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누가 글쓰기를 발명하였을까요? - 메튜 윙클러(Matthew Winkler)

  • 0:14 - 0:16
    누가 글쓰는 것을 발명했을까요?
  • 0:16 - 0:19
    아마 사람들은 수십만년전부터
  • 0:19 - 0:21
    서로 이야기 했었을 거예요.
  • 0:21 - 0:23
    그렇지만 우리가 글을 쓰기 시작한 것은
  • 0:23 - 0:25
    약 5000년 정도 되었지요.
  • 0:25 - 0:27
    그전에 우리는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기록했어요.
  • 0:27 - 0:29
    기호와 그림을 이용해
  • 0:29 - 0:30
    도자기와 동굴 벽에
  • 0:30 - 0:32
    혹은 직물에 짜넣었지요.
  • 0:32 - 0:36
    이같은 예술적 충동은 우리를
    글쓰기의 역사로 이끌어 줍니다.
  • 0:36 - 0:38
    우리가 영어에서 쓰는 글쓰기 방식은
  • 0:38 - 0:40
    사실 수메르 문명에서
  • 0:40 - 0:45
    기원전 4,500년에서
    기원전 1,750년 사이에 시작되었습니다.
  • 0:45 - 0:49
    현재 이라크와 시리아가 위치하고 있는
    메소포타미아 하부에 위치해 있지요.
  • 0:49 - 0:51
    수메르인들은 사업 계약을
  • 0:51 - 0:56
    진흙으로 만든 작은 염소, 당나귀 그리고
    소 모형을 이용해 기록하였습니다.
  • 0:56 - 0:58
    그후 수메르인들은 훨씬 더 간단한 평면의
  • 0:58 - 1:00
    진흙판을 발견했습니다.
  • 1:00 - 1:04
    예를 들어서 이 기호는 "산"을 의미합니다.
  • 1:04 - 1:06
    이것은 "머리"을 의미하지요.
  • 1:06 - 1:08
    만약 머리의 입부분이 강조되어 있다면,
  • 1:08 - 1:10
    그것은 "입"을 의미합니다.
  • 1:10 - 1:13
    입과 물이 함께 그려져 있으면
    "마신다"를 의미하지요.
  • 1:13 - 1:16
    또한 입과 빵이 같이 있으면
    "먹는다"를 의미합니다.
  • 1:16 - 1:17
    소에 대한 기호를 추가해 볼까요.
  • 1:17 - 1:19
    그러면 여러분들은 "소를 먹다" 라는
    의미를 만들었습니다.
  • 1:19 - 1:21
    보세요. 글쓰기의 발명입니다!
  • 1:21 - 1:22
    그러나 몇몇 단어들 중에는
  • 1:22 - 1:25
    기호로 나타내기 어려운 것들이 있습니다.
  • 1:25 - 1:28
    "산에 있는 소" 를 어떻게 그릴 수 있을까요?.
  • 1:28 - 1:30
    기억하세요. 여러분들만 알 수 있는
    그림을 그린다면,
  • 1:30 - 1:33
    그것은 글쓰기가 아니라 예술입니다.
  • 1:33 - 1:34
    이같은 것을 쓰기위해서.
  • 1:34 - 1:37
    기호는 단어로 나타내야만 했습니다.
  • 1:37 - 1:40
    이것을 읽을 수 있겠어요?.
  • 1:40 - 1:43
    이것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햄릿' 의 유명한 인용구 입니다.
  • 1:43 - 1:46
    맞습니다, "죽는냐 사느냐" 이지요.
  • 1:46 - 1:49
    이것이 수메르인들이 문제를 푼 방법입니다.
  • 1:49 - 1:52
    소와 물과 산을 합치면 뭐가 될까요.
  • 1:52 - 1:55
    아무 것도 안하는 "물"이 왜 있을까요?
  • 1:55 - 1:57
    음, 수메르어에서 물은
  • 1:57 - 2:00
    "~속에" 라는 의미의 말과 같은 발음입니다.
  • 2:00 - 2:03
    그러므로 "산 속의 소" 입니다.
  • 2:03 - 2:06
    언어학자들은 이것을
    "리버스 라이팅(그림.글자 조합) " 이라고 부릅니다..
  • 2:06 - 2:08
    수메르인들은 쓰여진 기호로
  • 2:08 - 2:10
    어떻게 의미를 나타낼지
    이미 알고 있었습니다.
  • 2:10 - 2:12
    그리고 소리를 표현함으로써
  • 2:12 - 2:15
    수메르인들은 그들의 어휘를 늘려갔습니다.
  • 2:15 - 2:17
    결과적으로 우리가 요즘에 쓰는
  • 2:17 - 2:18
    표음 문자가 되었습니다.
  • 2:18 - 2:20
    그리고 표의 문자는 덜 쓰이게 되었죠.
  • 2:20 - 2:22
    글쓰기 방식은 우리가 설형 문자로 알고 있는
  • 2:22 - 2:24
    표음 문자로
  • 2:24 - 2:26
    점점 세련되어져 갔습니다.
  • 2:26 - 2:29
    아카디아나 시리아와 같은 많은 문화들이
  • 2:29 - 2:31
    이러한 수메르인들의 발명을 도입하여
  • 2:31 - 2:33
    그들 자신만의 글쓰기 방식을 개발하였습니다.
  • 2:33 - 2:34
    "길가메쉬" 서사시와
    (길가메쉬 왕과 그의 친구 엔키두의 이야기)
  • 2:34 - 2:35
    "함무라비 법전"(282개의 바빌로니아 법)은
  • 2:35 - 2:38
    설형 문자의 일종으로 쓰여졌습니다.
  • 2:38 - 2:39
    이와 같은 기술이 퍼짐으로써
  • 2:39 - 2:41
    이같은 기호는 그리스에서 발전하게 되었고
  • 2:41 - 2:45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알파벳" 이 되었습니다.
  • 2:45 - 2:47
    그러나 지구에서 수메르인만이
  • 2:47 - 2:48
    글쓰기를 발명한 것은 아닙니다.
  • 2:48 - 2:50
    고대 이집트인들은
    비슷한 시기인 기원전 3500년에
  • 2:50 - 2:54
    히에로클리프와 히에라틱 문자를 개발하였습니다.
  • 2:54 - 2:57
    그리고는 글쓰기는 기원전 1,500여년전
  • 2:57 - 2:59
    중국에서 독자적으로 개발되어
  • 2:59 - 3:02
    그후 동남아시아로 퍼져나갔습니다.
  • 3:02 - 3:05
    가장 최근에는 중앙 아메리카의 마야 문명이
  • 3:05 - 3:09
    기원후 300년에 그들의 역사를
    새겨넣기 시작했습니다.
  • 3:09 - 3:12
    그럼 누가 글쓰기를 발명했을까요.
  • 3:12 - 3:13
    수메르인인가요?
  • 3:13 - 3:14
    이집트인인가요?
  • 3:14 - 3:15
    중국인?
  • 3:15 - 3:17
    아니면 마야 사람들인가요?
  • 3:17 - 3:18
    궁극적으로 전세계에서 쓰여지고 있는
  • 3:18 - 3:20
    모든 글쓰기 방식은
  • 3:20 - 3:23
    수메르나 중국에 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 3:23 - 3:26
    글쓰기는 다른 곳에서도
  • 3:26 - 3:27
    발명되었습니다.
  • 3:27 - 3:29
    인더스 계곡과 라파 누이 문명에 남겨진
  • 3:29 - 3:32
    고대의 비문이 발견되었습니다.
  • 3:32 - 3:34
    그러나 아무도 그것들을 해석하지 못했습니다.
  • 3:34 - 3:36
    여러분들이 한번 해보고 싶으신가요?
Title:
누가 글쓰기를 발명하였을까요? - 메튜 윙클러(Matthew Winkler)
Description:

전체 강의 보기 : http://ed.ted.com/lessons/who-invented-writing-matthew-winkler

말하기는 글쓰기보다 수천년전에 나타났습니다. 모든 글쓰기 발명의 기원은 두 개의 문명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 수메르와 중국. 메튜 윙클러는 수메르 설형 문자의 발달을 해부하고 초기 기호와 간단히 그려진 의미의 차이를 설명합니다.

강연자 : 메튜 윙클러 , 동영상 : TED-Ed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closed TED
Project:
TED-Ed
Duration:
03:52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