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랍도록 논리적인 사고를 하는 아기들
-
0:01 - 0:03미국 유명 작가 마크 트웨인은
-
0:03 - 0:06제가 생각하기에 가장 근본적인
인지과학의 문제를 -
0:06 - 0:08재치있게 한 마디로 정리했습니다.
-
0:08 - 0:11"과학에는 뭔가 매력적인 것이 있다.
-
0:11 - 0:15사실이라는 아주 작은 투자를 통해
-
0:15 - 0:18그토록 많은 추측을 이끌어내니까."
-
0:18 - 0:20(웃음)
-
0:20 - 0:23물론 농담이었겠지만 맞는 말입니다.
-
0:23 - 0:26과학에는 특별한 매력이 있습니다.
-
0:26 - 0:30우리는 몇 개의 뼈만으로
공룡의 존재를 추론해냈고 -
0:31 - 0:35분광선에서는 성운의 구성을,
-
0:35 - 0:38초파리에서는
-
0:38 - 0:41유전의 법칙을,
-
0:41 - 0:46그리고 뇌에 흐르는 피를
재구성한 이미지로 -
0:46 - 0:50저 같은 경우는,
아주 어린 아이들의 행동을 통해 -
0:50 - 0:55인간 인식이 근본적으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내려고 하죠. -
0:56 - 1:00특히 저는 MIT 뇌인지과학과에
있는 제 연구실에서 -
1:00 - 1:04지난 10년간 아이들이
어떻게 적은 양의 정보로 -
1:04 - 1:08많은 것을 빨리 배우는지에 대한
신비를 알아내려고 노력했습니다. -
1:09 - 1:12과학이 매력적인 이유가
-
1:12 - 1:15바로 아기들이 놀랍기 때문입니다.
-
1:15 - 1:18마크 트웨인의 말을
완곡하게 바꾸어 보자면 -
1:18 - 1:22아기들이 빠르고 정확하게
적은 양의 어지러운 자료로부터 -
1:22 - 1:27풍부하고 추상적인 추론을
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
1:28 - 1:31저는 오늘 여러분들께 예시를
두 개만 보여 드리겠습니다. -
1:31 - 1:33하나는 일반화의 오류이고
-
1:33 - 1:36다른 하나는 인과추론의 오류입니다.
-
1:36 - 1:38제 연구실에서 한 연구에 대해
말씀드리겠지만 -
1:38 - 1:42이 연구는 인지과학분야에서
영감과 도움을 받았습니다. -
1:42 - 1:46전 세계의 멘토와 동료와
공동연구자들에게 감사드립니다. -
1:47 - 1:50그럼 일반화의 오류부터 얘기할까요?
-
1:51 - 1:55적은 표본으로 일반화하는 것은
과학의 기본입니다. -
1:55 - 1:57우리가 유권자의 일부분만 여론조사해서
-
1:57 - 2:00대국민 선거결과를 예측하듯 말이죠.
-
2:00 - 2:04우리는 소수의 환자의
임상실험에 대한 반응을 보고 -
2:04 - 2:07전국의 시장에 약을 내놓습니다.
-
2:07 - 2:12일반화가 통하기 위해서는 표본이
무작위로 선정돼야 합니다. -
2:12 - 2:14표본이 특정한 방식으로
선별된다면, -
2:14 - 2:16예를 들어, 도시의 여론만 조사하거나
-
2:16 - 2:21심장질환 치료를 위한 임상실험의 경우
-
2:21 - 2:23남자만 대상으로 한다면
-
2:23 - 2:26결과를 인구 전체로
일반화할 수 없겠죠. -
2:26 - 2:30따라서 과학자들은
무작위 표본추출을 신경씁니다. -
2:30 - 2:32그런데 이게 아기와 무슨 상관일까요?
-
2:33 - 2:37아기는 항상 적은 표본으로
일반화해야 합니다. -
2:37 - 2:40고무오리 몇 개만 보고
고무오리는 물에 뜬다는 것을, -
2:40 - 2:44몇 개의 공만 보고
공은 튀어오른다는 걸 배우죠. -
2:44 - 2:47그리고 고무오리와 공에 대해
예상을 발전시켜서 -
2:47 - 2:51남은 일생동안 고무오리와
공에 확대 적용합니다. -
2:51 - 2:55고무오리와 공에
적용하는 것과 같은 일반화를 -
2:55 - 2:57거의 다른 모든 것에도 적용합니다.
-
2:57 - 3:01신발, 배, 밀랍 봉인, 양배추, 왕..
-
3:02 - 3:05그렇다면 아기는 그들이 보는
적은 양의 증거가 -
3:05 - 3:09모집단을 정말 대표할 수
있는지에 신경쓸까요? -
3:10 - 3:12한번 알아봅시다.
-
3:12 - 3:13지금부터 두 개의 영상을
보여드릴겁니다. -
3:13 - 3:16각각 다른 조건에서 실험한 영상입니다.
-
3:16 - 3:18두 개만 보시게 되니까
-
3:18 - 3:20아기도 두 명만 있을 겁니다.
-
3:20 - 3:24그리고 어떤 아기든 두 명의 아기는
서로 수많은 부분에서 다릅니다. -
3:24 - 3:27하지만 이 아기들은 여기서
아기 집단을 대표합니다. -
3:27 - 3:29여러분이 보시게 될 차이점은
-
3:29 - 3:35다른 조건 아래의 아기들의 행동방식의
평균 집단적 차이를 대표합니다. -
3:35 - 3:38각각의 영상에서 여러분은 아마 아기가
-
3:38 - 3:41여러분이 예측한 대로
행동하는 걸 보게 될 겁니다. -
3:41 - 3:45그 이상으로 아기가 더 마법같은
행동을 할 순 없습니다. -
3:46 - 3:48제 생각으로 마법같은 것은,
-
3:48 - 3:50여러분이 주목하셨으면 하는 부분이
-
3:50 - 3:53각각 다른 조건을 대조한 것입니다.
-
3:53 - 3:57두 영상의 유일한 차이점이라곤
-
3:57 - 4:00아기들이 관찰할
통계적 증거밖에 없기 때문이죠. -
4:01 - 4:05우리는 아기에게 파란색과 노란색 공이
담긴 상자를 보여줄 겁니다. -
4:05 - 4:09당시 대학원생이었고 이제는
스탠포드에서 제 동료인 권효원양이 -
4:09 - 4:12상자에서 파란 공을
연속으로 세 개 꺼낼겁니다. -
4:12 - 4:15꺼낸 후에는 공을 꽉 누를 거예요.
-
4:15 - 4:18그러면 공에서 끽끽 소리가 날 겁니다.
-
4:18 - 4:20만약 여러분들이 아기라면.
TED 강연 같은 거죠. -
4:20 - 4:22그보다 좋을 수 없으니까요.
-
4:22 - 4:25(웃음)
-
4:27 - 4:31중요한 건 파란 공이 대부분인
상자에서 파란 공을 세 번 연속 -
4:31 - 4:33꺼내는 건 쉽다는 겁니다.
-
4:33 - 4:35눈 감고도 할 수 있어요.
-
4:35 - 4:38이 모집단에서 충분히 무작위로
뽑힐 수 있는 표본이죠. -
4:38 - 4:42그리고 상자 안에 손을 넣어
무작위로 소리나는 공을 뽑을 수 있다면 -
4:42 - 4:45상자 안의 모든 공에서 소리가
날 수도 있습니다. -
4:45 - 4:48그래서 아기는 노란 공도 소리가
날 거라고 예상할 수도 있습니다. -
4:48 - 4:51이 노란 공에는, 아기들이 막대로
다른 걸 해볼 수 있도록 -
4:51 - 4:54공의 끝부분에 막대가 꽂혀 있습니다.
-
4:54 - 4:55마구 두드릴 수도 있고
칠 수도 있습니다. -
4:55 - 4:58아기들이 어떻게 하는지 보죠.
-
5:01 - 5:04권효원: 이거 보이니?
(공이 끽끽 대는 소리) -
5:05 - 5:08봤어?
(공이 끽끽 대는 소리) -
5:08 - 5:11멋지다.
-
5:13 - 5:15이 공 보이니?
-
5:15 - 5:17(공이 끽끽대는 소리)
-
5:17 - 5:19우와.
-
5:22 - 5:24별 거 없죠?
-
5:24 - 5:28권효원: 이거 보여?
(공이 끽끽대는 소리) -
5:28 - 5:33클라라, 이 공 줄게.
갖고 놀아도 돼. -
5:39 - 5:44(웃음)
-
5:44 - 5:47말 안해도 어떤 상황인지 아시겠죠?
-
5:47 - 5:50아기들이 파란 공의 특성을 노란 공에
-
5:50 - 5:52일반화시키는 것은 좋습니다
-
5:52 - 5:55아기들이 우리의 행동을 모방함으로써
학습하는 것도 인상깊죠. -
5:55 - 5:58우리는 아기의 이런 특성을
오래 전부터 알고 있었습니다. -
5:58 - 6:00진짜 흥미로운 질문은
-
6:00 - 6:03아기들에게 완벽히 똑같은 것을
보여주면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입니다. -
6:03 - 6:07완벽히 똑같다고 장담할 수 있는게
우리가 칸을 하나 숨겨놓고 -
6:07 - 6:09거기서 공을 꺼내기 때문입니다.
-
6:09 - 6:12하지만 이번엔 증거를 산출하는
-
6:12 - 6:15모집단만 바꿀겁니다.
-
6:15 - 6:19이번에는 아기에게 노란 공이
대부분인 상자에서 꺼낸 -
6:19 - 6:22파란 공 세 개를 보여줄 겁니다.
-
6:22 - 6:23결과가 어떨까요?
-
6:23 - 6:26아마 노란 공이 가득한 상자에서
무작위로 파란 공을 -
6:26 - 6:29연속 세 번 뽑을 수는 없을 겁니다.
-
6:29 - 6:32무작위로 뽑았을 때
가능한 표본이 아니죠. -
6:32 - 6:38이 표본은 효원양이 일부러 파란 공만
뽑았을 수도 있다는 걸 암시합니다. -
6:38 - 6:40파란 공이 특별한 걸 수도 있죠.
-
6:41 - 6:44파란 공에서만 소리가 날 수도 있어요.
-
6:44 - 6:46아기가 어떻게 행동하는지 봅시다.
-
6:46 - 6:49권효은: 이거 보이니?
(공이 끽끽대는 소리) -
6:51 - 6:53이 장난감 보여?
(공이 끽끽대는 소리) -
6:53 - 6:59멋지다. 봐봐.
(공이 끽끽대는 소리) -
6:59 - 7:03자, 이거 줄게.
갖고 놀아도 돼. -
7:06 - 7:15(소란)
(웃음) -
7:16 - 7:2115개월의 두 아기가 관찰한 표본의
확률에만 기반한 추측으로 -
7:21 - 7:23완전히 다른 행동을 하는 것을
방금 보셨습니다. -
7:23 - 7:25실험 결과를 보여드릴게요
-
7:26 - 7:28세로 축은 각 조건에서 공을 누른
-
7:28 - 7:31아기의 비율입니다.
-
7:31 - 7:35보시다시피 아기들은
증거가 선별됐을 때보다 -
7:35 - 7:38모집단을 충분히 대표할 수 있을 때
-
7:38 - 7:41증거를 일반화할 확률이 더 높습니다.
-
7:41 - 7:44이걸로 재밌는 예측이 가능합니다.
-
7:44 - 7:49노란 공이 대부분인 상자에서
파란 공을 하나만 꺼낸다고 가정합시다. -
7:49 - 7:53무작위로 파란 공을 연속으로
세 개나 뽑는 건 어려울 겁니다. -
7:53 - 7:55하지만 파란 공을 무작위로
하나만 뽑는것은 -
7:55 - 7:57있을 수 없는 일은 아니죠.
-
7:57 - 7:59그리고 상자에 손을 넣어
아무거나 꺼냈는데 -
7:59 - 8:03소리가 난다면 상자 속의
다른 공도 다 소리날 수도 있죠. -
8:04 - 8:08그러니까 이전에 비해
소리나는 공을 훨씬 적게 보게 되고 -
8:08 - 8:11모방할 행동이 훨씬 적더라도
-
8:11 - 8:14여러분이 방금 보신 조건에서보다
공 하나를 뽑는 이 조건에서 -
8:14 - 8:18아기가 더 많이 공을
누를 거라고 우린 추측했고 -
8:18 - 8:21실제로 그랬습니다.
-
8:21 - 8:25그러니까 15개월의 아기가,
이 부분에 있어서는 -
8:25 - 8:28과학자들처럼 표본이 무작위로
선출되었는지 신경쓰고 -
8:28 - 8:32세상을 더 잘
예측하는 데 사용합니다. -
8:32 - 8:34어느 공이 소리가 나는지
-
8:34 - 8:37어느 걸 탐구하고
무시해야 할지 말이죠. -
8:38 - 8:40이제 다른 예시를 보여드릴게요.
-
8:40 - 8:43이번에는 인과추론의
오류에 대한 겁니다. -
8:43 - 8:47이 오류는 우리 모두가 가진
혼란스러운 증거로부터 시작됩니다. -
8:47 - 8:49우리가 세계의 일부라는 거죠.
-
8:49 - 8:52여러분께 문제처럼 보이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
8:52 - 8:55이건 다른 문제들처럼 일이
잘못되었을 때만 문제가 됩니다. -
8:55 - 8:57이 아기를 예로 들어 봅시다.
-
8:57 - 8:59뭐가 잘 안 풀리네요.
-
8:59 - 9:01장난감을 작동시키고 싶은데 안돼죠.
-
9:01 - 9:04짧은 영상을 보여드릴게요.
-
9:09 - 9:11크게 두 가지 가능성이 있습니다.
-
9:11 - 9:14아기가 뭔가를 잘못하고 있든지
-
9:14 - 9:18장난감이 문제든지.
-
9:18 - 9:20그래서 다음 실험에서
-
9:20 - 9:24아기들에게 둘 중
하나의 가설을 지지하는 -
9:24 - 9:26통계 자료를 조금 줄 겁니다.
-
9:26 - 9:30아기들이 이걸 이용해
어떤 행동을 해야할 지에 대한 -
9:30 - 9:31다른 판단을 내릴 수
있는지 볼 거예요. -
9:31 - 9:33실험은 이런 식으로 진행됩니다.
-
9:34 - 9:37효원 양이 장난감을 작동시키고
그렇게 됩니다. -
9:37 - 9:40그 다음 제가 두 번 시도하고
두 번 다 실패할 거예요. -
9:40 - 9:44다시 효원 양이 시도해서
장난감을 작동시키는 데 성공할 겁니다. -
9:44 - 9:47이건 전반적으로
기계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
9:47 - 9:50저와 학생들 사이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
9:50 - 9:53여기서 중요한 점은
장난감이 문제가 아니라 -
9:53 - 9:57사람이 문제라는 것에 대한 증거를
조금만 제공한다는 겁니다. -
9:57 - 9:59어떤 사람은 이 장난감을
작동시킬 수 있고 -
9:59 - 10:00어떤 사람은 아니죠.
-
10:01 - 10:04아기들이 장난감을 받으면
선택지가 주어질 겁니다. -
10:04 - 10:06엄마가 바로 옆에 있어서
-
10:06 - 10:10아기가 엄마에게 장난감을 줌으로써
사람을 바꿀 수도 있고 -
10:10 - 10:13천의 다른 쪽에는
또 다른 장난감이 있어서 -
10:13 - 10:16천을 잡아당겨 장난감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
10:16 - 10:19아기가 어떻게 행동하는지 봅시다.
-
10:19 - 10:23권효원: 둘, 셋, 짠!
(음악) -
10:23 - 10:26로라 셜츠: 하나, 둘, 셋, 짠!
-
10:26 - 10:33아서, 다시 해볼게.
하나, 둘, 셋, 짠! -
10:34 - 10:36권효원: 아서, 나도
다시 해볼게,알았지? -
10:36 - 10:41하나, 둘, 셋, 짠! (음악)
-
10:42 - 10:43이것 봐. 이 장난감들 기억나니?
-
10:43 - 10:47이 장난감들 보여?
그래, 이건 여기 두고 -
10:47 - 10:49이건 너한테 줄게.
-
10:49 - 10:51가지고 놀아도 돼.
-
11:11 - 11:16로라, 그런데 아기는
엄마를 사랑하니까 -
11:16 - 11:18장난감이 작동하지 않을 때
-
11:18 - 11:20당연히 엄마에게 장난감을 주겠죠.
-
11:20 - 11:24다시 말씀드리지만 중요한 건
우리가 통계 자료를 아주 약간 -
11:24 - 11:27변형시켰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입니다. -
11:27 - 11:31이번에 아기는 동일한 순서로
장난감을 작동시키는 걸 -
11:31 - 11:33성공하고 실패하는 걸 보겠지만
증거의 분포가 바뀔겁니다. -
11:33 - 11:38이번엔 효원 양과 저는 한 번
성공하고 한 번 실패할 거예요. -
11:38 - 11:43이건 누가 시도하는지 상관없이
장난감이 망가진 걸 의미합니다. -
11:43 - 11:45항상 작동하진 않으니까요.
-
11:45 - 11:47다시, 아기는 선택지가 주어집니다.
-
11:47 - 11:50엄마가 바로 옆에 있어서
사람을 바꿀 수도 있고 -
11:50 - 11:53천 끝에 다른 장난감이 있어서
장난감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
11:53 - 11:55아기가 어떻게 하는지 관찰해보죠.
-
11:55 - 12:00효원: 둘, 셋, 짠!
-
12:00 - 12:05다시 해볼게. 하나, 둘, 셋, 짠!
-
12:05 - 12:07음...
-
12:08 - 12:11로라 슐츠: 클라라, 내가 해볼게.
-
12:11 - 12:15하나, 둘, 셋, 짠!
-
12:15 - 12:17음, 다시 해볼게.
-
12:17 - 12:23하나, 둘, 셋, 짠!
-
12:23 - 12:25권효원: 이건 여기 두고
-
12:25 - 12:27이건 너한테 줄게.
-
12:27 - 12:31갖고 놀아도 돼.
-
12:46 - 12:51(박수)
-
12:53 - 12:55실험 결과를 보여드릴게요.
-
12:55 - 12:58세로축에 아이들이 각 조건에서
어떤 선택을 했는지에 대한 -
12:58 - 13:00분포를 볼 수 있습니다.
-
13:00 - 13:05보시면 분포도가
아기들이 관찰한 증거에 따라 -
13:05 - 13:08결정된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
13:08 - 13:10아기는 두 살 때
-
13:10 - 13:13적은 양의 통계 자료로 행동할 때
-
13:13 - 13:17두 가지의 근본적으로 다른 전략 중
하나를 고를 수 있습니다. -
13:17 - 13:20도움을 청할지 탐구해 볼지 입니다.
-
13:22 - 13:25이 분야에서 비슷한 주제로 한 실험이
정말 수 백개가 있지만 그 중에서 -
13:25 - 13:29연구실에서 한 실험
두 개만 보여드렸습니다. -
13:29 - 13:31정말로 중요한 요점은
-
13:31 - 13:36적은 자료로 풍부한 추론을 하는
아이들의 능력이 -
13:36 - 13:42인간이 하는 모든 종 특유의
문화적 학습의 근간이기 때문이죠. -
13:42 - 13:46아이들은 몇 개의 예시만으로
새 도구를 사용하는 법을 배우고 -
13:46 - 13:51몇 개의 예시만으로
새로운 인과관계를 배웁니다. -
13:52 - 13:57새로운 단어도 배웁니다.
이 경우는 미국식 수화죠. -
13:57 - 13:59두 가지 요점으로
마무리하고 싶습니다. -
14:00 - 14:04만약 여러분께서 제 세계인
뇌와 인지과학의 분야를 -
14:04 - 14:05지난 몇 년간 지켜보셨다면
-
14:05 - 14:08세 가지 커다란 견해가
눈에 들어오셨을 겁니다. -
14:08 - 14:12첫째는, 지금은 뇌의 시대라는 겁니다.
-
14:12 - 14:15정말로 신경과학에서
충격적인 발견들이 있었습니다. -
14:15 - 14:19피질에서 기능이 특화된
부분을 알아내는 것, -
14:19 - 14:21쥐의 뇌를 투명하게 만드는 것,
-
14:21 - 14:24뉴런을 빛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이 있었죠. -
14:25 - 14:27두 번째는
-
14:27 - 14:31빅데이터와 기계 학습의
시대라는 것입니다. -
14:31 - 14:34기계 학습은 우리의 이해력에
혁명을 가져올 것을 약속합니다. -
14:34 - 14:39소셜네트워크부터 역학까지 전부 다요.
-
14:39 - 14:42그리고 장면 이해에 대한 문제와
-
14:42 - 14:44자연 언어 처리를 다루면서
-
14:44 - 14:47인간의 인식력에 대해
무언가를 알려줄 수도 있죠. -
14:48 - 14:50마지막은 여러분이
들어보셨을 수도 있는데 -
14:50 - 14:52우리가 뇌에 대해 많은 걸 알고
-
14:52 - 14:55빅데이터에 많이 접근하는 게
좋은 것일 수 있다는 겁니다. -
14:55 - 14:58기기와 남겨진 인간은
-
14:58 - 15:00오류를 범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
15:00 - 15:05지름길로 가고, 실수를 하고
-
15:05 - 15:07많은 방면에서 편향되어 있고
-
15:07 - 15:11세상을 잘못 이해합니다.
-
15:13 - 15:16저는 이 모든 게 중요하고
-
15:16 - 15:20인간적인 것이 어떤 의미인지에 대해
많은 것을 말해준다고 생각합니다. -
15:20 - 15:23하지만 전 오늘 완전히 다른 이야기를
들려드렸다는 걸 강조하고 싶습니다. -
15:24 - 15:28뇌가 아닌 사고에 관한
이야기였습니다. -
15:28 - 15:31그리고 특별하게
인간의 정신만이 가능한 -
15:31 - 15:33많은 양의 구조화된 지식과
-
15:33 - 15:37적은 양의 자료와 소수의
표본으로부터 얻은 증거로부터 -
15:37 - 15:43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하는
계산 능력에 관한 이야기죠. -
15:44 - 15:49근본적으로 어떻게
어린 아이에서 시작해서 -
15:49 - 15:54우리 문화에서 가장 위대한
업적을 세움으로써 -
15:56 - 15:59세상을 제대로 알게 되는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
16:00 - 16:06여러분, 인간의 사고는 적은 양의
자료로만 학습하지 않습니다. -
16:06 - 16:08새로운 생각도 종합적으로 합니다.
-
16:09 - 16:12연구와 발견을 만들어내고
-
16:12 - 16:17예술과 문학과 시와 극작을 만듭니다.
-
16:17 - 16:21그리고 다른 인간을 보살핍니다.
-
16:21 - 16:24노인과 아이와 병자들을요.
-
16:25 - 16:27심지어 치유해줍니다.
-
16:28 - 16:31앞으로 우리는 상상을 초월하는
-
16:31 - 16:34기술적 혁신을 보게 될 겁니다.
-
16:34 - 16:37하지만 저와 여러분 세대에서
-
16:37 - 16:42인간 아이의 계산 능력에
조금이라도 근접하는 걸 -
16:42 - 16:47볼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
16:47 - 16:52가장 강력한 학습자들과
그들의 발달에 투자한다면 -
16:52 - 16:56아기와 아이들, 엄마와 아빠들에게,
-
16:56 - 16:59돌보미와 선생님들에게 말입니다.
-
16:59 - 17:06우리가 가장 강력하고 정밀한 형태의
기술과 공학과 디자인에 하듯이 한다면 -
17:06 - 17:09단지 더 나은 미래를
꿈꾸기만 하는 게 아니라 -
17:09 - 17:12계획하게 될 것입니다.
-
17:12 - 17:14정말 감사합니다.
-
17:14 - 17:17(박수)
-
17:18 - 17:22크리스: 로라, 감사합니다.
사실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
17:22 - 17:25먼저, 미친 연구네요.
-
17:25 - 17:28누가 저런 연구를
설계하겠어요? (웃음) -
17:29 - 17:31저런 걸 몇 번 본 적은 있지만
-
17:31 - 17:34아직도 실제로 일어날 수 있다는 걸
솔직히 못 믿겠어요. -
17:34 - 17:37그렇지만 다른 사람들도
비슷한 실험을 했고 -
17:37 - 17:39아기가 정말 천재라는 게 입증됐나요?
-
17:39 - 17:42로라: 아기들은 우리 실험 속에서
정말 인상적입니다. -
17:42 - 17:44하지만 현실에서는 어떤지
생각해 보세요. -
17:44 - 17:45아기로 시작해서
-
17:45 - 17:4818개월 후에는 말을 하고 있죠.
-
17:48 - 17:51아기들의 첫 단어는
공이나 오리같은 게 아니에요. -
17:51 - 17:54소멸을 뜻하는 "다 없어졌어"
같은 것들이죠. -
17:54 - 17:56아니면 의도치 않은 행동을 뜻하는
"어어"같은 것이나요. -
17:56 - 17:58그만큼 강력합니다.
-
17:58 - 18:00제가 보여준 것들 이상으로 강력해요.
-
18:00 - 18:02세상의 모든 걸 이해하는 중이니까요.
-
18:02 - 18:054살짜리 아이는 여러분에게
거의 모든 것에 대해 얘기할 수 있죠. -
18:05 - 18:07(박수)
-
18:07 - 18:10크리스: 제가 제대로 이해했다면
당신이 말하는 또 다른 요점은 -
18:10 - 18:13여태까지 오랜 시간
우리의 정신이 변덕스럽고 -
18:13 - 18:15결함이 많다는 논의가 많이 있어왔고,
-
18:15 - 18:18우리가 합리적인 인간이 아니라는 걸
-
18:18 - 18:20행동경제학과 다른 많은
이론들이 뒷받침하고 있죠. -
18:20 - 18:24당신이 말씀하시는 건,
더 큰 그림은 아기들이 -
18:24 - 18:29정말 비범하고 사실상
과소평가받는 천재들이라는거죠. -
18:29 - 18:31로라: 제가 심리학에서
가장 좋아하는 인용구 중 하나가 -
18:31 - 18:33사회심리학자 솔로몬 애쉬가
하신 말씀입니다. -
18:33 - 18:36심리학의 근본적 과제는
자명함의 베일을 -
18:36 - 18:39걷어내는 것이다.
-
18:39 - 18:43여러분은 매일, 세상을 옳게 이해하는
백만 자리수가 넘는 갯수의 -
18:43 - 18:44결정을 내립니다.
-
18:44 - 18:47여러분은 물체와 그 속성에
대해 알고 있습니다. -
18:47 - 18:50막혀있을 때나
어둠 속에 있을 때도 알고 -
18:50 - 18:51방을 걸어서 통과할 수 있습니다.
-
18:51 - 18:53다른 사람들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아내고 그들과 얘기할 수 있고 -
18:53 - 18:56우주를 탐사하고 숫자에 대해 알고
-
18:56 - 18:59인과관계와 도덕적 추론에 대해 압니다.
-
18:59 - 19:01노력 없이 하기 때문에
우리는 보지 못하지만 -
19:01 - 19:04이게 우리가 세상을 옳게 이해하는
방법이고 놀랍습니다. -
19:04 - 19:06그리고 이해하기 힘든 업적이죠.
-
19:06 - 19:10크리스: 제 생각에는 청중들 중에
기술력을 발전시키는 관점을 가지고 -
19:10 - 19:12당신이 우리 세대에 절대로 컴퓨터가
-
19:12 - 19:15세 살의 아이가 할 수 있는 일을
하지 못할 것이라는 주장에 -
19:15 - 19:17이의를 제기할 분이
있을 것 같진 않지만 -
19:17 - 19:21분명한 것은 어떤 시나리오 안에서건
-
19:21 - 19:25기계가 아기들에게서 배울 게
정말 많다는 거죠. -
19:26 - 19:29로라: 그렇게 생각해요. 여기
기계를 공부하는 분도 있을 거예요. -
19:29 - 19:34현실 속 내기에서는 절대로
아기나 침팬지나 기술 반대편에 -
19:34 - 19:37돈을 걸면 안됩니다.
-
19:37 - 19:42하지만 이건 단순히
양적 차이의 문제가 아니라 -
19:42 - 19:44유형적 차이의 문제입니다.
-
19:44 - 19:46우리는 가끔은 방대한 양의 자료로
-
19:46 - 19:48매우 정교한 작업도 수행하는
-
19:48 - 19:51놀라울 정도의 고성능
컴퓨터가 있습니다. -
19:51 - 19:54저는 사람의 사고는 상당히 다른
무언가를 한다고 생각합니다. -
19:54 - 19:58그리고 구조화된,
계급적 본성을 가진 인간의 지식이 -
19:58 - 20:00남아있는 어려운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
20:00 - 20:03크리스: 정말 좋은 생각해 볼
거리를 주셨네요. 감사합니다. -
20:03 - 20:06로라: 감사합니다. (박수)
- Title:
- 놀랍도록 논리적인 사고를 하는 아기들
- Speaker:
- 로라 슐츠(Laura Schulz)
- Description:
-
아기들은 어떻게 적은 양의 정보에서 그렇게 많이, 또 빠른 속도로 배울까요? 재밌고도 실험으로 가득한 이 강연에서 인지과학자 로라 슐츠는 어떻게 아기들이 놀랍도록 강력한 논리력으로 말도 떼기 전에 판단을 내리는지 보여줍니다.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Talks
- Duration:
- 20:18
![]() |
Jihyeon J. Kim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The surprisingly logical minds of babies | |
![]() |
Jihyeon J. Kim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The surprisingly logical minds of babies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surprisingly logical minds of babies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surprisingly logical minds of babies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surprisingly logical minds of babies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surprisingly logical minds of babies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surprisingly logical minds of babies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surprisingly logical minds of bab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