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번째 만트라는 조금 어려운 겁니다.
왜냐하면...
-
나 자신이 고통 받고 있기 때문이지요.
-
상대방이 아니라 여러분이
고통받고 있는 당사자입니다.
-
그리고 여러분 생각엔 이 고통의 원인이...
-
상대방에게 있습니다.
-
만약 다른 사람이 똑같은 행동을
나에게 했더라도...
-
이렇게 고통스럽지는 않았을겁니다.
-
하지만 이 고통을 준 사람은
다른 사람이 아니라...
-
내가 가장 사랑하는 바로 그입니다.
-
만약 다른 사람이...
-
그렇게 말했다면, 아마 나는...
-
이렇게 괴롭지는 않았을겁니다.
-
하지만 내가 가장 사랑하고 믿는
사람이기 때문에...
-
고통이 매우 깊은 것이지요.
-
그리고 혼자라고 느낍니다.
외롭지요.
-
이럴때 보통 우리는 자기 방으로 가서
문을 잠그고 울곤 합니다.
-
상처가 깊으니까요.
-
이럴때 상대방이 와서 왜그러냐고 물어도...
-
대답을 하기 싫습니다.
-
그럴때 우리는 "필요없어!"하고
상대방에게 이야기하죠.
-
상대방에게 아무것도 필요없고
난 괜찮다고 소리칩니다.
-
우습게 들리지만 우리는
자주 이렇게 행동합니다.
-
자존심... 이렇게 사랑하는 관계에
자존심이 끼어듭니다.
-
이것은 "함께존재함"의
가르침과는 반대이지요.
-
"자아" 관념이 장애물이 됩니다.
-
거기서 고통이 생깁니다.
-
상대방이 이렇게 말합니다 -
-
"왜그래? 괴로운 일 있어?"
-
그럴때 우리는 이러죠,
"내가 왜 괴로와? 됐어, 필요없어."
-
하고 부인합니다.
-
만약 그가 내 어깨에
손이라도 얹어 위로하려 하면...
-
"왜 이래? 저리 가!"
하며 피합니다.
-
우리는 애써 상대방이 필요없다고 하며...
-
나는 혼자서 잘 지낼수 있다고
간접적으로 알리려 합니다.
-
상대방에 대한 일종의 "응징"이지요.
그를 그렇게 처벌하려 합니다.
-
이것은 진정한 사랑이 아닙니다.
-
진정한 사랑에서는
모든것을 함께 나누어야 합니다.
-
나의 고통은 상대방의 고통이기도 합니다.
-
나의 행복은 그의 행복이구요.
-
하지만 내가 괴로울때 그에게
도움을 청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
진정한 수행은 이럴때 그에게
나의 고통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
베트남에서 15세기 말에 벌어진
실화가 있습니다.
-
한 여인이 있었는데...
-
임신중이었습니다.
-
[베트남어]
-
그런데 남편은 전쟁에 징병이 되었습니다.
-
젊은 부부였죠.
-
남편이 떠나야 했을때
부부는 너무나 많이 울었습니다.
-
그리고 젊은 아내는...
-
나중에 아기를 낳아서
혼자 길러야 했습니다.
-
남편은 군대에서 3년간 복무한 후...
-
운이 좋게도...
-
무사히 제대할수 있었습니다.
-
그래서 고향으로 돌아오게 되었지요.
-
아내는 그 소식을 듣고 너무나 기뻐서...
-
어린 아들을 데리고
마을의 입구로 달려 나갔습니다.
-
너무나 행복한 순간이었죠...
-
3년 동안 전쟁으로 헤어진 후
재회하게 되었으니까요.
-
그리고 남편은 처음으로
자신의 아들을 보게 되었습니다.
-
베트남의 전통에서는...
-
가족의 경사를 조상에게
알리게 되어 있습니다.
-
그래서 일종의 의식을 하지요.
-
각 가정마다 이러한 의식을 위한
제단이 있습니다.
-
매일 아침...
-
이 제단으로 가서
발의 먼지를 털고 들어가서...
-
향에 불을 붙여서 제단에 바칩니다.
-
1~2분 걸리는 간단한 의식이지만...
-
우리에겐 매우 중요한 의식입니다.
-
왜냐하면 베트남에서는...
-
조상은 항상 살아있다고 믿기 때문이죠.
-
최소한 우리의 마음 안에서는요.
-
우리가 어디에 있던
조상도 함께 있다고 믿습니다.
-
우리의 내면에요.
-
이렇게...
-
우리의 이전 세대와의 교감을 위해...
-
분향과 같은 일을 하는 시간은...
-
조상과 접촉하는 순간이지요.
-
이런 전통은 아주 중요합니다.
-
우리가 이러한 전통을 잊고
뿌리를 잃게 되면...
-
우리의 정서도 안정성을 갖기 힘듭니다.
-
그래서 베트남에서는 집안에
중요한 일이 있을때마다...
-
조상에게 정식으로 알리는
의식을 하는 것이지요.
-
예를 들어 가족 내에 아기가 태어나면...
-
제단에 향을 올리며 조상에게 알립니다.
-
조상님들이 그걸 알아야 하니까요.
-
자녀가 진학을 위해
타지역으로 갈 때에도...
-
제단에 분향을 하며 조상들께 알립니다.
-
딸을 시집 보낼 때에도 마찬가지입니다.
-
베트남에서는 어느 가족이나
가지고 있는 전통입니다.
-
그래서 젊은 아내는 이 의식을 위해
장을 보러 나갔습니다.
-
그리고 남편은 아들과
단둘이 남게 되었지요.
-
그는 아들에게 자신을 아빠라고
불러보라고 했습니다.
-
그런데 아이는 거절하는 것이었습니다.
-
"아저씨는 우리 아빠가 아니예요.
-
"진짜 아빠는 그동안 매일 밤
우리집에 왔었어요.
-
"그러면 엄마는 아빠랑 오랫동안
같이 얘기하고...
-
"울었어요.
-
"엄마가 앉으면...
-
"아빠도 같이 앉고...
-
엄마가 누우면 같이 누웠어요."
-
젊은 남편이 이 이야기를 들었을때...
-
그의 고통은 이루 말할수 없었죠.
-
아내가 그동안 다른 남자가
있었다고 생각했습니다.
-
자신의 집에서 아내와
지냈다고 믿은거죠.
-
그의 마음은 얼음장처럼
차가와졌습니다.
-
그는 그때부터 그 아이와
아무 말도 하지 않았죠.
-
실제로 아내를 만나러 오는
사람은 없었습니다.
-
남편이 전쟁에 나간 동안 어느날...
-
어린 아들은 다른 아이들과 놀다가
늦게 집에 돌아온 날이 있었는데...
-
엄마에게 물었습니다 -
"다른 아이들은 다 아빠가 있는데...
-
"우리 아빠는 어디 있어요?
-
나도 아빠가 있었으면 좋겠어요."
-
그때 엄마는 등잔에
불을 켜고 있었는데...
-
아들에게 자신의 그림자를
가리키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
-
"이 분이 아빠란다.
-
"아빠한테 인사하렴.
-
'아버지, 다녀오셨어요?' 하고..."
-
그래서 아들은 그 그림자가
아버진인줄 알았던 것입니다.
-
아내는 외로와서 그 그림자를 남편으로
삼아 혼자 많은 대화를 했지요.
-
그림자에게 이렇게 말하곤 했습니다 -
-
"여보, 당신이 전쟁에 가버린지
너무나 오래되었어요...
-
혼자서 아이를 키우는게 힘들어요..."
-
물론 아내가 앉으면
그림자도 같이 앉았지요.
-
이것이 실제로 일어난 일이었습니다.
-
하지만 젊은 남편은
'잘못된 생각'을 가져서...
-
누군가 실제로 아내와 만나는
사람이 있다고 생각한거지요.
-
아내가 장을 보고
집으로 돌와왔을때...
-
남편은 그녀를 쳐다보지도 않고...
-
그녀의 말에 대답도 하지 않고
차갑게 그녀를 대했습니다.
-
아내는 고통스러웠지요.
-
남편이 왜 그러는지, 무슨일이
벌어졌는지 이해할수 없었습니다.
-
의식을 위한 음식 등을
제단에 올린 후...
-
남편은 돗자리를 깔고
향을 올린 다음...
-
베트남 전통에 따라
네번 절을 하였습니다.
-
그리곤 돗자리를 다시 말아서
치워버려서...
-
아내가 절을 못하게 했습니다.
-
남편은 아내가 조상에게
분향을 할 자격이 없다고...
-
간음을 했다고 생각했으니까요.
-
아내는 어쩔줄을 몰랐습니다.
-
왜 남편이 이러는지도 몰랐지요.
-
남편은 의식 후 식사도 하지 않고
나가 버렸습니다.
-
그는 술집으로 가서 술을 마시며
자신의 고통을 잊으려 했지요.
-
그리곤 세벽 늦게까지
집으로 돌아오지도 않았습니다.
-
그렇게 계속 며칠을 보냈지요.
-
아내는 그 고통을 더이상
견딜수 없어서...
-
강물에 몸을 던져버리고 말았습니다.
-
남편은 아내의 죽음에 대한
소식을 듣고는...
-
집으로 돌아와 아들을 돌보았습니다.
-
그러던 어느날 밤 그가
등잔불을 켜는데...
-
아들이 아버지에게 말했죠 -
"아저씨, 우리 진짜 아빠가 왔어요!"
-
아이는 그림자를 가리키면서...
"전에도 매일밤 우리집에 왔었어요!"
-
그제서야 젊은 아버지는
진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
하지만 너무 늦었지요.
-
자신의 "잘못된 견해"의
희생자가 된것입니다.
-
그렇지만 너무 늦었습니다.
-
다음날 마을 사람들은
이 비극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
그들은 젊은 남편이 3일장
장례 의식을 치르는 것을 도왔습니다.
-
이것은 죽은 여인의 영혼을 위한
전통 의례였습니다.
-
그 지역의 왕(王)은...
-
[베트남어]
-
시인이었습니다.
-
어느날 이 마을을 지나게 되었는데...
-
마을 사람들이 강 근처에
지어놓은 사당을 보고는...
-
무슨 사연이 있는
사당이냐고 물었습니다.
-
그래서 동네 사람들은 왕에게 이 부부의
비극적인 이야기를 해주었습니다.
-
왕은 그 사연에 감동을 받아서
시를 썼는데...
-
그 시를 그곳 사당의
바위에 새겼고...
-
그 바위는 아직도 그 마을에 있습니다.
-
이러한 비극이 일어난 이유는...
-
그 젊은 남편과...
-
아내가...
-
네번째 만트라를 수행할줄
몰랐기 때문입니다.
-
네번째 만트라는 이렇습니다 -
-
"나는 고통받고 있습니다...
-
도와주세요."
-
'설명해주세요.
-
왜 그런 행동을 나에게 했는지 말해주세요.
-
왜 그런 말을 나에게 했는지 설명해주세요.
-
그래서 고통받고 있습니다. 도와주세요.'
-
만약 그 남편이 이렇게 했다면...
-
아내는 그것에 대해 설명할수 있는
기회를 가졌겠지요.
-
그리고 이러한 비극을 피할수 있었을겁니다.
-
아내도 남편과 똑같은 실수를 했지요...
-
그녀가 상처를 받았을때...
-
자존심이 개입이 되었지요.
-
만약 그녀가 그렇게 상처받았을때
남편에게 가서...
-
"여보, 저는 너무나 상처를 받았어요...
-
"제가 장을 보고 온 후로는
계속 저를 쳐다 보지도 않고...
-
"제 말에 대답도 하지 않아요.
-
"제가 혹시 몹시 잘못한게 있는지요?
-
절 도와주세요. 설명해주세요."
-
만약 그녀가 이렇게 말했다면...
-
남편은 아내에게 이야기했을겁니다.
-
"아이가 말하길 매일밤 찾아오는
남자가 있었다고 하는데...
-
"그게 누구였나요?
그래서 괴로운거예요.
-
설명해주세요."
-
그랬다면 설명이 되었을것이고,
비극도 없었을겁니다.
-
그리고 이것은...
-
실천하기 어려운 수행이지만,
-
이 네번째 만트라는...
-
이런 비극을 방지하기 위해
매우 필요한 수련입니다.
-
그러니 여러분이 다음에...
-
이런 고통을 겪을때...
-
이 고통의 원인이 여러분이
사랑하는 사람에게 있다고 생각할 때...
-
이 젊은 남편처럼 행동하면 안됩니다.
-
이 아내처럼 행동하면 안됩니다.
-
그러지 마세요.
-
자존심이 둘 사이에 끼게 하지 말고...
-
상대방에게 가서 도움을 청하세요.
-
플럼빌리지에 사는 친구들은...
-
조그만 종이에다가
세 문장을 적어서 가지고 다닙니다.
-
첫째 문장은...
-
"내가 지금 고통받고 있다는걸 알아주세요."
-
"내가 지금 고통받고 있다는걸 알아주세요."
-
아무일 없는척 하면 안됩니다.
-
괴로울때 괴롭다고 말할줄
알아야 합니다.
-
사랑하는 사람들이 처음에는...
-
모든걸 함께 나누겠다고 서약하죠 -
괴로우나 즐거우나요.
-
그러니 이런 문장은
당연한겁니다.
-
여러분이 괴로울때
상대방에게 괴롭다고 말해야죠.
-
둘째 문장은,
"나는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
'왜냐하면 나는 주의깊음의
수행자이니까요.
-
'주의깊은 호흡과 걷기 명상을 하며
내 고통을 깊이 봅니다.
-
'이 고통이 나의 잘못된 견해로부터
온것인지 보기 위해서요.
-
'왜냐하면 나도 내 잘못된 인식의
희생자가 될수 있으니까요.
-
'당신은 나에게 고통을 주려는
의도가 없었을수도 있습니다.
-
'하지만 나도 때로는
잘못된 인식을 하기 때문에...
-
내 고통을 깊이 보기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
이 둘째 문장은...
-
상대방도 수련하도록
간접적으로 초대하는 말입니다.
-
'내가 무슨 행동, 무슨 말을 했기에
저렇게 고통스러웠을까?'
-
하고 상대방이 되돌아 볼수 있도록...
이런것이 수련입니다.
-
그리고 마지막 셋째 문장입니다 -
"저를 도와주세요."
-
이 세 문장을 적은 종이를
지갑 같은 곳에 넣어 두세요.
-
그러면 여러분은 지갑 안에 '가르침'
내지는 '부처님'을 지니고 있는 것입니다.
-
그래서 이런 고통이 생길때마다...
-
그 고통의 원인이 사랑하는 사람에게
있다고 생각할 때...
-
그 쪽지를 꺼내세요.
-
그럼 어떻해야 될지 알수 있을겁니다.
-
(번역: 한국 주의깊음 수련 상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