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Role of the Sarcoplasmic Reticulum in Muscle Cells

  • 0:00 - 0:01
  • 0:01 - 0:04
    지난 영상에서 알 수 있듯이
  • 0:04 - 0:09
    근육 세포 내에 칼슘 이온 농도가
    높아지면
  • 0:09 - 0:14
    칼슘 이온은 트로포닌 단백질과 결합하여
  • 0:14 - 0:18
    트로포마이오신을 제거하는 형태로
    변형이 됩니다
  • 0:18 - 0:21
    그러면 미오신 헤드는
  • 0:21 - 0:23
    액틴 필라멘트를 따라 서서히 움직이고
  • 0:23 - 0:25
    그러면서 근육의 수축이 일어납니다
  • 0:25 - 0:29
    고농도 칼슘 혹은 칼슘 이온 축적은
  • 0:29 - 0:31
    수축을 발생시킵니다
  • 0:31 - 0:36
    저농도 칼슘 이온 축적 상황에서
    트로포닌 단백질은
  • 0:36 - 0:39
    표준 형태로 트로포마이오신을
  • 0:39 - 0:43
    미오신 헤드쪽으로 다시 당깁니다
  • 0:43 - 0:46
    그럼 수축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 0:46 - 0:54
  • 0:54 - 0:57
    그럼 다음 질문은 당연히 어떻게 근육이
  • 0:57 - 1:00
    고농도 칼슘 축적에서의 수축과
  • 1:00 - 1:03
    저농도 칼슘에서의 이완을 조절하는가
    입니다
  • 1:03 - 1:05
    좀더 정확한 질문은 신경계가 어떻게
  • 1:05 - 1:07
    수축과 이완을 조절하는가 입니다
  • 1:07 - 1:10
    신경계는 어떤 식으로 수축하기 위해서
  • 1:10 - 1:12
    칼슘 농도를 높여야 하고
    이완하기 위해서는
  • 1:12 - 1:14
    낮춰야 한다고 근육에게 전달할까요?
  • 1:14 - 1:18
    이를 이해하기 위해 이전에 봤던
  • 1:18 - 1:21
    뉴런 관련 동영상을 잠깐 리뷰하겠습니다
  • 1:21 - 1:24
    축삭의 종말 연결부를
  • 1:24 - 1:28
    그려보겠습니다
  • 1:28 - 1:31
    다른 뉴런의 수상돌기와
    시냅스를 가지는 대신
  • 1:31 - 1:33
    실제 근육 세포와 시냅스를 가집니다
  • 1:33 - 1:35
    실제 근육 세포와 시냅스를 가집니다
  • 1:35 - 1:37
    여기가 실제 근육 세포와의 시냅스입니다
  • 1:37 - 1:44
  • 1:44 - 1:47
    이건 실제 근육세포와의 시냅스입니다
  • 1:47 - 1:50
    혼동되지 않게 하기위해 각각에
    라벨링을 하겠습니다
  • 1:50 - 1:51
    이것은 축삭입니다
  • 1:51 - 1:53
    축삭말단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 1:53 - 1:58
  • 1:58 - 1:59
    이것이 시냅스입니다
  • 1:59 - 2:05
  • 2:05 - 2:08
    뉴런 영상에서 봤던 용어 중에서
  • 2:08 - 2:10
    이 공간은 시냅스 간극이라고 했습니다
  • 2:10 - 2:14
    이것은 시냅스전 뉴런입니다
  • 2:14 - 2:15
    이 부분은 이미 본적이 있겠지만
  • 2:15 - 2:17
    시냅스후 세포입니다
  • 2:17 - 2:19
    이 경우 뉴런은 아닙니다
  • 2:19 - 2:21
    그리고 이 부분은
  • 2:21 - 2:30
    세포 막입니다.
  • 2:30 - 2:33
    이후 또는 그 다음 영상에서
  • 2:33 - 2:35
    근육세포 해부학에 관해서
  • 2:35 - 2:36
    보여줄 예정입니다
  • 2:36 - 2:37
    이 부분은 칼슘 이온 축적이 어떤 식으로
  • 2:37 - 2:39
    진행되는지 이해하고자 하는 관점에서는
  • 2:39 - 2:43
    약간 추상적으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 2:43 - 2:44
    이것은 근초라고 불립니다
  • 2:44 - 2:54
    발음을 어떻게 할지 약간 헷갈리네요
  • 2:54 - 2:56
    이것은 근육세포의 막입니다
  • 2:56 - 3:00
    바로 여기, 근육세포 막이 안쪽으로
  • 3:00 - 3:01
    접혀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 3:01 - 3:04
    근육세포막 표면을 관찰한다고 하면
  • 3:04 - 3:06
    세포 내의 작은 구멍이나 움푹한 모양처럼
  • 3:06 - 3:09
    보이는 것이 있습니다.
  • 3:09 - 3:14
    이 그림은 횡단면이기 때문에
    안으로 접힌 것처럼 보이거나
  • 3:14 - 3:17
    바늘 같은 걸로 꾹 찔렀을 때
  • 3:17 - 3:17
    보이는 모양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3:17 - 3:19
    막이 접힌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 3:19 - 3:21
    그리고 이 부분은 T-소관입니다
  • 3:21 - 3:26
  • 3:26 - 3:28
    T는 "transverse"를 의미합니다.
  • 3:28 - 3:32
    세포막 표면을 가로지른다는 겁니다
  • 3:32 - 3:35
    이 부분은 이 영상에 정말 중요한 부분이며
  • 3:35 - 3:37
    정말로 중요한 세포 기관입니다
  • 3:37 - 3:38
    정말로 중요한 세포 기관입니다
  • 3:38 - 3:42
    이 세포기관은 근소포체라 불리는
  • 3:42 - 3:44
    근육 세포 내부에 있습니다.
  • 3:44 - 3:55
  • 3:55 - 3:58
    근세포체 조직은 생김새나
  • 3:58 - 4:03
    소포체와의 연관성 면에서
  • 4:03 - 4:07
    소포체와 매우유사 하지만,
  • 4:07 - 4:08
    이 조직의 주요 기능은 저장입니다
  • 4:08 - 4:10
    소포체는 단백질을 생성에 관여하고
  • 4:10 - 4:14
    거기에 부착된 리보솜이 있지만
  • 4:14 - 4:19
    근소포체는 순수 저장 기관입니다
  • 4:19 - 4:22
    근소포체의 기능은
  • 4:22 - 4:33
    막에 칼슘 이온 펌프가 있고 이 펌프는
  • 4:33 - 4:38
    ATP를 사용해서 동작을 합니다.
  • 4:38 - 4:42
    즉 ATP가 들어와서 결합이 되면
  • 4:42 - 4:53
    칼슘 이온도 결합이 될 것이고
  • 4:53 - 4:59
    ATP가 ADP와 인산염으로
    가수분해 되면
  • 4:59 - 5:01
    이 단백질의 수준을 변화시키고
  • 5:01 - 5:04
    이 단백질의 수준을 변화시키고
  • 5:04 - 5:06
    이 변화는 칼슘 이온을
    내부로 펌핑합니다
  • 5:06 - 5:08
    결과적으로 칼슘이온이
    내부로 유입됩니다
  • 5:08 - 5:13
    소포체 막의 칼슘 이온 펌프의
    실질적 효과는
  • 5:13 - 5:17
    근육이 휴식상태일 때
  • 5:17 - 5:21
    근소포체 내부의 칼슘 이온 농도가
  • 5:21 - 5:22
    매우 높게 유지되게 하는 것입니다
  • 5:22 - 5:27
  • 5:27 - 5:29
    칼슘 이온 농도가 높아지면 어떻게 될지
  • 5:29 - 5:30
    알고있을꺼라 생각이 되는데
  • 5:30 - 5:33
    근육이 수축하게 되면 농축된 칼슘 이온이
  • 5:33 - 5:37
    세포질 밖으로 내보내지게 됩니다
  • 5:37 - 5:43
    그러면 트로포닌과 결합할 수 있게 되고
  • 5:43 - 5:45
    이전 영상에서 이야기했던
    모든 동작을 하게 됩니다
  • 5:45 - 5:49
    여기서 궁금한 점은
    근소포체는 어떻게 칼슘을
  • 5:49 - 5:52
    세포질 밖으로 보낼 시점을
    인지하는가 입니다
  • 5:52 - 5:53
    이 부분은 세포 내부입니다
  • 5:53 - 6:00
  • 6:00 - 6:06
    이 부분에는 액틴 필라멘트, 미오신 헤드
  • 6:06 - 6:09
    트로포닌, 트로포미오신 등이 전부
  • 6:09 - 6:12
    이 환경에 노출됩니다
  • 6:12 - 6:13
    바로 이 부분입니다
  • 6:13 - 6:15
    충분히 짐작할 수 있겠지만
  • 6:15 - 6:17
    분명히 하기 위해 여기에 그리겠습니다
  • 6:17 - 6:21
  • 6:21 - 6:23
    매우 개략적으로 그리고 있습니다.
  • 6:23 - 6:26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이후 영상에 보도록 하겠습니다
  • 6:26 - 6:39
  • 6:39 - 6:41
    아주 추상적인 그림이지만, 대략적으로
  • 6:41 - 6:43
    어떤 일이 진행되는지
    보여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6:43 - 6:46
    이 뉴런을, 운동 뉴런이라고 하죠
  • 6:46 - 6:54
    이 뉴런은 근수축 신호를 보낼겁니다
  • 6:54 - 6:58
    우선 어떤 식으로 뉴런 또는
    활동전위를 가진 축삭으로
  • 6:58 - 7:01
    신호가 전달되는지 알고 있습니다
  • 7:01 - 7:04
    소듐 채널이 여기 있다고 하죠
  • 7:04 - 7:07
    게이트 전압이 있어서
  • 7:07 - 7:08
    약간의 양극을 띄고 있습니다
  • 7:08 - 7:12
    그럼 소듐 채널 전압 게이트가 열립니다
  • 7:12 - 7:16
    채널이 열리면 더 많은 소듐이 유입됩니다
  • 7:16 - 7:18
    그러면 전압이 더 올라가게 됩니다
  • 7:18 - 7:22
    그럼 다음 전압 게이트 채널을 열게 되고
  • 7:22 - 7:25
    축삭 막으로 지속적으로 전달됩니다
  • 7:25 - 7:28
    결과적으로 충분한 전압이 축적이 되면
  • 7:28 - 7:33
    칼슘 전압 게이트가 열립니다
  • 7:33 - 7:36
  • 7:36 - 7:38
    이 부분은 모두 이전의
  • 7:38 - 7:40
    뉴런 영상에서 배웠던 것입니다
  • 7:40 - 7:42
    결과적으로 칼슘 이온 채널 전압이
  • 7:42 - 7:44
    충분히 높아지면
  • 7:44 - 7:46
    칼슘 이온이 유입되게 합니다
  • 7:46 - 7:50
    칼슘 이온이 유입되면 신경 접합부 막 또는
  • 7:50 - 7:54
    시냅스 전 세포막 근처의 특별한 단백질과
  • 7:54 - 7:55
    결합하게 됩니다
  • 7:55 - 7:57
    여기에 칼슘 이온이 있습니다
  • 7:57 - 8:01
    칼슘 이온은 소낭에 붙어있던
    단백질과 결합합니다
  • 8:01 - 8:08
    알아둘 점은, 소낭은 신경전달물질
    주위에 있던
  • 8:08 - 8:09
    이런 막들이었습니다
  • 8:09 - 8:13
  • 8:13 - 8:18
    칼슘이 단백질과 결합하게 되면
  • 8:18 - 8:19
    세포외 배출이 일어나게 됩니다
  • 8:19 - 8:23
    세포외 배출은 소낭막이
  • 8:23 - 8:25
    활동성 뉴런의 막과 합쳐지게 하고
  • 8:25 - 8:27
    결과물이 배출되게 합니다
  • 8:27 - 8:29
    이 부분은 뉴런 영상의 복습입니다
  • 8:29 - 8:31
    상세 내용은 해당 영상에 설명했지만
  • 8:31 - 8:33
    위에서도 보았듯이
  • 8:33 - 8:34
    모든 신경 전달물질이 배출되게 됩니다
  • 8:34 - 8:39
    뉴런과 신경 세포 사이에 있는
  • 8:39 - 8:39
    시냅스에 대해서도 이야기 했었습니다
  • 8:39 - 8:42
    이곳의 신경전달물질은 아세틸콜린입니다
  • 8:42 - 8:47
  • 8:47 - 8:49
    하지만 수상돌기에서 발생하는 것처럼
  • 8:49 - 8:54
    근초, 즉 근육세포막의 수용체와 결합되고
  • 8:54 - 8:57
    근육세포의 소듐 채널을 엽니다
  • 8:57 - 8:59
    근육세포의 소듐 채널을 엽니다
  • 8:59 - 9:02
    근육세포에도 뉴런과 같이
  • 9:02 - 9:07
    그러면 근육세포 막에도
    전압 구배가 생기는데
  • 9:07 - 9:11
    뉴런의 전압 구배와 동일한 역할을 합니다
  • 9:11 - 9:16
    여기에 아세틸콜린이 생기면
  • 9:16 - 9:18
    소듐이 근육세포 내로 유입됩니다
    그럼 내부는 양극을 띄고
  • 9:18 - 9:20
    근육세포 내부의 잠재적 동작을 유발합니다
  • 9:20 - 9:22
    약간의 양극성을 띤 상태입니다
  • 9:23 - 9:27
    양극 전압이 일정 이상이 되면
  • 9:27 - 9:29
    전압 게이트를 열게 하고
  • 9:29 - 9:32
    더 많은 소듐이 유입되게 합니다
  • 9:32 - 9:35
    그러면 이 부분도 양극을 띄게 됩니다
  • 9:35 - 9:37
    물론 상황을 반대로 만들 수 있는
    포타슘도 있습니다
  • 9:37 - 9:39
    뉴런에서 일어나는 동작과
    매우 유사합니다
  • 9:39 - 9:42
    결과적으로 이쪽에 소듐 채널이 있고
  • 9:42 - 9:43
    결과적으로 이쪽에 소듐 채널이 있고
  • 9:43 - 9:45
    이 활동 전위는 양극을 띄게 됩니다
  • 9:45 - 9:48
    전압이 충분히 높으면 채널이 열리게 되고
  • 9:48 - 9:50
    더 많은 소듐이 유입됩니다
  • 9:50 - 9:52
    그러면 활동 전위가 형성됩니다
  • 9:52 - 9:53
    그런 후 활동 전위는,
    여기에 소듐 채널이 있고
  • 9:53 - 9:58
    T-소관으로 내려옵니다
  • 9:58 - 10:00
    뉴런에서 오는 정보는,
    추측할 수 있겠지만
  • 10:00 - 10:04
    활동 전위가 화학적 신호로 바뀌고
  • 10:04 - 10:06
    이 신호가 다른 활동 전위를 자극해서
  • 10:06 - 10:08
    T-소관까지 오게 됩니다
  • 10:08 - 10:11
    매우 흥미로운 부분은 단백질 복합체가
  • 10:11 - 10:14
    필수적으로 근소포체와
  • 10:14 - 10:18
    T-소관을 연결한다는 것입니다
  • 10:18 - 10:21
    이 부분은 여전히 연구 중인 분야로
    관심이 있으면
  • 10:21 - 10:23
    몇 가지 정보를 알려주겠습니다
  • 10:23 - 10:29
    여기에 큰 박스 하나를 그리겠습니다
  • 10:29 - 10:31
    단백질 복합체 입니다
  • 10:31 - 10:35
    각 단백질 이름을
  • 10:35 - 10:36
    여기에 정리하겠습니다
  • 10:36 - 10:44
    "protein triadin", "junctin"
  • 10:44 - 10:51
    "calsequestrin", "ryanodine" 입니다
  • 10:51 - 10:56
  • 10:56 - 11:00
    이들은 T-소관과 근소포체를
  • 11:00 - 11:05
    연결하는데 관여합니다
  • 11:05 - 11:07
    하지만 중요한 것은 활동 전위가
    이쪽으로 이동 될 때
  • 11:07 - 11:10
    그래서 충분한 전압이
    이 주위에 형성되면
  • 11:10 - 11:16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이고
  • 11:16 - 11:18
    단백질 복합체가 칼슘을
    배출하게 합니다
  • 11:18 - 11:21
    리아노딘이 칼슘을 배출하는
    실질적인 부분이라
  • 11:21 - 11:24
    말하지만, 여기 이 부분에서
  • 11:24 - 11:28
    촉발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11:28 - 11:30
    활동 전위가 내려가면
  • 11:30 - 11:31
    다른 색으로 바꾸겠습니다
  • 11:31 - 11:33
    보라색을 너무 많이 사용하네요
  • 11:33 - 11:37
    붉은 색으로 표기하겠습니다
  • 11:37 - 11:40
    활동 전위가 충분히 올라가면
  • 11:40 - 11:42
    유입되는 소듐으로 인해
    양극을 띄게 되는데
  • 11:42 - 11:46
    여기 미스터리한 박스,
    이 단백질들에 대해서
  • 11:46 - 11:47
    이 단백질에 대해
  • 11:47 - 11:49
    웹에서 검색해봐도 됩니다
  • 11:49 - 11:53
    사람들은 여전히 어떤 식으로
    이 박스부분이
  • 11:53 - 11:57
    근소포체에서 칼슘 이온이
    배출되도록 촉진하는지
  • 11:57 - 12:04
    근소포체 내부의 칼슘이 이온이 모두
  • 12:04 - 12:08
    근소포체 내부의 칼슘이 이온이 모두
  • 12:08 - 12:10
    세포질 내부로 배출이 됩니다
  • 12:10 - 12:13
    그럼 어떤 현상이 일어나게 될까요?
  • 12:13 - 12:15
    고농도로 축적된 칼슘의 칼슘 이온이
  • 12:15 - 12:17
    영상 초기에 말한 것처럼
  • 12:17 - 12:19
    트로포닌과 결합합니다
  • 12:19 - 12:23
    트로포닌과 결합한 칼슘 이온은
    트로포미오신을 제거합니다
  • 12:23 - 12:27
    전전 영상에 배웠듯이
    ATP를 사용하는 미오신이
  • 12:27 - 12:30
    액틴표면으로 나오고
  • 12:30 - 12:35
    동시에 신호가 사라집니다
  • 12:35 - 12:39
    이와 동시에 채널이 닫히고
    칼슘 이온 펌프는 칼슘의 농도를
  • 12:39 - 12:41
    다시 낮춥니다
  • 12:41 - 12:45
    그럼 수축이 멈추고
  • 12:45 - 12:46
    근육은 다시 이완됩니다
  • 12:46 - 12:49
    여기서 핵심은 칼슘 이온 컨테이너는
  • 12:49 - 12:52
    근육이 이완될 때 필수적으로
    칼슘을 세포 내부인
  • 12:52 - 12:55
    컨테이너 바깥으로 보냄으로써
  • 12:55 - 12:59
    마이온신이 액틴으로 올라오는 것을 막아
  • 12:59 - 13:00
    근육이 이완되게 합니다
  • 13:00 - 13:03
    하지만 다시 신호를 받으면
    칼슘 이온이 유입되고
  • 13:03 - 13:06
    트로포미오신이 트로포닌에 의해
    제거되어서
  • 13:06 - 13:11
    근육 수축이 일어납니다
  • 13:11 - 13:12
    잘모르겠지만
    아무튼 정말 매력적이예요
  • 13:12 - 13:15
    아직 이 과정이
    완벽히 이해되지 않은 것도
  • 13:15 - 13:16
    그렇고요
  • 13:16 - 13:19
    생물학자가 되고 싶다면
  • 13:19 - 13:21
    이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 분야도
  • 13:21 - 13:23
    아주 흥미로운 분야일 수 있습니다
  • 13:23 - 13:26
    과학적 관점에서 실제 동작이
    어떻게 되는지도
  • 13:26 - 13:28
    흥미롭지만
  • 13:28 - 13:32
    이 단백질 기능이 정상적이지 않아서
    발생하는
  • 13:32 - 13:34
    병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 13:34 - 13:37
    어쩌면 이런 동작 메커니즘을 향상시키거나
  • 13:37 - 13:38
    저하시키는 방법을 찾을 수도 있을 겁니다
  • 13:38 - 13:42
    활동 전위가 나타나고
  • 13:42 - 13:45
    칼슘 채널이 열릴 때
  • 13:45 - 13:47
    정확히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 13:47 - 13:48
    분명히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겁니다
  • 13:48 - 13:50
    이제 중요한 부분이 남았습니다
  • 13:50 - 13:54
    운동뉴런이 어떤 식으로
    근소포체가 세포질 내의
  • 13:54 - 14:00
    칼슘 이온 이동을 조절하여
  • 14:00 - 14:03
    세포의 수축을 자극하는지
  • 14:03 - 14:05
    알고 있습니다
  • 14:05 - 14:07
    이 영상 전에 책을 읽고 왔는데
  • 14:07 - 14:09
    이 펌프들의 동작이 매우
    효율적이라고 합니다
  • 14:09 - 14:12
    신호가 사라지고 게이트가 닫히면
  • 14:12 - 14:17
    근소포체는 30ms 만에 다시
  • 14:17 - 14:19
    이온 농도를 정상화 할 수 있습니다
  • 14:19 - 14:22
    그런 이유로 쉽게 근육 수축을 멈출 수 있죠
  • 14:22 - 14:26
    펀치를 날렸다가 당기고 쉬는 동작을
  • 14:26 - 14:29
    순식간에 할 수 있는 이유도
  • 14:29 - 14:34
    30분의 1초도 안되는 30ms만에
  • 14:34 - 14:35
    수축을 멈출 수 있기 때문입니다
  • 14:35 - 14:38
    그럼 다음 영상인
  • 14:38 - 14:40
    "The Acutal Anatomy of a muscle cell" 에서
  • 14:40 - 14:42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14:42 - 14:42
Title:
Role of the Sarcoplasmic Reticulum in Muscle Cells
Description: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Khan Academy
Duration:
14:42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