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중 가장 위험한 순간을 바꾸어 놓을 수 있는 도구
-
0:01 - 0:03제가 수술실에 들어가
-
0:03 - 0:05실제 수술을 처음 참관했을 때,
-
0:05 - 0:07저는 어떤 느낌일지
전혀 예상할 수 없었습니다. -
0:07 - 0:09저는 공대 학생이었습니다.
-
0:09 - 0:11저는 수술이 TV 에서 보는 것과 같이
-
0:11 - 0:13불길한 음악이 배경에 깔리고
-
0:13 - 0:16의사의 얼굴에는 땀방울이
흘러내릴 것이라고 생각했죠. -
0:16 - 0:19그런데 전혀 그렇지 않았습니다.
-
0:19 - 0:20그날 음악이 있긴 했는데
-
0:20 - 0:23마돈나의 최고 인기곡이었어요.
(웃음) -
0:23 - 0:25많은 대화가 오갔지만
-
0:25 - 0:27환자의 심장 박동에 대한 것이 아니라
-
0:27 - 0:30스포츠와 주말 계획에 대한
이야기들이었습니다. -
0:30 - 0:32그 후로 제가
더 많은 수술을 참관할수록 -
0:32 - 0:34점점 더 수술이 그렇다는 것을
알아가게 됩니다. -
0:34 - 0:36좀 이상하게 말하면, 일상적인
사무실의 분위기와 같아요. -
0:36 - 0:38그런데 가끔씩
-
0:38 - 0:40음악 소리가 줄어들고
-
0:40 - 0:42모든 사람들이 대화를 멈추고
-
0:42 - 0:45모두 다 똑같은 것을 응시합니다.
-
0:45 - 0:47그것이 바로
무언가 절대적으로 중요하고 -
0:47 - 0:49위함한 일이 일어나고
있을 때라는 걸 알게 됩니다. -
0:49 - 0:50제가 그런걸 처음 봤을 때,
-
0:50 - 0:52저는 복강경 수술이라는 과정을
-
0:52 - 0:54참관하고 있었습니다.
-
0:54 - 0:56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서
-
0:56 - 0:59복강경 수술이란
-
0:59 - 1:01수술할 때 생각하는
커다란 절개 대신에 -
1:01 - 1:03환자에게 3개 이상의
-
1:03 - 1:07작은 절개부를 통해
하는 수술입니다. -
1:07 - 1:09구멍으로 이렇게 가늘고 긴 기구와
-
1:09 - 1:10카메라를 넣고
-
1:10 - 1:14실제로는 환자의 몸 안에서
작업을 진행합니다. -
1:14 - 1:17감염의 위험이 훨씬 적기 때문에
이건 정말 대단한 것이에요. -
1:17 - 1:20통증도 적고 회복 기간도
더 짧습니다. -
1:20 - 1:23하지만 댓가가 있습니다.
-
1:23 - 1:24이런 절개를 하는데
-
1:24 - 1:27투관침이라고 하는
-
1:27 - 1:28길고 날카로운 도구를 사용하니까요.
-
1:28 - 1:31의사는 이 기구를
-
1:31 - 1:32가지고
-
1:32 - 1:34복부에 밀어넣어
-
1:34 - 1:37구멍을 냅니다.
-
1:37 - 1:40수술실의 모든 사람들이
-
1:40 - 1:43그날 이 기구를 응시했던 이유는
-
1:43 - 1:46의사가 살갗 아래로
-
1:46 - 1:48기구를 넣을 때
-
1:48 - 1:52그 아래에 있는 장기와 혈관에 구멍을
내지 않도록 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
1:52 - 1:53이런 문제는 여러분들 대부분에게
아주 익숙하실 겁니다. -
1:53 - 1:56분명히 어디선가 보셨을 거에요.
-
1:56 - 1:58(웃음)
-
1:58 - 2:00이거 기억하시죠?
-
2:00 - 2:04(박수)
-
2:04 - 2:06어느 순간에든
-
2:06 - 2:08저 빨대가 구멍을 낼거라는 것은
아시겠지만 -
2:08 - 2:09그것이 반대 쪽으로 뚫고 나와
-
2:09 - 2:11손을 찌르거나
-
2:11 - 2:12사방에 쥬스를 튀게 할 지는
모르셨을 겁니다. -
2:12 - 2:16겁나시죠?
-
2:16 - 2:18이걸 할 때마다
-
2:18 - 2:20기본적인 물리학을,
-
2:20 - 2:23그날 제가 수술실에서 경험했던
기본적인 물리학을 경험하셨을 겁니다. -
2:23 - 2:26정말 심각한 문제라는 것을
재빨리 알게 되죠. -
2:26 - 2:29실제로 2003년 미국 식약청이 나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
2:29 - 2:32최소한의 외과적 수술에서는
투관침을 이용한 절개가 -
2:32 - 2:34가장 위험한 단계일 수 있다.
-
2:34 - 2:362009년에 또 다시 우리는
이런 논문을 대하게 됩니다. -
2:36 - 2:39투관침이 복강경 수술에서 발생하는
모든 중요 합병증의 원인 가운데 -
2:39 - 2:42반 이상을 차지한다.
-
2:42 - 2:43아, 어쨋든
-
2:43 - 2:47이런 상황은 25년 동안
변함이 없었습니다. -
2:47 - 2:48그래서 제가 학교를 졸업할 때,
-
2:48 - 2:50이 분야에서 일하고 싶었습니다.
-
2:50 - 2:52한번은 제 친구에게
제가 정확하게 어떤 일에 -
2:52 - 2:54시간을 보내고 있는지 설명하면서
-
2:54 - 2:56이렇게 말했습니다.
-
2:56 - 2:58"그건 마치 아파트에 뭔가를 걸려고
-
2:58 - 3:01벽을 뚫을 때와 비슷해."
-
3:01 - 3:05드릴이 벽을 뚫고 나가는
그 순간 있잖아요. -
3:05 - 3:09쑥 들어가는 그 순간 말이에요.
-
3:11 - 3:13그러자 그 친구는 저를 보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
3:13 - 3:17"의사들이 사람 머리를 뚫는,
그런 걸 말하는거니?" -
3:17 - 3:19제가 다시 말했죠.
"뭐라구?" (웃음) -
3:19 - 3:22그리고나서 보니 의사들이 드릴로
머리에 구멍을 뚫더라니까요. -
3:22 - 3:24많은 신경외과적 과정은 사실
-
3:24 - 3:28머리에 구멍을 내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
3:28 - 3:30의사가 조심하지 않으면
-
3:30 - 3:33뇌 속으로 빠질 수도 있지요.
-
3:33 - 3:36이 순간 저는 생각했습니다.
-
3:36 - 3:39그렇지. 두개골에 구멍 뚫기,
복강경 수술 등이 있다면 -
3:39 - 3:41다른 의료 분야는 어떨까? 라고요.
-
3:41 - 3:43마지막으로 의사를
보러 갔던 때를 생각해보면 -
3:43 - 3:45뭔가에 막히진 않으셨죠?
-
3:45 - 3:47진실은
-
3:47 - 3:49의료적인 구멍뚫기는
어디에나 있다는 점입니다. -
3:49 - 3:52이것은 제가 알아낸
몇 가지 과정입니다. -
3:52 - 3:55조직을 뚫어야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들이죠. -
3:55 - 3:57그 중에 세 가지만 보면 --
-
3:57 - 4:01복강경 수술, 경막외 마취,
그리고 두개골 뚫기 -- -
4:01 - 4:05이런 과정들은 이 나라에서만
1년에 3만건 이상의 -
4:05 - 4:08합병증을 유발합니다.
-
4:08 - 4:11저는 그런 것을
해볼 만한 문제라고 합니다. -
4:11 - 4:13기구 몇 가지를 보실까요.
-
4:13 - 4:16이런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구들입니다. -
4:16 - 4:19경막외 마취를 말씀드렸는데요.
이것이 경막외 마취용 바늘입니다. -
4:19 - 4:21이것으로 등뼈 사이의
인대에 구멍을 내고 -
4:21 - 4:24출산 중에 마취제를 투여하죠.
-
4:24 - 4:26이것은 골수 채취용 기구에요.
-
4:26 - 4:28이 기구는 정말로 뼈를 뚫고 들어가
-
4:28 - 4:32골수나 뼈의 병변을 채취합니다.
-
4:32 - 4:34이것은 남북전쟁 당시의
총검이에요. -
4:34 - 4:37(웃음)
-
4:37 - 4:39제가 이것을 의학용 기구라고
말씀드렸다면 -
4:39 - 4:41아마 그렇게 믿으셨겠죠.
-
4:41 - 4:44별 차이가 없잖아요?
-
4:44 - 4:46연구를 하면 할수록
-
4:46 - 4:47이런걸 하는데 더 나은 방법이
-
4:47 - 4:49있어야만 한다는
생각이 깊어갔습니다. -
4:49 - 4:52제게 있어서 이 문제의 열쇠는
-
4:52 - 4:54이런 모두 다른 천공 기구들이
-
4:54 - 4:58동일한 물리학의 기본 법칙을
따른다는 점이었습니다. -
4:58 - 4:59그 물리학의 기본 법칙은
무엇일까요? -
4:59 - 5:01벽을 뚫은 것으로 되돌아 가보죠.
-
5:01 - 5:05벽을 향해 드릴에 힘을 가합니다.
-
5:05 - 5:08뉴튼 법칙에 의하면 벽에
반작용의 힘이 작용합니다. -
5:08 - 5:09양 방향의 힘이 동일하게요.
-
5:09 - 5:11그래서 벽을 뚫을 때는
-
5:11 - 5:13그 두 힘이 평형을 이룹니다.
-
5:13 - 5:15그런데 벽이 뚫리는 순간,
-
5:15 - 5:17벽이 처음으로 반대편에
구멍을 내는 순간, -
5:17 - 5:20바로 그 순간에는 벽에서 오는
반작용의 힘이 없어집니다. -
5:20 - 5:23사람의 머리는 그런 힘의 변화에
반응하기 어렵습니다. -
5:23 - 5:24수천분의 1초,
-
5:24 - 5:27혹은 얼마 동안이 됐든,
사람은 여전히 힘을 가하고 있죠. -
5:27 - 5:29그 불균형의 힘이
가속도를 내게 되고 -
5:29 - 5:32그 때문에 푹! 들어가는 겁니다.
-
5:32 - 5:36그런데 그렇게 구멍이 뚫리는 순간,
-
5:36 - 5:38침을 뒤로 빼낼 수 있으면 어떨까요?
-
5:38 - 5:41앞으로 나아가는 가속도에
반해서 말이죠. -
5:41 - 5:43그것이 제가 집중하기 시작한
부분입니다. -
5:43 - 5:44자 이제, 어떤 기구가 있어서
-
5:44 - 5:48그 앞에 조직을 뚫는
날카로운 침이 있다고 해보죠. -
5:48 - 5:51그 침을 당길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 무엇일까요? -
5:51 - 5:53저는 용수철을 선택했습니다.
-
5:53 - 5:55저 용수철을 늘이면
침이 밖으로 나와서 -
5:55 - 5:57조직에 구멍을 뚫을 준비가 되었다가
-
5:57 - 5:59다시 침을 반대로
끌어당기려고 하죠. -
5:59 - 6:01그러면 어떻게
저 침이 구멍을 낼 때까지 -
6:01 - 6:03제자리를 유지하도록 할까요?
-
6:03 - 6:06저는 이런 기계적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
6:06 - 6:08기구의 침 끝이
조직을 누를 때, -
6:08 - 6:12기구가 밖으로 펼쳐지면서 경첩 부분이
벽을 향해 자리를 잡습니다. -
6:12 - 6:14벽에 닿은 부분이 만드는 마찰력이
-
6:14 - 6:17자리를 잡으며 용수철이 침을
잡아당기는 것을 막는겁니다. -
6:17 - 6:19구멍이 뚫리는 순간,
-
6:19 - 6:21조직은 더 이상 침을 통해
힘을 전달하지 않습니다. -
6:21 - 6:24그러면 장치가 풀리면서 용수철이
침을 잡아당기죠. -
6:24 - 6:26느린 영상으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보여드리겠습니다. -
6:26 - 6:27초당 약 2천 프레임인데
-
6:27 - 6:29여러분들은 침을 봐주세요.
-
6:29 - 6:32침은 바닥에 있으며 지금 막
조직에 구멍을 내려는 순간입니다. -
6:32 - 6:35보시다 시피
구멍이 뚫리는 바로 그 순간, -
6:37 - 6:40바로 이 순간에 장치가 풀리면서
침을 잡아당깁니다. -
6:40 - 6:42좀 더 가까이에서
다시 보여드리겠습니다. -
6:42 - 6:44날카로운 침의 날 부분이 보이고
-
6:44 - 6:46고무 판으로 된 조직 모형에
구멍을 내는 바로 그 순간, -
6:46 - 6:51날 부분이 흰색
용기 속으로 사라집니다. -
6:51 - 6:52바로 이 순간이죠.
-
6:52 - 6:57저런 움직임은 구멍이 뚫린 후,
4/100 초 안에 일어납니다. -
6:57 - 7:01이 기구는 천공이 일어나는
물리학을 반영하지만 -
7:01 - 7:03두개골 천공이나
-
7:03 - 7:05복강경 혹은 다른 과정에
특성화된 것이 아니라서 -
7:05 - 7:08다양한 의료 영역에
-
7:08 - 7:11다양한 크기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
7:11 - 7:13그렇지만 항상 이런 모양을
갖고 있지는 않죠. -
7:13 - 7:15이것은 저의 첫 번째
시제품이었습니다. -
7:15 - 7:18네 저건 아이스크림 막대예요.
-
7:18 - 7:19위로는 고무줄을 썼습니다.
-
7:19 - 7:23이걸 만드는 데 30분 쯤 걸렸는데
잘 작동했습니다. -
7:23 - 7:25이 시제품이 제 아이디어가
작동한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
7:25 - 7:28그리고 그 다음 한두해 동안의
제 프로젝트를 정당화시켜주었죠. -
7:28 - 7:30제가 여기 매달린 것은
-
7:30 - 7:31이런 문제가 정말로
제 흥미를 끌었기 때문입니다. -
7:31 - 7:34제가 밤을 새게 만들었어요.
-
7:34 - 7:37하지만 저는 여러분들도 흥미롭게
해드려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
7:37 - 7:38즉, 어느 시점에는 저것이 여러분도
겪는 문제가 될 것이라는 점입니다. -
7:38 - 7:43왜냐하면 천공은 어디서나
사용되니까요. -
7:43 - 7:44수술실에서 보낸 그 첫 날,
-
7:44 - 7:47저는 제가 투관침의 반대 편에
있게 되리라고는 상상도 못했습니다. -
7:47 - 7:51그런데 작년에 제가 그리스에 갔을 때
맹장염에 걸렸습니다. -
7:51 - 7:53그래서 아테네에 있는
병원에 입원했는데 -
7:53 - 7:54의사가 제게 복강경 수술을 할거라고
-
7:54 - 7:57말해 주었습니다.
-
7:57 - 7:59이런 작은 절개를 통해
맹장을 제거하겠다고 하더군요. -
7:59 - 8:02그 분은 회복 기간에 대해
제게 말해 주었고 -
8:02 - 8:03어떤 일이 일어날 것인지도
알려주었습니다. -
8:03 - 8:06그가 물었습니다. "질문있으세요?"
저는 "하나 있죠."라고 했고 -
8:06 - 8:09"어떤 투관침을 쓰세요?"라고
물었습니다. -
8:09 - 8:13복강경 수술에 대해서
제가 가장 좋아하는 명언은 -
8:13 - 8:16H.C. 제이코비어스 선생님에게서
나왔습니다. -
8:16 - 8:19"위험이 있다면 천공 뿐입니다."
-
8:19 - 8:22그것은 제가 가장 좋아하는 명언이었는데
-
8:22 - 8:26그 이유는 그 분이 인간에게 복강경 수술을
시도한 첫 번째 의사였기 때문이죠. -
8:26 - 8:30그분은 1912년에 그말을 남겼습니다.
-
8:30 - 8:36그 기간 동안, 100년 이상 이 문제로
상처도 입고 사망자도 있었습니다. -
8:36 - 8:38세상에 있는 중요한 문제에 대해
-
8:38 - 8:42항상 그걸 해결하려는 전문가 집단이
있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
8:42 - 8:45진실은 항상 그렇지는 않다는 겁니다.
-
8:45 - 8:48우리는 그런 문제를 더 잘 찾아내고
-
8:48 - 8:50또 그걸 해결하는 방법도
찾아내야 합니다. -
8:50 - 8:54여러분을 붙잡는 문제와 마주치게 되면
-
8:54 - 8:55그 일에 밤을 새보도록 하세요.
-
8:55 - 8:58자기 자신이 스스로
흥미로워지도록 하세요. -
8:58 - 9:01세상에는 구해야 할 생명이
아주 많기 때문입니다. -
9:01 - 9:04(박수)
- Title:
- 수술 중 가장 위험한 순간을 바꾸어 놓을 수 있는 도구
- Speaker:
- 니콜라이 베그
- Description:
-
외과의사들은 매번 수술 직전에 사람의 피부에 구멍을 내야 합니다. - 피부 안쪽에 있는 장기에 손상을 입히는 위험을 감수하는 것이지요. 매력 넘치는 이 강연에서 기계공학자인 니콜라이 베그가 물리학을 이용하여 "투관침"이라고 불리는 중요한 의학 기구를 어떻게 현대화하며, 수많은 수술에서 가장 위험한 순간을 개선하는지 알아보세요.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Talks
- Duration:
- 09:21
![]() |
Jeong-Lan Kinser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A tool to fix one of the most dangerous moments in surgery | |
![]() |
Jeong-Lan Kin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 tool to fix one of the most dangerous moments in surgery | |
![]() |
Jeong-Lan Kin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 tool to fix one of the most dangerous moments in surgery | |
![]() |
Jeong-Lan Kin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 tool to fix one of the most dangerous moments in surgery | |
![]() |
Gemma Lee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A tool to fix one of the most dangerous moments in surgery | |
![]() |
Gemma Lee commented on Korean subtitles for A tool to fix one of the most dangerous moments in surgery | |
![]() |
Gemma Le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 tool to fix one of the most dangerous moments in surgery | |
![]() |
Gemma Le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 tool to fix one of the most dangerous moments in surgery |
Gemma Lee
번역 수고하셨습니다. 틀린 글자를 몇 곳 수정했고 크게 바뀐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2:56
3:35
4:31
7:02
Trocar 는 투관침이라고 의학계에서 쓰고 있길래 그렇게 바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