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The 4th Mantra & the Dharma in the Wallet | Thich Nhat Hanh (short teaching video)

  • 0:01 - 0:05
    네번째 만트라는 조금 어려운 겁니다.
    왜냐하면...
  • 0:05 - 0:07
    나 자신이 고통 받고 있기 때문이지요.
  • 0:07 - 0:10
    상대방이 아니라 여러분이
    고통받고 있는 당사자입니다.
  • 0:11 - 0:15
    그리고 여러분 생각엔 이 고통의 원인이...
  • 0:17 - 0:18
    상대방에게 있습니다.
  • 0:21 - 0:26
    만약 다른 사람이 똑같은 행동을
    나에게 했더라도...
  • 0:27 - 0:29
    이렇게 고통스럽지는 않았을겁니다.
  • 0:29 - 0:32
    하지만 이 고통을 준 사람은
    다른 사람이 아니라...
  • 0:32 - 0:36
    내가 가장 사랑하는 바로 그입니다.
  • 0:37 - 0:40
    만약 다른 사람이...
  • 0:40 - 0:43
    그렇게 말했다면, 아마 나는...
  • 0:46 - 0:50
    이렇게 괴롭지는 않았을겁니다.
  • 0:51 - 0:57
    하지만 내가 가장 사랑하고 믿는
    사람이기 때문에...
  • 0:58 - 1:01
    고통이 매우 깊은 것이지요.
  • 1:08 - 1:13
    그리고 혼자라고 느낍니다.
    외롭지요.
  • 1:16 - 1:25
    이럴때 보통 우리는 자기 방으로 가서
    문을 잠그고 울곤 합니다.
  • 1:27 - 1:30
    상처가 깊으니까요.
  • 1:32 - 1:38
    이럴때 상대방이 와서 왜그러냐고 물어도...
  • 1:38 - 1:40
    대답을 하기 싫습니다.
  • 1:44 - 1:53
    그럴때 우리는 "필요없어!"하고
    상대방에게 이야기하죠.
  • 1:53 - 1:57
    상대방에게 아무것도 필요없고
    난 괜찮다고 소리칩니다.
  • 1:58 - 2:01
    우습게 들리지만 우리는
    자주 이렇게 행동합니다.
  • 2:02 - 2:06
    자존심... 이렇게 사랑하는 관계에
    자존심이 끼어듭니다.
  • 2:07 - 2:13
    이것은 "함께존재함"의
    가르침과는 반대이지요.
  • 2:13 - 2:16
    "자아" 관념이 장애물이 됩니다.
  • 2:17 - 2:19
    거기서 고통이 생깁니다.
  • 2:28 - 2:31
    상대방이 이렇게 말합니다 -
  • 2:32 - 2:36
    "왜그래? 괴로운 일 있어?"
  • 2:36 - 2:40
    그럴때 우리는 이러죠,
    "내가 왜 괴로와? 됐어, 필요없어."
  • 2:40 - 2:42
    하고 부인합니다.
  • 2:45 - 2:48
    만약 그가 내 어깨에
    손이라도 얹어 위로하려 하면...
  • 2:48 - 2:51
    "왜 이래? 저리 가!"
    하며 피합니다.
  • 2:53 - 2:58
    우리는 애써 상대방이 필요없다고 하며...
  • 2:58 - 3:03
    나는 혼자서 잘 지낼수 있다고
    간접적으로 알리려 합니다.
  • 3:03 - 3:07
    상대방에 대한 일종의 "응징"이지요.
    그를 그렇게 처벌하려 합니다.
  • 3:08 - 3:13
    이것은 진정한 사랑이 아닙니다.
  • 3:14 - 3:18
    진정한 사랑에서는
    모든것을 함께 나누어야 합니다.
  • 3:18 - 3:20
    나의 고통은 상대방의 고통이기도 합니다.
  • 3:21 - 3:23
    나의 행복은 그의 행복이구요.
  • 3:24 - 3:30
    하지만 내가 괴로울때 그에게
    도움을 청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 3:31 - 3:36
    진정한 수행은 이럴때 그에게
    나의 고통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 3:38 - 3:45
    베트남에서 15세기 말에 벌어진
    실화가 있습니다.
  • 3:48 - 3:51
    한 여인이 있었는데...
  • 3:55 - 3:56
    임신중이었습니다.
  • 3:58 - 4:00
    [베트남어]
  • 4:04 - 4:08
    그런데 남편은 전쟁에 징병이 되었습니다.
  • 4:09 - 4:11
    젊은 부부였죠.
  • 4:13 - 4:17
    남편이 떠나야 했을때
    부부는 너무나 많이 울었습니다.
  • 4:18 - 4:20
    그리고 젊은 아내는...
  • 4:21 - 4:27
    나중에 아기를 낳아서
    혼자 길러야 했습니다.
  • 4:28 - 4:32
    남편은 군대에서 3년간 복무한 후...
  • 4:33 - 4:35
    운이 좋게도...
  • 4:36 - 4:39
    무사히 제대할수 있었습니다.
  • 4:39 - 4:43
    그래서 고향으로 돌아오게 되었지요.
  • 4:43 - 4:46
    아내는 그 소식을 듣고 너무나 기뻐서...
  • 4:46 - 4:51
    어린 아들을 데리고
    마을의 입구로 달려 나갔습니다.
  • 4:57 - 5:00
    너무나 행복한 순간이었죠...
  • 5:01 - 5:06
    3년 동안 전쟁으로 헤어진 후
    재회하게 되었으니까요.
  • 5:06 - 5:14
    그리고 남편은 처음으로
    자신의 아들을 보게 되었습니다.
  • 5:15 - 5:18
    베트남의 전통에서는...
  • 5:18 - 5:23
    가족의 경사를 조상에게
    알리게 되어 있습니다.
  • 5:24 - 5:28
    그래서 일종의 의식을 하지요.
  • 5:28 - 5:33
    각 가정마다 이러한 의식을 위한
    제단이 있습니다.
  • 5:34 - 5:36
    매일 아침...
  • 5:37 - 5:41
    이 제단으로 가서
    발의 먼지를 털고 들어가서...
  • 5:42 - 5:47
    향에 불을 붙여서 제단에 바칩니다.
  • 5:48 - 5:51
    1~2분 걸리는 간단한 의식이지만...
  • 5:51 - 5:54
    우리에겐 매우 중요한 의식입니다.
  • 5:56 - 5:58
    왜냐하면 베트남에서는...
  • 5:59 - 6:03
    조상은 항상 살아있다고 믿기 때문이죠.
  • 6:03 - 6:06
    최소한 우리의 마음 안에서는요.
  • 6:06 - 6:10
    우리가 어디에 있던
    조상도 함께 있다고 믿습니다.
  • 6:13 - 6:16
    우리의 내면에요.
  • 6:19 - 6:21
    이렇게...
  • 6:23 - 6:29
    우리의 이전 세대와의 교감을 위해...
  • 6:30 - 6:34
    분향과 같은 일을 하는 시간은...
  • 6:34 - 6:38
    조상과 접촉하는 순간이지요.
  • 6:38 - 6:40
    이런 전통은 아주 중요합니다.
  • 6:41 - 6:44
    우리가 이러한 전통을 잊고
    뿌리를 잃게 되면...
  • 6:45 - 6:48
    우리의 정서도 안정성을 갖기 힘듭니다.
  • 6:53 - 6:57
    그래서 베트남에서는 집안에
    중요한 일이 있을때마다...
  • 6:57 - 7:01
    조상에게 정식으로 알리는
    의식을 하는 것이지요.
  • 7:01 - 7:03
    예를 들어 가족 내에 아기가 태어나면...
  • 7:04 - 7:10
    제단에 향을 올리며 조상에게 알립니다.
  • 7:10 - 7:14
    조상님들이 그걸 알아야 하니까요.
  • 7:16 - 7:22
    자녀가 진학을 위해
    타지역으로 갈 때에도...
  • 7:22 - 7:32
    제단에 분향을 하며 조상들께 알립니다.
  • 7:32 - 7:37
    딸을 시집 보낼 때에도 마찬가지입니다.
  • 7:38 - 7:42
    베트남에서는 어느 가족이나
    가지고 있는 전통입니다.
  • 7:44 - 7:52
    그래서 젊은 아내는 이 의식을 위해
    장을 보러 나갔습니다.
  • 7:55 - 7:58
    그리고 남편은 아들과
    단둘이 남게 되었지요.
  • 7:58 - 8:05
    그는 아들에게 자신을 아빠라고
    불러보라고 했습니다.
  • 8:05 - 8:07
    그런데 아이는 거절하는 것이었습니다.
  • 8:08 - 8:14
    "아저씨는 우리 아빠가 아니예요.
  • 8:15 - 8:20
    "진짜 아빠는 그동안 매일 밤
    우리집에 왔었어요.
  • 8:22 - 8:26
    "그러면 엄마는 아빠랑 오랫동안
    같이 얘기하고...
  • 8:26 - 8:29
    "울었어요.
  • 8:30 - 8:33
    "엄마가 앉으면...
  • 8:33 - 8:35
    "아빠도 같이 앉고...
  • 8:36 - 8:39
    엄마가 누우면 같이 누웠어요."
  • 8:41 - 8:44
    젊은 남편이 이 이야기를 들었을때...
  • 8:44 - 8:46
    그의 고통은 이루 말할수 없었죠.
  • 8:47 - 8:53
    아내가 그동안 다른 남자가
    있었다고 생각했습니다.
  • 8:54 - 8:59
    자신의 집에서 아내와
    지냈다고 믿은거죠.
  • 9:01 - 9:04
    그의 마음은 얼음장처럼
    차가와졌습니다.
  • 9:06 - 9:11
    그는 그때부터 그 아이와
    아무 말도 하지 않았죠.
  • 9:13 - 9:17
    실제로 아내를 만나러 오는
    사람은 없었습니다.
  • 9:21 - 9:25
    남편이 전쟁에 나간 동안 어느날...
  • 9:25 - 9:31
    어린 아들은 다른 아이들과 놀다가
    늦게 집에 돌아온 날이 있었는데...
  • 9:31 - 9:36
    엄마에게 물었습니다 -
    "다른 아이들은 다 아빠가 있는데...
  • 9:36 - 9:38
    "우리 아빠는 어디 있어요?
  • 9:41 - 9:44
    나도 아빠가 있었으면 좋겠어요."
  • 9:45 - 9:49
    그때 엄마는 등잔에
    불을 켜고 있었는데...
  • 9:50 - 9:54
    아들에게 자신의 그림자를
    가리키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
  • 9:54 - 9:56
    "이 분이 아빠란다.
  • 9:56 - 9:59
    "아빠한테 인사하렴.
  • 10:01 - 10:03
    '아버지, 다녀오셨어요?' 하고..."
  • 10:07 - 10:11
    그래서 아들은 그 그림자가
    아버진인줄 알았던 것입니다.
  • 10:12 - 10:17
    아내는 외로와서 그 그림자를 남편으로
    삼아 혼자 많은 대화를 했지요.
  • 10:18 - 10:21
    그림자에게 이렇게 말하곤 했습니다 -
  • 10:21 - 10:25
    "여보, 당신이 전쟁에 가버린지
    너무나 오래되었어요...
  • 10:28 - 10:30
    혼자서 아이를 키우는게 힘들어요..."
  • 10:30 - 10:33
    물론 아내가 앉으면
    그림자도 같이 앉았지요.
  • 10:34 - 10:36
    이것이 실제로 일어난 일이었습니다.
  • 10:36 - 10:39
    하지만 젊은 남편은
    '잘못된 생각'을 가져서...
  • 10:39 - 10:42
    누군가 실제로 아내와 만나는
    사람이 있다고 생각한거지요.
  • 10:42 - 10:45
    아내가 장을 보고
    집으로 돌와왔을때...
  • 10:45 - 10:47
    남편은 그녀를 쳐다보지도 않고...
  • 10:47 - 10:53
    그녀의 말에 대답도 하지 않고
    차갑게 그녀를 대했습니다.
  • 10:54 - 10:56
    아내는 고통스러웠지요.
  • 10:56 - 11:01
    남편이 왜 그러는지, 무슨일이
    벌어졌는지 이해할수 없었습니다.
  • 11:04 - 11:10
    의식을 위한 음식 등을
    제단에 올린 후...
  • 11:13 - 11:18
    남편은 돗자리를 깔고
    향을 올린 다음...
  • 11:18 - 11:22
    베트남 전통에 따라
    네번 절을 하였습니다.
  • 11:23 - 11:27
    그리곤 돗자리를 다시 말아서
    치워버려서...
  • 11:27 - 11:34
    아내가 절을 못하게 했습니다.
  • 11:34 - 11:42
    남편은 아내가 조상에게
    분향을 할 자격이 없다고...
  • 11:42 - 11:45
    간음을 했다고 생각했으니까요.
  • 11:48 - 11:51
    아내는 어쩔줄을 몰랐습니다.
  • 11:51 - 11:54
    왜 남편이 이러는지도 몰랐지요.
  • 11:55 - 11:59
    남편은 의식 후 식사도 하지 않고
    나가 버렸습니다.
  • 12:00 - 12:08
    그는 술집으로 가서 술을 마시며
    자신의 고통을 잊으려 했지요.
  • 12:08 - 12:12
    그리곤 세벽 늦게까지
    집으로 돌아오지도 않았습니다.
  • 12:13 - 12:17
    그렇게 계속 며칠을 보냈지요.
  • 12:17 - 12:20
    아내는 그 고통을 더이상
    견딜수 없어서...
  • 12:21 - 12:25
    강물에 몸을 던져버리고 말았습니다.
  • 12:29 - 12:33
    남편은 아내의 죽음에 대한
    소식을 듣고는...
  • 12:33 - 12:36
    집으로 돌아와 아들을 돌보았습니다.
  • 12:37 - 12:41
    그러던 어느날 밤 그가
    등잔불을 켜는데...
  • 12:44 - 12:49
    아들이 아버지에게 말했죠 -
    "아저씨, 우리 진짜 아빠가 왔어요!"
  • 12:49 - 12:54
    아이는 그림자를 가리키면서...
    "전에도 매일밤 우리집에 왔었어요!"
  • 12:54 - 13:01
    그제서야 젊은 아버지는
    진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 13:01 - 13:03
    하지만 너무 늦었지요.
  • 13:03 - 13:06
    자신의 "잘못된 견해"의
    희생자가 된것입니다.
  • 13:09 - 13:10
    그렇지만 너무 늦었습니다.
  • 13:12 - 13:19
    다음날 마을 사람들은
    이 비극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 13:21 - 13:27
    그들은 젊은 남편이 3일장
    장례 의식을 치르는 것을 도왔습니다.
  • 13:28 - 13:33
    이것은 죽은 여인의 영혼을 위한
    전통 의례였습니다.
  • 13:37 - 13:38
    그 지역의 왕(王)은...
  • 13:40 - 13:41
    [베트남어]
  • 13:41 - 13:43
    시인이었습니다.
  • 13:43 - 13:45
    어느날 이 마을을 지나게 되었는데...
  • 13:45 - 13:49
    마을 사람들이 강 근처에
    지어놓은 사당을 보고는...
  • 13:49 - 13:53
    무슨 사연이 있는
    사당이냐고 물었습니다.
  • 13:54 - 14:00
    그래서 동네 사람들은 왕에게 이 부부의
    비극적인 이야기를 해주었습니다.
  • 14:00 - 14:03
    왕은 그 사연에 감동을 받아서
    시를 썼는데...
  • 14:04 - 14:09
    그 시를 그곳 사당의
    바위에 새겼고...
  • 14:09 - 14:12
    그 바위는 아직도 그 마을에 있습니다.
  • 14:15 - 14:19
    이러한 비극이 일어난 이유는...
  • 14:23 - 14:25
    그 젊은 남편과...
  • 14:27 - 14:28
    아내가...
  • 14:28 - 14:32
    네번째 만트라를 수행할줄
    몰랐기 때문입니다.
  • 14:34 - 14:36
    네번째 만트라는 이렇습니다 -
  • 14:38 - 14:40
    "나는 고통받고 있습니다...
  • 14:43 - 14:44
    도와주세요."
  • 14:48 - 14:50
    '설명해주세요.
  • 14:50 - 14:54
    왜 그런 행동을 나에게 했는지 말해주세요.
  • 14:55 - 14:58
    왜 그런 말을 나에게 했는지 설명해주세요.
  • 14:58 - 15:00
    그래서 고통받고 있습니다. 도와주세요.'
  • 15:02 - 15:06
    만약 그 남편이 이렇게 했다면...
  • 15:07 - 15:11
    아내는 그것에 대해 설명할수 있는
    기회를 가졌겠지요.
  • 15:11 - 15:15
    그리고 이러한 비극을 피할수 있었을겁니다.
  • 15:16 - 15:19
    아내도 남편과 똑같은 실수를 했지요...
  • 15:21 - 15:23
    그녀가 상처를 받았을때...
  • 15:23 - 15:25
    자존심이 개입이 되었지요.
  • 15:26 - 15:29
    만약 그녀가 그렇게 상처받았을때
    남편에게 가서...
  • 15:29 - 15:32
    "여보, 저는 너무나 상처를 받았어요...
  • 15:33 - 15:40
    "제가 장을 보고 온 후로는
    계속 저를 쳐다 보지도 않고...
  • 15:40 - 15:45
    "제 말에 대답도 하지 않아요.
  • 15:45 - 15:50
    "제가 혹시 몹시 잘못한게 있는지요?
  • 15:50 - 15:53
    절 도와주세요. 설명해주세요."
  • 15:54 - 15:57
    만약 그녀가 이렇게 말했다면...
  • 15:57 - 16:00
    남편은 아내에게 이야기했을겁니다.
  • 16:01 - 16:04
    "아이가 말하길 매일밤 찾아오는
    남자가 있었다고 하는데...
  • 16:04 - 16:07
    "그게 누구였나요?
    그래서 괴로운거예요.
  • 16:07 - 16:09
    설명해주세요."
  • 16:10 - 16:16
    그랬다면 설명이 되었을것이고,
    비극도 없었을겁니다.
  • 16:18 - 16:21
    그리고 이것은...
  • 16:22 - 16:25
    실천하기 어려운 수행이지만,
  • 16:25 - 16:28
    이 네번째 만트라는...
  • 16:28 - 16:32
    이런 비극을 방지하기 위해
    매우 필요한 수련입니다.
  • 16:33 - 16:36
    그러니 여러분이 다음에...
  • 16:36 - 16:39
    이런 고통을 겪을때...
  • 16:40 - 16:48
    이 고통의 원인이 여러분이
    사랑하는 사람에게 있다고 생각할 때...
  • 16:48 - 16:51
    이 젊은 남편처럼 행동하면 안됩니다.
  • 16:52 - 16:55
    이 아내처럼 행동하면 안됩니다.
  • 16:56 - 16:58
    그러지 마세요.
  • 16:58 - 17:01
    자존심이 둘 사이에 끼게 하지 말고...
  • 17:01 - 17:04
    상대방에게 가서 도움을 청하세요.
  • 17:08 - 17:11
    플럼빌리지에 사는 친구들은...
  • 17:11 - 17:18
    조그만 종이에다가
    세 문장을 적어서 가지고 다닙니다.
  • 17:18 - 17:21
    첫째 문장은...
  • 17:22 - 17:25
    "내가 지금 고통받고 있다는걸 알아주세요."
  • 17:30 - 17:34
    "내가 지금 고통받고 있다는걸 알아주세요."
  • 17:34 - 17:37
    아무일 없는척 하면 안됩니다.
  • 17:37 - 17:40
    괴로울때 괴롭다고 말할줄
    알아야 합니다.
  • 17:41 - 17:43
    사랑하는 사람들이 처음에는...
  • 17:45 - 17:50
    모든걸 함께 나누겠다고 서약하죠 -
    괴로우나 즐거우나요.
  • 17:50 - 17:52
    그러니 이런 문장은
    당연한겁니다.
  • 17:52 - 17:58
    여러분이 괴로울때
    상대방에게 괴롭다고 말해야죠.
  • 17:59 - 18:04
    둘째 문장은,
    "나는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 18:05 - 18:09
    '왜냐하면 나는 주의깊음의
    수행자이니까요.
  • 18:10 - 18:16
    '주의깊은 호흡과 걷기 명상을 하며
    내 고통을 깊이 봅니다.
  • 18:16 - 18:19
    '이 고통이 나의 잘못된 견해로부터
    온것인지 보기 위해서요.
  • 18:20 - 18:24
    '왜냐하면 나도 내 잘못된 인식의
    희생자가 될수 있으니까요.
  • 18:25 - 18:30
    '당신은 나에게 고통을 주려는
    의도가 없었을수도 있습니다.
  • 18:30 - 18:35
    '하지만 나도 때로는
    잘못된 인식을 하기 때문에...
  • 18:35 - 18:41
    내 고통을 깊이 보기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 18:43 - 18:47
    이 둘째 문장은...
  • 18:47 - 18:51
    상대방도 수련하도록
    간접적으로 초대하는 말입니다.
  • 18:52 - 18:58
    '내가 무슨 행동, 무슨 말을 했기에
    저렇게 고통스러웠을까?'
  • 18:58 - 19:03
    하고 상대방이 되돌아 볼수 있도록...
    이런것이 수련입니다.
  • 19:04 - 19:08
    그리고 마지막 셋째 문장입니다 -
    "저를 도와주세요."
  • 19:17 - 19:21
    이 세 문장을 적은 종이를
    지갑 같은 곳에 넣어 두세요.
  • 19:24 - 19:29
    그러면 여러분은 지갑 안에 '가르침'
    내지는 '부처님'을 지니고 있는 것입니다.
  • 19:30 - 19:32
    그래서 이런 고통이 생길때마다...
  • 19:32 - 19:38
    그 고통의 원인이 사랑하는 사람에게
    있다고 생각할 때...
  • 19:38 - 19:40
    그 쪽지를 꺼내세요.
  • 19:40 - 19:42
    그럼 어떻해야 될지 알수 있을겁니다.
  • 19:42 - 19:44
    (번역: 한국 주의깊음 수련 상가)
Title:
The 4th Mantra & the Dharma in the Wallet | Thich Nhat Hanh (short teaching video)
Description: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Duration:
19:44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