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0,000 --> 00:00:00,750 2 00:00:00,750 --> 00:00:04,480 지난 영상에서 알 수 있듯이 3 00:00:04,480 --> 00:00:09,040 근육 세포 내에 칼슘 이온 농도가 높아지면 4 00:00:09,040 --> 00:00:13,500 칼슘 이온은 트로포닌 단백질과 결합하여 5 00:00:13,500 --> 00:00:18,020 트로포마이오신을 제거하는 형태로 변형이 됩니다 6 00:00:18,020 --> 00:00:20,580 그러면 미오신 헤드는 7 00:00:20,580 --> 00:00:23,220 액틴 필라멘트를 따라 서서히 움직이고 8 00:00:23,220 --> 00:00:24,940 그러면서 근육의 수축이 일어납니다 9 00:00:24,950 --> 00:00:29,140 고농도 칼슘 혹은 칼슘 이온 축적은 10 00:00:29,140 --> 00:00:30,850 수축을 발생시킵니다 11 00:00:30,850 --> 00:00:35,560 저농도 칼슘 이온 축적 상황에서 트로포닌 단백질은 12 00:00:35,560 --> 00:00:39,060 표준 형태로 트로포마이오신을 13 00:00:39,060 --> 00:00:42,600 미오신 헤드쪽으로 다시 당깁니다 14 00:00:42,600 --> 00:00:45,800 그럼 수축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15 00:00:45,800 --> 00:00:53,740 16 00:00:53,750 --> 00:00:57,140 그럼 다음 질문은 당연히 어떻게 근육이 17 00:00:57,140 --> 00:01:00,460 고농도 칼슘 축적에서의 수축과 18 00:01:00,460 --> 00:01:03,340 저농도 칼슘에서의 이완을 조절하는가 입니다 19 00:01:03,340 --> 00:01:05,440 좀더 정확한 질문은 신경계가 어떻게 20 00:01:05,440 --> 00:01:06,780 수축과 이완을 조절하는가 입니다 21 00:01:06,840 --> 00:01:10,080 신경계는 어떤 식으로 수축하기 위해서 22 00:01:10,080 --> 00:01:11,540 칼슘 농도를 높여야 하고 이완하기 위해서는 23 00:01:11,550 --> 00:01:14,010 낮춰야 한다고 근육에게 전달할까요? 24 00:01:14,010 --> 00:01:17,900 이를 이해하기 위해 이전에 봤던 25 00:01:17,900 --> 00:01:20,790 뉴런 관련 동영상을 잠깐 리뷰하겠습니다 26 00:01:20,790 --> 00:01:24,000 축삭의 종말 연결부를 27 00:01:24,000 --> 00:01:27,500 그려보겠습니다 28 00:01:27,500 --> 00:01:30,540 다른 뉴런의 수상돌기와 시냅스를 가지는 대신 29 00:01:30,540 --> 00:01:32,890 실제 근육 세포와 시냅스를 가집니다 30 00:01:32,890 --> 00:01:35,130 실제 근육 세포와 시냅스를 가집니다 31 00:01:35,130 --> 00:01:37,145 여기가 실제 근육 세포와의 시냅스입니다 32 00:01:37,145 --> 00:01:44,420 33 00:01:44,420 --> 00:01:47,170 이건 실제 근육세포와의 시냅스입니다 34 00:01:47,170 --> 00:01:50,070 혼동되지 않게 하기위해 각각에 라벨링을 하겠습니다 35 00:01:50,070 --> 00:01:51,470 이것은 축삭입니다 36 00:01:51,470 --> 00:01:53,470 축삭말단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37 00:01:53,470 --> 00:01:57,610 38 00:01:57,610 --> 00:01:59,040 이것이 시냅스입니다 39 00:01:59,040 --> 00:02:05,440 40 00:02:05,440 --> 00:02:08,150 뉴런 영상에서 봤던 용어 중에서 41 00:02:08,150 --> 00:02:10,210 이 공간은 시냅스 간극이라고 했습니다 42 00:02:10,210 --> 00:02:13,650 이것은 시냅스전 뉴런입니다 43 00:02:13,650 --> 00:02:15,460 이 부분은 이미 본적이 있겠지만 44 00:02:15,460 --> 00:02:16,900 시냅스후 세포입니다 45 00:02:16,900 --> 00:02:19,040 이 경우 뉴런은 아닙니다 46 00:02:19,050 --> 00:02:21,090 그리고 이 부분은 47 00:02:21,090 --> 00:02:30,240 세포 막입니다. 48 00:02:30,240 --> 00:02:32,540 이후 또는 그 다음 영상에서 49 00:02:32,540 --> 00:02:34,530 근육세포 해부학에 관해서 50 00:02:34,530 --> 00:02:35,720 보여줄 예정입니다 51 00:02:35,720 --> 00:02:37,220 이 부분은 칼슘 이온 축적이 어떤 식으로 52 00:02:37,230 --> 00:02:39,300 진행되는지 이해하고자 하는 관점에서는 53 00:02:39,300 --> 00:02:42,810 약간 추상적으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54 00:02:42,810 --> 00:02:44,060 이것은 근초라고 불립니다 55 00:02:44,060 --> 00:02:53,580 발음을 어떻게 할지 약간 헷갈리네요 56 00:02:53,580 --> 00:02:56,120 이것은 근육세포의 막입니다 57 00:02:56,120 --> 00:02:59,640 바로 여기, 근육세포 막이 안쪽으로 58 00:02:59,640 --> 00:03:00,980 접혀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59 00:03:00,980 --> 00:03:04,000 근육세포막 표면을 관찰한다고 하면 60 00:03:04,000 --> 00:03:05,850 세포 내의 작은 구멍이나 움푹한 모양처럼 61 00:03:05,850 --> 00:03:09,040 보이는 것이 있습니다. 62 00:03:09,040 --> 00:03:14,000 이 그림은 횡단면이기 때문에 안으로 접힌 것처럼 보이거나 63 00:03:14,000 --> 00:03:16,520 바늘 같은 걸로 꾹 찔렀을 때 64 00:03:16,520 --> 00:03:17,240 보이는 모양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65 00:03:17,240 --> 00:03:19,100 막이 접힌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66 00:03:19,100 --> 00:03:20,880 그리고 이 부분은 T-소관입니다 67 00:03:20,880 --> 00:03:26,360 68 00:03:26,360 --> 00:03:28,100 T는 "transverse"를 의미합니다. 69 00:03:28,100 --> 00:03:31,720 세포막 표면을 가로지른다는 겁니다 70 00:03:31,720 --> 00:03:35,060 이 부분은 이 영상에 정말 중요한 부분이며 71 00:03:35,060 --> 00:03:36,560 정말로 중요한 세포 기관입니다 72 00:03:36,560 --> 00:03:37,520 정말로 중요한 세포 기관입니다 73 00:03:37,520 --> 00:03:42,410 이 세포기관은 근소포체라 불리는 74 00:03:42,410 --> 00:03:43,890 근육 세포 내부에 있습니다. 75 00:03:43,890 --> 00:03:54,740 76 00:03:54,740 --> 00:03:57,700 근세포체 조직은 생김새나 77 00:03:57,700 --> 00:04:03,180 소포체와의 연관성 면에서 78 00:04:03,180 --> 00:04:06,750 소포체와 매우유사 하지만, 79 00:04:06,750 --> 00:04:07,760 이 조직의 주요 기능은 저장입니다 80 00:04:07,760 --> 00:04:10,400 소포체는 단백질을 생성에 관여하고 81 00:04:10,400 --> 00:04:14,470 거기에 부착된 리보솜이 있지만 82 00:04:14,470 --> 00:04:18,860 근소포체는 순수 저장 기관입니다 83 00:04:18,860 --> 00:04:22,500 근소포체의 기능은 84 00:04:22,500 --> 00:04:32,920 막에 칼슘 이온 펌프가 있고 이 펌프는 85 00:04:32,920 --> 00:04:37,530 ATP를 사용해서 동작을 합니다. 86 00:04:37,530 --> 00:04:42,450 즉 ATP가 들어와서 결합이 되면 87 00:04:42,450 --> 00:04:52,620 칼슘 이온도 결합이 될 것이고 88 00:04:52,620 --> 00:04:58,654 ATP가 ADP와 인산염으로 가수분해 되면 89 00:04:58,654 --> 00:05:01,470 이 단백질의 수준을 변화시키고 90 00:05:01,470 --> 00:05:04,140 이 단백질의 수준을 변화시키고 91 00:05:04,140 --> 00:05:05,840 이 변화는 칼슘 이온을 내부로 펌핑합니다 92 00:05:05,840 --> 00:05:08,230 결과적으로 칼슘이온이 내부로 유입됩니다 93 00:05:08,230 --> 00:05:12,610 소포체 막의 칼슘 이온 펌프의 실질적 효과는 94 00:05:12,610 --> 00:05:16,540 근육이 휴식상태일 때 95 00:05:16,540 --> 00:05:20,700 근소포체 내부의 칼슘 이온 농도가 96 00:05:20,700 --> 00:05:21,950 매우 높게 유지되게 하는 것입니다 97 00:05:21,950 --> 00:05:26,630 98 00:05:26,630 --> 00:05:28,570 칼슘 이온 농도가 높아지면 어떻게 될지 99 00:05:28,570 --> 00:05:30,180 알고있을꺼라 생각이 되는데 100 00:05:30,180 --> 00:05:33,010 근육이 수축하게 되면 농축된 칼슘 이온이 101 00:05:33,010 --> 00:05:37,320 세포질 밖으로 내보내지게 됩니다 102 00:05:37,320 --> 00:05:42,610 그러면 트로포닌과 결합할 수 있게 되고 103 00:05:42,610 --> 00:05:45,120 이전 영상에서 이야기했던 모든 동작을 하게 됩니다 104 00:05:45,120 --> 00:05:49,180 여기서 궁금한 점은 근소포체는 어떻게 칼슘을 105 00:05:49,180 --> 00:05:51,760 세포질 밖으로 보낼 시점을 인지하는가 입니다 106 00:05:51,760 --> 00:05:53,140 이 부분은 세포 내부입니다 107 00:05:53,140 --> 00:06:00,370 108 00:06:00,370 --> 00:06:06,360 이 부분에는 액틴 필라멘트, 미오신 헤드 109 00:06:06,360 --> 00:06:09,350 트로포닌, 트로포미오신 등이 전부 110 00:06:09,350 --> 00:06:12,230 이 환경에 노출됩니다 111 00:06:12,230 --> 00:06:13,320 바로 이 부분입니다 112 00:06:13,320 --> 00:06:15,280 충분히 짐작할 수 있겠지만 113 00:06:15,280 --> 00:06:16,530 분명히 하기 위해 여기에 그리겠습니다 114 00:06:16,530 --> 00:06:21,480 115 00:06:21,480 --> 00:06:23,220 매우 개략적으로 그리고 있습니다. 116 00:06:23,220 --> 00:06:26,040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이후 영상에 보도록 하겠습니다 117 00:06:26,040 --> 00:06:38,650 118 00:06:38,650 --> 00:06:40,980 아주 추상적인 그림이지만, 대략적으로 119 00:06:40,980 --> 00:06:42,640 어떤 일이 진행되는지 보여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20 00:06:42,650 --> 00:06:45,510 이 뉴런을, 운동 뉴런이라고 하죠 121 00:06:45,510 --> 00:06:54,380 이 뉴런은 근수축 신호를 보낼겁니다 122 00:06:54,380 --> 00:06:57,610 우선 어떤 식으로 뉴런 또는 활동전위를 가진 축삭으로 123 00:06:57,610 --> 00:07:01,100 신호가 전달되는지 알고 있습니다 124 00:07:01,100 --> 00:07:04,460 소듐 채널이 여기 있다고 하죠 125 00:07:04,460 --> 00:07:07,410 게이트 전압이 있어서 126 00:07:07,410 --> 00:07:08,500 약간의 양극을 띄고 있습니다 127 00:07:08,500 --> 00:07:12,420 그럼 소듐 채널 전압 게이트가 열립니다 128 00:07:12,420 --> 00:07:16,160 채널이 열리면 더 많은 소듐이 유입됩니다 129 00:07:16,160 --> 00:07:18,340 그러면 전압이 더 올라가게 됩니다 130 00:07:18,340 --> 00:07:21,880 그럼 다음 전압 게이트 채널을 열게 되고 131 00:07:21,880 --> 00:07:25,010 축삭 막으로 지속적으로 전달됩니다 132 00:07:25,010 --> 00:07:28,410 결과적으로 충분한 전압이 축적이 되면 133 00:07:28,410 --> 00:07:32,590 칼슘 전압 게이트가 열립니다 134 00:07:32,590 --> 00:07:36,060 135 00:07:36,060 --> 00:07:37,680 이 부분은 모두 이전의 136 00:07:37,680 --> 00:07:39,740 뉴런 영상에서 배웠던 것입니다 137 00:07:39,740 --> 00:07:41,760 결과적으로 칼슘 이온 채널 전압이 138 00:07:41,760 --> 00:07:44,290 충분히 높아지면 139 00:07:44,290 --> 00:07:46,300 칼슘 이온이 유입되게 합니다 140 00:07:46,300 --> 00:07:50,060 칼슘 이온이 유입되면 신경 접합부 막 또는 141 00:07:50,060 --> 00:07:53,950 시냅스 전 세포막 근처의 특별한 단백질과 142 00:07:53,950 --> 00:07:54,850 결합하게 됩니다 143 00:07:54,850 --> 00:07:56,600 여기에 칼슘 이온이 있습니다 144 00:07:56,600 --> 00:08:00,980 칼슘 이온은 소낭에 붙어있던 단백질과 결합합니다 145 00:08:00,990 --> 00:08:08,170 알아둘 점은, 소낭은 신경전달물질 주위에 있던 146 00:08:08,170 --> 00:08:09,420 이런 막들이었습니다 147 00:08:09,420 --> 00:08:13,250 148 00:08:13,250 --> 00:08:17,500 칼슘이 단백질과 결합하게 되면 149 00:08:17,500 --> 00:08:18,840 세포외 배출이 일어나게 됩니다 150 00:08:18,840 --> 00:08:22,850 세포외 배출은 소낭막이 151 00:08:22,850 --> 00:08:25,190 활동성 뉴런의 막과 합쳐지게 하고 152 00:08:25,190 --> 00:08:26,600 결과물이 배출되게 합니다 153 00:08:26,600 --> 00:08:28,670 이 부분은 뉴런 영상의 복습입니다 154 00:08:28,670 --> 00:08:31,470 상세 내용은 해당 영상에 설명했지만 155 00:08:31,470 --> 00:08:32,800 위에서도 보았듯이 156 00:08:32,800 --> 00:08:34,500 모든 신경 전달물질이 배출되게 됩니다 157 00:08:34,500 --> 00:08:38,680 뉴런과 신경 세포 사이에 있는 158 00:08:38,680 --> 00:08:39,440 시냅스에 대해서도 이야기 했었습니다 159 00:08:39,440 --> 00:08:42,080 이곳의 신경전달물질은 아세틸콜린입니다 160 00:08:42,080 --> 00:08:47,130 161 00:08:47,130 --> 00:08:49,320 하지만 수상돌기에서 발생하는 것처럼 162 00:08:49,320 --> 00:08:53,990 근초, 즉 근육세포막의 수용체와 결합되고 163 00:08:53,990 --> 00:08:57,410 근육세포의 소듐 채널을 엽니다 164 00:08:57,410 --> 00:08:58,820 근육세포의 소듐 채널을 엽니다 165 00:08:58,820 --> 00:09:02,330 근육세포에도 뉴런과 같이 166 00:09:02,330 --> 00:09:07,210 그러면 근육세포 막에도 전압 구배가 생기는데 167 00:09:07,210 --> 00:09:11,150 뉴런의 전압 구배와 동일한 역할을 합니다 168 00:09:11,150 --> 00:09:16,240 여기에 아세틸콜린이 생기면 169 00:09:16,240 --> 00:09:17,780 소듐이 근육세포 내로 유입됩니다 그럼 내부는 양극을 띄고 170 00:09:17,780 --> 00:09:20,120 근육세포 내부의 잠재적 동작을 유발합니다 171 00:09:20,120 --> 00:09:22,500 약간의 양극성을 띤 상태입니다 172 00:09:22,510 --> 00:09:26,680 양극 전압이 일정 이상이 되면 173 00:09:26,680 --> 00:09:29,100 전압 게이트를 열게 하고 174 00:09:29,100 --> 00:09:32,380 더 많은 소듐이 유입되게 합니다 175 00:09:32,380 --> 00:09:35,080 그러면 이 부분도 양극을 띄게 됩니다 176 00:09:35,080 --> 00:09:37,180 물론 상황을 반대로 만들 수 있는 포타슘도 있습니다 177 00:09:37,180 --> 00:09:38,870 뉴런에서 일어나는 동작과 매우 유사합니다 178 00:09:38,870 --> 00:09:41,970 결과적으로 이쪽에 소듐 채널이 있고 179 00:09:41,970 --> 00:09:43,170 결과적으로 이쪽에 소듐 채널이 있고 180 00:09:43,170 --> 00:09:44,780 이 활동 전위는 양극을 띄게 됩니다 181 00:09:44,780 --> 00:09:47,710 전압이 충분히 높으면 채널이 열리게 되고 182 00:09:47,710 --> 00:09:49,750 더 많은 소듐이 유입됩니다 183 00:09:49,750 --> 00:09:51,720 그러면 활동 전위가 형성됩니다 184 00:09:51,720 --> 00:09:53,220 그런 후 활동 전위는, 여기에 소듐 채널이 있고 185 00:09:53,230 --> 00:09:57,950 T-소관으로 내려옵니다 186 00:09:57,950 --> 00:10:00,230 뉴런에서 오는 정보는, 추측할 수 있겠지만 187 00:10:00,230 --> 00:10:03,930 활동 전위가 화학적 신호로 바뀌고 188 00:10:03,930 --> 00:10:06,370 이 신호가 다른 활동 전위를 자극해서 189 00:10:06,370 --> 00:10:07,880 T-소관까지 오게 됩니다 190 00:10:07,880 --> 00:10:10,560 매우 흥미로운 부분은 단백질 복합체가 191 00:10:10,560 --> 00:10:13,670 필수적으로 근소포체와 192 00:10:13,670 --> 00:10:17,860 T-소관을 연결한다는 것입니다 193 00:10:17,860 --> 00:10:20,940 이 부분은 여전히 연구 중인 분야로 관심이 있으면 194 00:10:20,940 --> 00:10:23,010 몇 가지 정보를 알려주겠습니다 195 00:10:23,010 --> 00:10:28,600 여기에 큰 박스 하나를 그리겠습니다 196 00:10:28,600 --> 00:10:31,180 단백질 복합체 입니다 197 00:10:31,180 --> 00:10:34,970 각 단백질 이름을 198 00:10:34,970 --> 00:10:36,270 여기에 정리하겠습니다 199 00:10:36,270 --> 00:10:44,170 "protein triadin", "junctin" 200 00:10:44,170 --> 00:10:51,180 "calsequestrin", "ryanodine" 입니다 201 00:10:51,180 --> 00:10:56,290 202 00:10:56,290 --> 00:10:59,550 이들은 T-소관과 근소포체를 203 00:10:59,550 --> 00:11:04,550 연결하는데 관여합니다 204 00:11:04,550 --> 00:11:06,720 하지만 중요한 것은 활동 전위가 이쪽으로 이동 될 때 205 00:11:06,720 --> 00:11:09,880 그래서 충분한 전압이 이 주위에 형성되면 206 00:11:09,880 --> 00:11:16,280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이고 207 00:11:16,280 --> 00:11:17,610 단백질 복합체가 칼슘을 배출하게 합니다 208 00:11:17,610 --> 00:11:20,920 리아노딘이 칼슘을 배출하는 실질적인 부분이라 209 00:11:20,920 --> 00:11:23,930 말하지만, 여기 이 부분에서 210 00:11:23,930 --> 00:11:27,790 촉발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211 00:11:27,790 --> 00:11:30,330 활동 전위가 내려가면 212 00:11:30,330 --> 00:11:31,400 다른 색으로 바꾸겠습니다 213 00:11:31,400 --> 00:11:33,100 보라색을 너무 많이 사용하네요 214 00:11:33,100 --> 00:11:36,980 붉은 색으로 표기하겠습니다 215 00:11:36,980 --> 00:11:40,070 활동 전위가 충분히 올라가면 216 00:11:40,070 --> 00:11:42,260 유입되는 소듐으로 인해 양극을 띄게 되는데 217 00:11:42,260 --> 00:11:45,920 여기 미스터리한 박스, 이 단백질들에 대해서 218 00:11:45,920 --> 00:11:47,100 이 단백질에 대해 219 00:11:47,100 --> 00:11:49,030 웹에서 검색해봐도 됩니다 220 00:11:49,030 --> 00:11:52,570 사람들은 여전히 어떤 식으로 이 박스부분이 221 00:11:52,570 --> 00:11:57,290 근소포체에서 칼슘 이온이 배출되도록 촉진하는지 222 00:11:57,290 --> 00:12:03,870 근소포체 내부의 칼슘이 이온이 모두 223 00:12:03,870 --> 00:12:07,610 근소포체 내부의 칼슘이 이온이 모두 224 00:12:07,610 --> 00:12:10,230 세포질 내부로 배출이 됩니다 225 00:12:10,230 --> 00:12:12,550 그럼 어떤 현상이 일어나게 될까요? 226 00:12:12,550 --> 00:12:14,670 고농도로 축적된 칼슘의 칼슘 이온이 227 00:12:14,670 --> 00:12:16,520 영상 초기에 말한 것처럼 228 00:12:16,520 --> 00:12:18,740 트로포닌과 결합합니다 229 00:12:18,750 --> 00:12:23,390 트로포닌과 결합한 칼슘 이온은 트로포미오신을 제거합니다 230 00:12:23,390 --> 00:12:26,520 전전 영상에 배웠듯이 ATP를 사용하는 미오신이 231 00:12:26,520 --> 00:12:30,050 액틴표면으로 나오고 232 00:12:30,050 --> 00:12:35,030 동시에 신호가 사라집니다 233 00:12:35,030 --> 00:12:39,290 이와 동시에 채널이 닫히고 칼슘 이온 펌프는 칼슘의 농도를 234 00:12:39,290 --> 00:12:41,180 다시 낮춥니다 235 00:12:41,180 --> 00:12:45,070 그럼 수축이 멈추고 236 00:12:45,070 --> 00:12:46,090 근육은 다시 이완됩니다 237 00:12:46,090 --> 00:12:49,070 여기서 핵심은 칼슘 이온 컨테이너는 238 00:12:49,070 --> 00:12:52,440 근육이 이완될 때 필수적으로 칼슘을 세포 내부인 239 00:12:52,440 --> 00:12:55,330 컨테이너 바깥으로 보냄으로써 240 00:12:55,330 --> 00:12:58,830 마이온신이 액틴으로 올라오는 것을 막아 241 00:12:58,830 --> 00:13:00,330 근육이 이완되게 합니다 242 00:13:00,330 --> 00:13:03,190 하지만 다시 신호를 받으면 칼슘 이온이 유입되고 243 00:13:03,190 --> 00:13:06,040 트로포미오신이 트로포닌에 의해 제거되어서 244 00:13:06,040 --> 00:13:11,280 근육 수축이 일어납니다 245 00:13:11,280 --> 00:13:12,480 잘모르겠지만 아무튼 정말 매력적이예요 246 00:13:12,480 --> 00:13:15,320 아직 이 과정이 완벽히 이해되지 않은 것도 247 00:13:15,320 --> 00:13:16,200 그렇고요 248 00:13:16,200 --> 00:13:19,140 생물학자가 되고 싶다면 249 00:13:19,140 --> 00:13:21,360 이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 분야도 250 00:13:21,360 --> 00:13:22,600 아주 흥미로운 분야일 수 있습니다 251 00:13:22,600 --> 00:13:25,740 과학적 관점에서 실제 동작이 어떻게 되는지도 252 00:13:25,740 --> 00:13:27,900 흥미롭지만 253 00:13:27,900 --> 00:13:31,630 이 단백질 기능이 정상적이지 않아서 발생하는 254 00:13:31,630 --> 00:13:34,210 병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255 00:13:34,210 --> 00:13:37,050 어쩌면 이런 동작 메커니즘을 향상시키거나 256 00:13:37,050 --> 00:13:37,770 저하시키는 방법을 찾을 수도 있을 겁니다 257 00:13:37,770 --> 00:13:41,960 활동 전위가 나타나고 258 00:13:41,960 --> 00:13:44,750 칼슘 채널이 열릴 때 259 00:13:44,750 --> 00:13:47,440 정확히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260 00:13:47,440 --> 00:13:48,490 분명히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겁니다 261 00:13:48,490 --> 00:13:50,260 이제 중요한 부분이 남았습니다 262 00:13:50,260 --> 00:13:54,020 운동뉴런이 어떤 식으로 근소포체가 세포질 내의 263 00:13:54,020 --> 00:14:00,240 칼슘 이온 이동을 조절하여 264 00:14:00,240 --> 00:14:03,490 세포의 수축을 자극하는지 265 00:14:03,490 --> 00:14:04,590 알고 있습니다 266 00:14:04,590 --> 00:14:07,240 이 영상 전에 책을 읽고 왔는데 267 00:14:07,240 --> 00:14:09,060 이 펌프들의 동작이 매우 효율적이라고 합니다 268 00:14:09,060 --> 00:14:11,980 신호가 사라지고 게이트가 닫히면 269 00:14:11,980 --> 00:14:16,900 근소포체는 30ms 만에 다시 270 00:14:16,900 --> 00:14:19,070 이온 농도를 정상화 할 수 있습니다 271 00:14:19,070 --> 00:14:22,100 그런 이유로 쉽게 근육 수축을 멈출 수 있죠 272 00:14:22,100 --> 00:14:25,820 펀치를 날렸다가 당기고 쉬는 동작을 273 00:14:25,820 --> 00:14:28,870 순식간에 할 수 있는 이유도 274 00:14:28,870 --> 00:14:33,520 30분의 1초도 안되는 30ms만에 275 00:14:33,520 --> 00:14:34,670 수축을 멈출 수 있기 때문입니다 276 00:14:34,670 --> 00:14:37,500 그럼 다음 영상인 277 00:14:37,500 --> 00:14:40,030 "The Acutal Anatomy of a muscle cell" 에서 278 00:14:40,030 --> 00:14:41,840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79 00:14:41,840 --> 00:14:42,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