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기상천외한 세포설의 역사

  • 0:00 - 0:13
    (음악)
  • 0:13 - 0:16
    과학의 가장 대단한 점들 중 하나를 꼽자면
  • 0:16 - 0:18
    과학자들이 어떤 발견을 할 때,
  • 0:18 - 0:20
    늘 미리 정해진 방식대로 가는 게 아니라는 겁니다.
  • 0:20 - 0:24
    어떤 연구실의 엄격한 환경이라든가
  • 0:24 - 0:28
    하얀 연구복이랑 삑삑 거리는 과학장치들에서만
  • 0:28 - 0:29
    발견이 이루어지는 건 아니죠.
  • 0:29 - 0:30
    실생활에서,
  • 0:30 - 0:34
    중요한 과학적 발견과 관련된 사건이나 사람들은
  • 0:34 - 0:37
    좀 이상하고 다양했죠.
  • 0:37 - 0:38
    제가 오늘 가져온 건 말이죠.
  • 0:38 - 0:41
    세포설의 기묘한 역사입니다.
  • 0:41 - 0:44
    세포설에는 세 가지 부분이 있습니다.
  • 0:44 - 0:48
    하나. 모든 유기체들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 0:48 - 0:53
    둘. 세포는 유기체의 한 체계와 조직의 가장 기본단위이다.
  • 0:53 - 0:57
    마지막으로 셋. 모든 세포들은 이미 있는 세포에서 온다.
  • 0:57 - 1:01
    솔직히 말하자면, 이런 것들은 미세유기체들이 어떻게
  • 1:01 - 1:06
    이루어져있는지, 그리고 그런 이론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조금 파헤쳐 보기 전까지는
  • 1:06 - 1:07
    진짜 재미없을 거에요.
  • 1:07 - 1:10
    이 모든 건 1600년 초반 네덜란드에서
  • 1:10 - 1:12
    자커라이어스 젠센(Zacharias Jansen)이라는 안경사가
  • 1:12 - 1:16
    최초의 최초의 복합 현미경과
  • 1:16 - 1:18
    최초의 망원경을 만든 것에서 시작합니다.
  • 1:18 - 1:20
    사실 여기엔 논쟁이 있는데
  • 1:20 - 1:25
    그가 당시에 안경 렌즈로 장난친 지루한 사람으로 최초는 아니었거든요.
  • 1:25 - 1:27
    아무튼,
  • 1:27 - 1:29
    현미경은 그야말로 잘 팔리는 상품이 되었죠.
  • 1:29 - 1:33
    당시 모든 자연학자나 과학자들이 이걸 갖고 놀길 원했습니다.
  • 1:33 - 1:35
    아마 오늘날의 아이패드정도의 인기가 아니었을까요.
  • 1:35 - 1:37
    그런 사람들 중 하나인
  • 1:37 - 1:41
    안톤 반 리우벤호크(Anton van Leeuwenhoek)란 네덜란드인이
  • 1:41 - 1:43
    현미경 어쩌고 하는 걸 듣고서는,
  • 1:43 - 1:45
    그걸 사는 대신에
  • 1:45 - 1:47
    자기가 직접 하나 만들기로 결심했죠.
  • 1:47 - 1:50
    그리고 정말 이상한 기계를 만들어냈죠.
  • 1:50 - 1:54
    선글라스 렌즈만한 크기의 작은 노처럼 생겼어요.
  • 1:54 - 1:58
    똑같이 생긴 것 두개를 끼우면 진짜 이상하게 생긴 선글라스가 됐을 거에요.
  • 1:58 - 2:01
    찾아보기도 힘든 걸로.
  • 2:01 - 2:04
    아무튼, 리우벤호크가 자기만의 현미경을 만들고
  • 2:04 - 2:08
    시내로 가서 그걸로 볼 수 있는 건 죄다 봤죠.
  • 2:08 - 2:10
    그의 이빨에 낀 이물질까지도요.
  • 2:10 - 2:12
    네, 잘 못 들으신 거 아니에요.
  • 2:12 - 2:17
    그는 이빨 부스러기를 관찰한 결과 박테리아를 발견해냈죠.
  • 2:17 - 2:21
    아, 사람들이 이빨을 많이 안 닦았던 걸 생각해보세요.
  • 2:21 - 2:23
    그 때 당시엔 말이죠.
  • 2:23 - 2:27
    그래서 아마 그가 이빨에서 박테리아를 뭉텅이로 봤을 거에요.
  • 2:27 - 2:29
    그가 관찰지를 썼을 때,
  • 2:29 - 2:31
    그는 박테리아라고 부르진 않았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아는 것처럼 말이죠.
  • 2:31 - 2:34
    대신 극미동물이라고 불렀는데요,
  • 2:34 - 2:36
    그에게는 작은 동물처럼 보였기 때문이에요.
  • 2:36 - 2:39
    리우벤호크가 그의 이빨에 낀 이물질을 보면서
  • 2:39 - 2:42
    영국에 있는 자신의 동료에게 편지를 보냈다고 해요.
  • 2:42 - 2:44
    로버트 후크라는 사람한테 말이죠.
  • 2:44 - 2:48
    후크는 과학의 어떤 면이라도 전부 사랑하는 남자였어요.
  • 2:48 - 2:53
    그래서 그는 뭐든 죄다 조금씩 건드려 보았죠. 물리, 화학, 생물학까지도요.
  • 2:53 - 2:57
    우린 후크한테 '세포'라는 단어를 만든 것에 대해서 감사해야 해요.
  • 2:57 - 3:00
    그가 현미경으로 코르크 조각을 보면서 '세포'라는 단어를 만들었거든요.
  • 3:00 - 3:04
    그 작은 칸들은 그에게 수도원의 방을 연상시켰죠.
  • 3:04 - 3:08
    수도원에서 수도사들이 잠자는 방이요.
  • 3:08 - 3:14
    TV나 컴퓨터, 짜증나는 룸메이트가 없는 대학 기숙사 방을 생각해보세요.
  • 3:14 - 3:17
    후크는 당시 그가 이룬 업적에 대해
  • 3:17 - 3:19
    매우 저평가된 과학자였어요.
  • 3:19 - 3:23
    이제까지 최고로 유명한 과학자와 대립하는 실수를 범했거든요.
  • 3:23 - 3:24
    아이작 뉴튼 경이었죠.
  • 3:24 - 3:27
    후크가 과학의 다양한 분야에 손댔었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 3:27 - 3:30
    음, 뉴턴이 중력 때문에 어떻게 행성들이 움직이는지에 관한
  • 3:30 - 3:32
    획기적인 책을 출판한 다음에,
  • 3:32 - 3:34
    후크는 뉴튼이 물리학에 관한
  • 3:34 - 3:37
    자신의 업적에 영감을 받았다고 주장했습니다.
  • 3:37 - 3:40
    좀 순화해서 말하자면, 뉴튼은 그다지 반기지 않았고요.
  • 3:40 - 3:45
    후크가 죽은 뒤에도 그 둘의 사이의 긴장은 불이 튀기도록 강렬했습니다.
  • 3:45 - 3:47
    후크의 연구도 그렇고
  • 3:47 - 3:52
    그의 하나뿐인 자화상도 뉴튼 때문에 잠시 치워졌죠.
  • 3:52 - 3:55
    뉴튼의 시대가 간 다음 다행스럽게도 그 중 몇몇은 재발견됐습니다만
  • 3:55 - 4:00
    그의 초상화는 어디에도 보이지 않았죠. 그래서 불행히도 아무도 후크가 어떻게 생겼는지 모릅니다.
  • 4:00 - 4:02
    1800년대로 훌쩍 넘어갈까요?
  • 4:02 - 4:07
    두명의 독일 과학자가 오늘날 우리가 당연하다고 생각할 만한 걸 발견해낸 때로요.
  • 4:07 - 4:10
    오늘날 우리가 세포론이라고 알고 있는 것의 발견이지요.
  • 4:10 - 4:13
    첫 번째 과학자는 마티아스 슐레이덴(Matthias Schleiden)입니다.
  • 4:13 - 4:16
    현미경으로 식물을 관찰하길 좋아했던 식물학자죠.
  • 4:16 - 4:20
    그가 다른 식물종들을 수년간 연구한 결과,
  • 4:20 - 4:23
    그가 관찰한 모든 식물들이 세포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이
  • 4:23 - 4:26
    결국 밝혀졌죠.
  • 4:26 - 4:29
    이때 당시, 독일의 다른 쪽에서는
  • 4:29 - 4:30
    테오도 슈완(Theodor Schwann)이라는 사람이 있었죠.
  • 4:30 - 4:34
    그는 현미경으로 동물세포를 올려 놓은 슬라이드를 연구하고,
  • 4:34 - 4:37
    그의 이름을 따서 특별한 종류의 신경 세포에 이름이 붙여진 것 뿐만 아니라
  • 4:37 - 4:41
    소방관들을 위한 수중호흡기를 발명했고
  • 4:41 - 4:42
    멋진 짧은 구렛나룻을 갖고 있었죠.
  • 4:42 - 4:45
    잠시 동물의 세포를 연구한 후,
  • 4:45 - 4:49
    그는 모든 동물들도 세포로 이루어져있다는 결론을 내렸죠.
  • 4:49 - 4:51
    그 즉시, 그는 재래식 우편 제도를 이용하여,
  • 4:51 - 4:54
    아직 트위터가 아직 발명되지 전이었으니까요,
  • 4:54 - 4:56
    같은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다른 과학자들한테 보내죠.
  • 4:56 - 5:01
    그리고 같은 생각을 갖고 있는 슐레이덴을 만났고, 둘은 같이 세포설의 초석을 다지기 시작했습니다.
  • 5:01 - 5:03
    세포설의 마지막 단계에서
  • 5:03 - 5:05
    둘 사이에 논란거리가 생겼습니다.
  • 5:05 - 5:08
    세포가 이미 있는 세포에서 나오는가에 관해서 말이죠.
  • 5:08 - 5:11
    슐레이덴은 이 생각에 그다지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 5:11 - 5:14
    그는 세포가 유리세포형성으로 만들어진다고 했습니다.
  • 5:14 - 5:18
    이건 세포가 동시에 결정화되어서 만들어지는 걸 말하죠.
  • 5:18 - 5:21
    바로 이 때, 루돌프 버쵸우(Rudolph Virchow)라는 과학자가
  • 5:21 - 5:25
    이 연구에 뛰어들어서 세포가 다른 세포에서 만들어지는 걸 증명했죠.
  • 5:25 - 5:29
    그런데 이 연구는 말이죠--어떻게 말해야 하나?-- 로버트 레마크(Robert Remak)라는
  • 5:29 - 5:32
    유태인 과학자로부터 허락없이 가져온 연구였어요.
  • 5:32 - 5:35
    그래서 이 둘을 더욱 앙숙으로 만들었죠.
  • 5:35 - 5:38
    따라서 이빨의 이물질에서 뉴턴의 토크,
  • 5:38 - 5:41
    슈완 세포의 결정화까지,
  • 5:41 - 5:44
    세포설은 오늘날의 생물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5:44 - 5:48
    우리가 과학에 대해서 알고 있는 몇 가지 것들이 지루할 수도 있겠지만
  • 5:48 - 5:52
    그것들이 어떻게 생겨났는지에 관한 건 놀랍게도 매혹적이지 않나요?
  • 5:52 - 5:55
    그러니까 어떤 재미없는 것이 있다면
  • 5:55 - 5:56
    좀 더 깊게 파보세요.
  • 5:56 - 6:00
    아마 그 뒤에 엄청 이상한 이야기가 있을 거니까요.
Title:
기상천외한 세포설의 역사
Description:

과학적 발견은 그저 하나의 훌륭한 실험만큼 단순한 건 아닙니다. 세포설의 기묘하고 환상적인 역사는 이런 어렵고 골치 아픈 것들이 생물학의 토대로 환골탈태 시킵니다.

강의 : Lauren Royal-Woods
애니매이션 : Augenblick Sudios (http://augenblickstudios.com/).

전체영상 보기 : http://ed.ted.com/lessons/the-wacky-history-of-cell-theory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closed TED
Project:
TED-Ed
Duration:
06:12
Dimitra Papageorgiou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The Wacky History of Cell Theory
K Bang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The Wacky History of Cell Theory
K B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Wacky History of Cell Theory
Han Jungran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Wacky History of Cell Theory
Han Jungran added a translation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