어야 합니다.
  • 3:17 - 3:20
    출입문은 휠체어를 타든 걸어서 오든
  • 3:20 - 3:23
    모든 사용자를 위해 설계되어야 합니다.
  • 3:23 - 3:26
    한 사람을 위한 출입문이 곧 모든 사람을 위한 출입문이어야 합니다.
  • 3:26 - 3:30
    수잔 졸메슬리: 학생들은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
  • 3:30 - 3:38
    표지판은 충분히 많고, 정확하며, 대비가 높아야 합니다.
  • 3:38 - 3:42
    캠퍼스 건물과 섞여 보이면 안 됩니다.
  • 3:42 - 3:48
    즉, 멋진 은색이나 니켈 마감으로 인해 건물과 하나처럼 보이는 표지판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 3:48 - 3:50
    표지판은 눈에 띄어야 합니다.
  • 3:54 - 3:57
    케일라 브라운: 엘리베이터에 대해 말하자면,
  • 3:57 - 4:02
    가장 중요한 것은 조작 버튼이 낮은 위치에 있어야
  • 4:02 - 4:04
    한다는 점입니다. 그래야 접근할 수 있습니다.
  • 4:08 - 4:10
    내레이터: 화장실은 휠체어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어야 하며,
  • 4:10 - 4:12
    명확한 표지판이 있어야 합니다.
  • 4:14 - 4:16
    학생 서비스 구역의 카운터와 책상은
  • 4:16 - 4:18
    앉은 상태에서도 접근할 수 있어야 하며,
  • 4:19 - 4:22
    통로는 넓고 장애물은 없어야 합니다.
  • 4:24 - 4:28
    브리 캘러핸: 교수들이 학생들에게 실험실을 이용하도록 요구할 경우,
  • 4:28 - 4:30
    실험실 자체가 접근 가능한지
  • 4:30 - 4:32
    고려해야 합니다.
  • 4:32 - 4:35
    건물에 들어갈 수 있는지 실험실 자체에 들어갈 수 있는지에 대해서요.
  • 4:35 - 4:38
    하지만 실험실 내부에도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있습니다.
  • 4:38 - 4:41
    예를 들어, 책상을 위아래로 조절할 필요가 있는 사람을 위한
  • 4:41 - 4:44
    높이 조절 가능한 작업대가 있습니까?
  • 4:44 - 4:50
    실험실의 컴퓨터에는 Zoom Text나 화면 낭독기가 설치되어 있습니까?
  • 4:50 - 4:53
    도움을 제공하는 사람이 있다면, 도움을 요청할 수있습니까?
  • 4:53 - 4:59
    그리고 그 창구가 접근 가능한 공간입니까?
  • 4:59 - 5:03
    또한 프린터나 전화기 같은 필수 장비들도 고려해야 합니다.
  • 5:03 - 5:06
    이 모든 요소가 장애 학생들에게도 접근 가능해야 합니다.
  • 5:06 - 5:08
    교수들이 교실에 기술을 도입하기 전에
  • 5:08 - 5:10
    반드시 그 기술이 무엇인지 파악해야 합니다.
  • 5:10 - 5:16
    단순히 최신 유행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 5:16 - 5:17
    그들은 해당 기술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 5:17 - 5:21
    접근성이 얼마나 좋은지,
  • 5:21 - 5:24
    학생들의 학습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 5:24 - 5:27
    내레이터: 컴퓨터 장비와 소프트웨어를 고려하는 것도 중요하며,
  • 5:27 - 5:30
    필요한 사람들에게 보조기술을
  • 5:30 - 5:32
    제공해야 합니다.
  • 5:32 - 5:35
    젤시 바이어스: 소프트웨어는 텍스트 음성 변환,
  • 5:35 - 5:38
    음성 인식 소프트웨어, 화면 확대 기능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5:38 - 5:41
    이런 기술들은 교실 안밖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 5:41 - 5:43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유익합니다.
  • 5:44 - 5:48
    하디 랑긴: 최소한의 접근성 요구사항
  • 5:48 - 5:51
    체크리스트를 마련하여
  • 5:51 - 5:57
    캠퍼스가 이를 준수하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5:57 - 6:00
    따라서 제품을 제공하거나 개발할 경우,
  • 6:00 - 6:05
    최소한의 접근성 기준이 충족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6:06 - 6:10
    브리 핼러핸: 웹사이트는 학과가 접근성을 개선하기 시작하기에 좋은 장소입니다.
  • 6:10 - 6:14
    학생들은 기본적인 정보를 어디에서 찾을까요?
  • 6:14 - 6:16
    혹은 학생들이 특정 학과에 대한 초기 정보를
  • 6:16 - 6:17
    얻을 수 있는 곳이 어디일까요?
  • 6:17 - 6:20
    따라서 장애 학생이 학과에 연락하는 방법이나
  • 6:20 - 6:22
    학과의 역할을 찾을 수 없다면,
  • 6:22 - 6:25
    어떻게 더 많은 정보를 얻고
  • 6:25 - 6:28
    프로그램을 고려할 수 있을까요?
  • 6:28 - 6:32
    하디 랑긴: 저는 각 웹 개발자나 웹마스터가
  • 6:32 - 6:36
    자신의 프레임워크, 애플리케이션 또는
  • 6:36 - 6:40
    웹사이트의 접근성을 보장할
  • 6:40 - 6:45
    책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 6:45 - 6:50
    그리고 동시에 접근성 관련 교육을 제공해야 합니다.
  • 6:50 - 6:58
    그들은 접근성을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만큼이나 중요한 요소로 고려해야 합니다.
  • 7:02 - 7:04
    내레이터: 교수들은 모든 학생이
  • 7:04 - 7:06
    접근할 수 있는 강의를 제공해야 하며,
  • 7:06 - 7:10
    필요한 지원을 신속하게 제공해야 합니다,
  • 7:10 - 7:14
    강의에서 사용하는 영상 자료에는 반드시 자막이 포함되어야 하며
  • 7:14 - 7:17
    필요한 경우 음성 설명도 제공해야 합니다.
  • 7:19 - 7:23
    자막은 다양한 사람들이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 7:23 - 7:29
    검색기능을 통해 정보 접근 속도를 높일 수도 있습니다.
  • 7:30 - 7:35
    알 소우마: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에게 다가갈 수 있습니다.
  • 7:35 - 7:39
    그 대상에는 자막이 없는 영상에서는
  • 7:39 - 7:43
    아무런 정보를 얻을 수 없는 청각 장애인도 포함됩니다.
  • 7:43 - 7:47
    또한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도 포함됩니다.
  • 7:47 - 7:51
    주의력 결핍 장애(ADD)나 학습 장애(LD)를 가진 사람들은
  • 7:51 - 7:52
    화면에서 단어를 읽으면서
  • 7:52 - 7:54
    더 집중할 수 있습니다.
  • 7:54 - 7:57
    리사 엘리엇: 우리는 사람들이 정보를 어떻게
  • 7:57 - 8:01
    받아들이고 활용하는지 완전히 이해하지 못합니다.
  • 8:01 - 8:06
    따라서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모두에게 더 유익합니다.
  • 8:06 - 8:10
    제프리 비검: 강의를 진행하는 교수로서, 여러분은 강의 자료를 접근 가능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8:10 - 8:13
    학생이 소외되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 8:13 - 8:17
    비록 대학의 정책을 단기간에 바꿀 수 없더라도
  • 8:17 - 8:20
    여러분의 강의실에서는 정책을 바꿀 수 있습니다.
  • 8:21 - 8:25
    리처드 래드너: 저는 항상 특정 지원이 필요한 학생이 있다면
  • 8:25 - 8:28
    교사로서 저도 약간의 조정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8:28 - 8:32
    모든 것을 똑같이 진행할 수는 없습니다..
  • 8:32 - 8:34
    따라서 교수들은 약간의 유연성을 발휘해야 하며, 그것이 대부분의 학생들에게로
  • 8:34 - 8:39
    이어져야 합니다. 저는 그것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 8:39 - 8:42
    켈시 바이어스: 학생이자 강사로서,
  • 8:42 - 8:44
    저는 평가 방식이 유연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8:44 - 8:46
    강사들은 주로 시험에 초점을 맞추지만,
  • 8:46 - 8:49
    학생들의 학습을 평가하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 8:49 - 8:54
    문제풀이, 시험, 프로젝트, 글쓰기 등이 있습니다.
  • 8:58 - 9:02
    내레이터: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하면 장애가 있는 학생,
  • 9:02 - 9:05
    교수, 직원들의 편의 제공 필요성이 줄어들지만,
  • 9:05 - 9:08
    추가적인 편의 제공 요청에 대응할 수 있는
  • 9:08 - 9:11
    계획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9:11 - 9:17
    스테판 스미스: 따라서, 신속하고 효과적인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 9:17 - 9:20
    학과를 포함한 정책과 절차를
  • 9:20 - 9:24
    체계적으로 계획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9:24 - 9:26
    호세 블랙오비: 우리는 그 일을 더 빠르게 해야 합니다.
  • 9:26 - 9:28
    더 적은 자원으로 그 일을 해야 합니다.
  • 9:28 - 9:32
    그리고 더 다양한 사람들을 위해 그 일을 해야 합니다.
  • 9:32 - 9:35
    우리는 모두 이 일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며, 그래야만 합니다.
Title:
Equal Access: Universal Design of an Academic Department
Description:

more » « less
Video Language:
Abkhazian
Team:
DO-IT
Duration:
10:24

Korean subtitles

Revisions Compare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