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왜 경쟁사들은 가게를 서로 이웃해서 둘까? - 쟈끄 드 한(Jac de Haan )

  • 0:15 - 0:19
    왜 주유소는 항상 다른 주유소 옆에 짓는걸까요?
  • 0:19 - 0:22
    커피 숍을 찾지 못하고 몇 킬로를 달리다가도
  • 0:22 - 0:24
    왜 갑자기 한 모퉁이에 3개나 되는 커피숍을 발견하게 되는 걸까요?
  • 0:24 - 0:27
    식료품점이나 자동차 정비소, 식당 같은 것들은
  • 0:27 - 0:32
    왜 항상 지역 전체에 똑같이 퍼져있지 않고 무리지어 있는걸까요?
  • 0:32 - 0:36
    사업을 어디에서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데는 고려해야 할 것들이 여러가지 있겠지만,
  • 0:36 - 0:39
    비숫한 회사들이 한군데 모여있는 것은 "공간 경쟁에 대한 호텔링의 모형"이라는
  • 0:39 - 0:44
    아주 간단한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어요.
    * 호텔링의 법칙(Hotelling's Law): Harold Hotelling이라는 수리경제학자가 만든 법칙으로 생산자들은 가능한 유사한 제품을 만들려고하는 경향이 있다는 이론.
  • 0:44 - 0:45
    여러분이 해변에서 아이스크림을 팔고 있다고 가정해 보죠.
  • 0:45 - 0:48
    해변은 1.6킬로미터 길이에 경쟁자도 없다고 해보죠.
  • 0:48 - 0:51
    아이스크림을 가장 많이 팔려면 가게를 어디에 두어야 할까요?
  • 0:51 - 0:52
    가운데겠죠.
  • 0:52 - 0:55
    그 반인 800미터는 해변의 끝에서 걷기에 조금 멀 수도 있지만
  • 0:55 - 0:59
    그래야 최대한 많은 사람들에게 물건을 팔 수 있어요.
  • 0:59 - 1:03
    어느날 장사를 하러 갔더니 사촌인 테디가 해변에 나타납니다.
  • 1:03 - 1:07
    자기 아이스크림 수레를 끌고요. 사실 테디는 똑같은 아이스크림을 팔고 있거든요.
  • 1:07 - 1:11
    그래서 두 사람은 해변을 반으로 나눠 장사하기로 합의합니다.
  • 1:11 - 1:13
    그래서 손님이 너무 멀리 걷지 않도록
  • 1:13 - 1:16
    당신은 남쪽 해변의 중간 지점인 400미터 지점에 가게를 두었어요.
  • 1:16 - 1:18
    서로 약속한 영역의 정 중앙이었죠.
  • 1:18 - 1:21
    테디는 복쪽 400미터 지점에 가게를 두었구요.
  • 1:21 - 1:23
    그가 맡은 북쪽 영역의 정 중앙 지점이죠.
  • 1:23 - 1:25
    이렇게 합의를 했을 때, 남쪽의 모든 사람들은 여러분에게서 아이스크림을 삽니다.
  • 1:25 - 1:29
    테디가 맡은 북쪽의 모든 사람들은 테디에게서 사겠죠. 그리고 그 사이에 있는 50% 사람들은
  • 1:29 - 1:34
    더 가까운 쪽으로 아이스크림을 사러 갑니다. 400미터 이상은 걸을 필요가 없는거죠.
  • 1:34 - 1:37
    이렇게 하면 두 가게에서는 반씩 사람들을 나눠 팔고 있는 셈이 되는거죠.
  • 1:37 - 1:41
    게임이론가들은 이런 상태를 사회적으로 최적화된 해결책이라고 하죠.
  • 1:41 - 1:44
    그렇게 하면 아이스크림 가게까지 어떤 손님도 최대한
  • 1:44 - 1:46
    걸어야 하는 거리를 가장 짧게 만들 수 있어요.
  • 1:46 - 1:48
    다음날, 해변에 가보니
  • 1:48 - 1:51
    테디가 가게를 해변의 가운데 쪽으로 옮겼습니다.
  • 1:51 - 1:54
    여러분은 남쪽 400미터 지점에 있는 가게로 갔더니
  • 1:54 - 1:57
    여러분 보다 남쪽에 있는 25%의 손님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 1:57 - 2:01
    테디는 여전히 자신의 북쪽 영역에 잇는 손님을 모두 상대하고 있는거에요.
  • 2:01 - 2:05
    그래서 이제는 두 가게 사이에 있는 나머지 25%의 손님을 둘이서 양분하게 된거죠.
  • 2:05 - 2:08
    아이스크림 전쟁의 3일 째, 여러분이 해변에 먼저 나갑니다.
  • 2:08 - 2:10
    그리고는 테디의 영역 정 중앙에 자리를 잡죠.
  • 2:10 - 2:14
    그러면 그 자리의 남쪽에 있는 75% 손님을 상대할 수 있을고라 생각한거죠.
  • 2:14 - 2:18
    테디에게는 복쪽에 있는 손님들중 25%만 남겨진거죠.
  • 2:18 - 2:21
    테디가 와서는 가게를 여러분들의 자리 바로 아래로 옮깁니다.
  • 2:21 - 2:25
    그렇게 하면 남쪽 손님들을 모두 차지하고, 여러분에게는 북쪽 손님들 중 일부만 남게 되는거죠.
  • 2:25 - 2:29
    질수는 없으니까, 여러분은 다시 테디의 남쪽 10걸음 정도 위치로 옮겨서 다시 남쪽 손님을 다 얻게 되는거죠.
  • 2:29 - 2:33
    낮에 쉬고 있는데, 이번에는 테디가 여러분의 가게 남쪽으로 10 걸음쯤 자리에 다시 자리를 잡습니다.
  • 2:33 - 2:37
    그렇게 해서 해변 끝까지 모든 손님을 차지하겠다는거죠.
  • 2:37 - 2:40
    하루 종일, 두사람은 계속해서 손님이 많은 남쪽으로
  • 2:40 - 2:43
    조금씩 움직여 갑니다.
  • 2:43 - 2:45
    그래서 결국 두 사람은 남쪽 지역의 정중앙에 멈추게 되죠.
  • 2:45 - 2:50
    다시 아이스크림을 먹고 싶어 하는 손님들을 반반씩 차지하게 됩니다.
  • 2:50 - 2:55
    여기서 당신과 그 경쟁자인 테디는 게임이론가들이 말하는 내쉬의 평형점에 도달하게 된거에요.
    * 내쉬(John Forbes Nash): 미국의 수학자. 평균점 이론등으로 노벨경제학상을 받았으며, 영화 "뷰티플 마인드"의 실제 주인공.
  • 2:55 - 3:00
    이 지점은 어느 누구도 지금 현재의 전략을 바꿔 자리를 움직여도 판매가 더 좋아지지 않는 곳이죠.
  • 3:00 - 3:04
    각자가 해변의 400미터 지점에 위치하기로 했던 원래의 전략은
  • 3:04 - 3:07
    오래가지 않아요. 그건 내쉬의 평형점이 아니거든요.
  • 3:07 - 3:11
    두 사람중 누구든 아이스크림을 팔러 움직일 수는 있지만
  • 3:11 - 3:13
    두 사람 모두 해변의 중앙에 자리했기 때문에
  • 3:13 - 3:17
    현재의 대상 손님을 잃지 않으면서 더 멀리 있는 손님에게
  • 3:17 - 3:19
    가까이 움직일 수가 없는 겁니다.
  • 3:19 - 3:23
    하지만, 이제는 더 이상 사회적으로 최적화된 지점은 아니죠.
  • 3:23 - 3:24
    왜냐하면 해변의 양쪽 끝에 있는 손님들은
  • 3:24 - 3:28
    달콤한 아이스크림을 맛보려고 필요보다 더 많이 걸어야 하니까요.
  • 3:28 - 3:32
    패스트 푸드 체인점이나 옷가게, 작은 좌판 가게 같은 것을 생각해 보세요.
  • 3:32 - 3:36
    전체 지역에 넓게 퍼뜨리면 손님들에게는 더 편할텐데도
  • 3:36 - 3:40
    그렇게 하면 사업은 공격적인 경쟁자에게 취약하게 됩니다.
  • 3:40 - 3:43
    실제 세상에서 손님들은 여러 방향에서 오고
  • 3:43 - 3:46
    사업체는 경쟁적인 마케팅 전략에서 자유로워요.
  • 3:46 - 3:48
    자신의 생산 라인을 바꾸기도 하고 가격을 내리기도 하죠.
  • 3:48 - 3:52
    그렇지만 각자의 전략의 핵심에는 경쟁자들을 가능한
  • 3:52 - 3:56
    가까이 두기를 좋아합니다.
Title:
왜 경쟁사들은 가게를 서로 이웃해서 둘까? - 쟈끄 드 한(Jac de Haan )
Speaker:
Jac de Haan
Description:

전체 강의는 ed.ted.com - http://ed.ted.com/lessons/why-do-competitors-open-their-stores-next-to-one-another-jac-de-haan 에서 보세요.

왜 모든 주유소나 카페, 음식점들은 혼잡한 장소에 함께 모여 있을까? 작은 해변가에서 아이스크림을 파는 두 사촌간의 영영 다툼을 통해 게임이론과 내쉬 평형 이론이 어떻게 최고의 판매 장소를 결정하게 되는지 알아봅시다.

강의: 쟈끄 드 한(Jac de Haan)
애니매이션: 루크 로셀( Luke Rowsell)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closed TED
Project:
TED-Ed
Duration:
04:07

Korean subtitles

Revisions Compare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