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0.000 --> 00:00:00.750 00:00:00.750 --> 00:00:04.480 지난 영상에서 알 수 있듯이 00:00:04.480 --> 00:00:09.040 근육 세포 내에 칼슘 이온 농도가 높아지면 00:00:09.040 --> 00:00:13.500 칼슘 이온은 트로포닌 단백질과 결합하여 00:00:13.500 --> 00:00:18.020 트로포마이오신을 제거하는 형태로 변형이 됩니다 00:00:18.020 --> 00:00:20.580 그러면 미오신 헤드는 00:00:20.580 --> 00:00:23.220 액틴 필라멘트를 따라 서서히 움직이고 00:00:23.220 --> 00:00:24.940 그러면서 근육의 수축이 일어납니다 00:00:24.950 --> 00:00:29.140 고농도 칼슘 혹은 칼슘 이온 축적은 00:00:29.140 --> 00:00:30.850 수축을 발생시킵니다 00:00:30.850 --> 00:00:35.560 저농도 칼슘 이온 축적 상황에서 트로포닌 단백질은 00:00:35.560 --> 00:00:39.060 표준 형태로 트로포마이오신을 00:00:39.060 --> 00:00:42.600 미오신 헤드쪽으로 다시 당깁니다 00:00:42.600 --> 00:00:45.800 그럼 수축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00:00:45.800 --> 00:00:53.740 00:00:53.750 --> 00:00:57.140 그럼 다음 질문은 당연히 어떻게 근육이 00:00:57.140 --> 00:01:00.460 고농도 칼슘 축적에서의 수축과 00:01:00.460 --> 00:01:03.340 저농도 칼슘에서의 이완을 조절하는가 입니다 00:01:03.340 --> 00:01:05.440 좀더 정확한 질문은 신경계가 어떻게 00:01:05.440 --> 00:01:06.780 수축과 이완을 조절하는가 입니다 00:01:06.840 --> 00:01:10.080 신경계는 어떤 식으로 수축하기 위해서 00:01:10.080 --> 00:01:11.540 칼슘 농도를 높여야 하고 이완하기 위해서는 00:01:11.550 --> 00:01:14.010 낮춰야 한다고 근육에게 전달할까요? 00:01:14.010 --> 00:01:17.900 이를 이해하기 위해 이전에 봤던 00:01:17.900 --> 00:01:20.790 뉴런 관련 동영상을 잠깐 리뷰하겠습니다 00:01:20.790 --> 00:01:24.000 축삭의 종말 연결부를 00:01:24.000 --> 00:01:27.500 그려보겠습니다 00:01:27.500 --> 00:01:30.540 다른 뉴런의 수상돌기와 시냅스를 가지는 대신 00:01:30.540 --> 00:01:32.890 실제 근육 세포와 시냅스를 가집니다 00:01:32.890 --> 00:01:35.130 실제 근육 세포와 시냅스를 가집니다 00:01:35.130 --> 00:01:37.145 여기가 실제 근육 세포와의 시냅스입니다 00:01:37.145 --> 00:01:44.420 00:01:44.420 --> 00:01:47.170 이건 실제 근육세포와의 시냅스입니다 00:01:47.170 --> 00:01:50.070 혼동되지 않게 하기위해 각각에 라벨링을 하겠습니다 00:01:50.070 --> 00:01:51.470 이것은 축삭입니다 00:01:51.470 --> 00:01:53.470 축삭말단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00:01:53.470 --> 00:01:57.610 00:01:57.610 --> 00:01:59.040 이것이 시냅스입니다 00:01:59.040 --> 00:02:05.440 00:02:05.440 --> 00:02:08.150 뉴런 영상에서 봤던 용어 중에서 00:02:08.150 --> 00:02:10.210 이 공간은 시냅스 간극이라고 했습니다 00:02:10.210 --> 00:02:13.650 이것은 시냅스전 뉴런입니다 00:02:13.650 --> 00:02:15.460 이 부분은 이미 본적이 있겠지만 00:02:15.460 --> 00:02:16.900 시냅스후 세포입니다 00:02:16.900 --> 00:02:19.040 이 경우 뉴런은 아닙니다 00:02:19.050 --> 00:02:21.090 그리고 이 부분은 00:02:21.090 --> 00:02:30.240 세포 막입니다. 00:02:30.240 --> 00:02:32.540 이후 또는 그 다음 영상에서 00:02:32.540 --> 00:02:34.530 근육세포 해부학에 관해서 00:02:34.530 --> 00:02:35.720 보여줄 예정입니다 00:02:35.720 --> 00:02:37.220 이 부분은 칼슘 이온 축적이 어떤 식으로 00:02:37.230 --> 00:02:39.300 진행되는지 이해하고자 하는 관점에서는 00:02:39.300 --> 00:02:42.810 약간 추상적으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00:02:42.810 --> 00:02:44.060 이것은 근초라고 불립니다 00:02:44.060 --> 00:02:53.580 발음을 어떻게 할지 약간 헷갈리네요 00:02:53.580 --> 00:02:56.120 이것은 근육세포의 막입니다 00:02:56.120 --> 00:02:59.640 바로 여기, 근육세포 막이 안쪽으로 00:02:59.640 --> 00:03:00.980 접혀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00:03:00.980 --> 00:03:04.000 근육세포막 표면을 관찰한다고 하면 00:03:04.000 --> 00:03:05.850 세포 내의 작은 구멍이나 움푹한 모양처럼 00:03:05.850 --> 00:03:09.040 보이는 것이 있습니다. 00:03:09.040 --> 00:03:14.000 이 그림은 횡단면이기 때문에 안으로 접힌 것처럼 보이거나 00:03:14.000 --> 00:03:16.520 바늘 같은 걸로 꾹 찔렀을 때 00:03:16.520 --> 00:03:17.240 보이는 모양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00:03:17.240 --> 00:03:19.100 막이 접힌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00:03:19.100 --> 00:03:20.880 그리고 이 부분은 T-소관입니다 00:03:20.880 --> 00:03:26.360 00:03:26.360 --> 00:03:28.100 T는 "transverse"를 의미합니다. 00:03:28.100 --> 00:03:31.720 세포막 표면을 가로지른다는 겁니다 00:03:31.720 --> 00:03:35.060 이 부분은 이 영상에 정말 중요한 부분이며 00:03:35.060 --> 00:03:36.560 정말로 중요한 세포 기관입니다 00:03:36.560 --> 00:03:37.520 정말로 중요한 세포 기관입니다 00:03:37.520 --> 00:03:42.410 이 세포기관은 근소포체라 불리는 00:03:42.410 --> 00:03:43.890 근육 세포 내부에 있습니다. 00:03:43.890 --> 00:03:54.740 00:03:54.740 --> 00:03:57.700 근세포체 조직은 생김새나 00:03:57.700 --> 00:04:03.180 소포체와의 연관성 면에서 00:04:03.180 --> 00:04:06.750 소포체와 매우유사 하지만, 00:04:06.750 --> 00:04:07.760 이 조직의 주요 기능은 저장입니다 00:04:07.760 --> 00:04:10.400 소포체는 단백질을 생성에 관여하고 00:04:10.400 --> 00:04:14.470 거기에 부착된 리보솜이 있지만 00:04:14.470 --> 00:04:18.860 근소포체는 순수 저장 기관입니다 00:04:18.860 --> 00:04:22.500 근소포체의 기능은 00:04:22.500 --> 00:04:32.920 막에 칼슘 이온 펌프가 있고 이 펌프는 00:04:32.920 --> 00:04:37.530 ATP를 사용해서 동작을 합니다. 00:04:37.530 --> 00:04:42.450 즉 ATP가 들어와서 결합이 되면 00:04:42.450 --> 00:04:52.620 칼슘 이온도 결합이 될 것이고 00:04:52.620 --> 00:04:58.654 ATP가 ADP와 인산염으로 가수분해 되면 00:04:58.654 --> 00:05:01.470 이 단백질의 수준을 변화시키고 00:05:01.470 --> 00:05:04.140 이 단백질의 수준을 변화시키고 00:05:04.140 --> 00:05:05.840 이 변화는 칼슘 이온을 내부로 펌핑합니다 00:05:05.840 --> 00:05:08.230 결과적으로 칼슘이온이 내부로 유입됩니다 00:05:08.230 --> 00:05:12.610 소포체 막의 칼슘 이온 펌프의 실질적 효과는 00:05:12.610 --> 00:05:16.540 근육이 휴식상태일 때 00:05:16.540 --> 00:05:20.700 근소포체 내부의 칼슘 이온 농도가 00:05:20.700 --> 00:05:21.950 매우 높게 유지되게 하는 것입니다 00:05:21.950 --> 00:05:26.630 00:05:26.630 --> 00:05:28.570 칼슘 이온 농도가 높아지면 어떻게 될지 00:05:28.570 --> 00:05:30.180 알고있을꺼라 생각이 되는데 00:05:30.180 --> 00:05:33.010 근육이 수축하게 되면 농축된 칼슘 이온이 00:05:33.010 --> 00:05:37.320 세포질 밖으로 내보내지게 됩니다 00:05:37.320 --> 00:05:42.610 그러면 트로포닌과 결합할 수 있게 되고 00:05:42.610 --> 00:05:45.120 이전 영상에서 이야기했던 모든 동작을 하게 됩니다 00:05:45.120 --> 00:05:49.180 여기서 궁금한 점은 근소포체는 어떻게 칼슘을 00:05:49.180 --> 00:05:51.760 세포질 밖으로 보낼 시점을 인지하는가 입니다 00:05:51.760 --> 00:05:53.140 이 부분은 세포 내부입니다 00:05:53.140 --> 00:06:00.370 00:06:00.370 --> 00:06:06.360 이 부분에는 액틴 필라멘트, 미오신 헤드 00:06:06.360 --> 00:06:09.350 트로포닌, 트로포미오신 등이 전부 00:06:09.350 --> 00:06:12.230 이 환경에 노출됩니다 00:06:12.230 --> 00:06:13.320 바로 이 부분입니다 00:06:13.320 --> 00:06:15.280 충분히 짐작할 수 있겠지만 00:06:15.280 --> 00:06:16.530 분명히 하기 위해 여기에 그리겠습니다 00:06:16.530 --> 00:06:21.480 00:06:21.480 --> 00:06:23.220 매우 개략적으로 그리고 있습니다. 00:06:23.220 --> 00:06:26.040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이후 영상에 보도록 하겠습니다 00:06:26.040 --> 00:06:38.650 00:06:38.650 --> 00:06:40.980 아주 추상적인 그림이지만, 대략적으로 00:06:40.980 --> 00:06:42.640 어떤 일이 진행되는지 보여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00:06:42.650 --> 00:06:45.510 이 뉴런을, 운동 뉴런이라고 하죠 00:06:45.510 --> 00:06:54.380 이 뉴런은 근수축 신호를 보낼겁니다 00:06:54.380 --> 00:06:57.610 우선 어떤 식으로 뉴런 또는 활동전위를 가진 축삭으로 00:06:57.610 --> 00:07:01.100 신호가 전달되는지 알고 있습니다 00:07:01.100 --> 00:07:04.460 소듐 채널이 여기 있다고 하죠 00:07:04.460 --> 00:07:07.410 게이트 전압이 있어서 00:07:07.410 --> 00:07:08.500 약간의 양극을 띄고 있습니다 00:07:08.500 --> 00:07:12.420 그럼 소듐 채널 전압 게이트가 열립니다 00:07:12.420 --> 00:07:16.160 채널이 열리면 더 많은 소듐이 유입됩니다 00:07:16.160 --> 00:07:18.340 그러면 전압이 더 올라가게 됩니다 00:07:18.340 --> 00:07:21.880 그럼 다음 전압 게이트 채널을 열게 되고 00:07:21.880 --> 00:07:25.010 축삭 막으로 지속적으로 전달됩니다 00:07:25.010 --> 00:07:28.410 결과적으로 충분한 전압이 축적이 되면 00:07:28.410 --> 00:07:32.590 칼슘 전압 게이트가 열립니다 00:07:32.590 --> 00:07:36.060 00:07:36.060 --> 00:07:37.680 이 부분은 모두 이전의 00:07:37.680 --> 00:07:39.740 뉴런 영상에서 배웠던 것입니다 00:07:39.740 --> 00:07:41.760 결과적으로 칼슘 이온 채널 전압이 00:07:41.760 --> 00:07:44.290 충분히 높아지면 00:07:44.290 --> 00:07:46.300 칼슘 이온이 유입되게 합니다 00:07:46.300 --> 00:07:50.060 칼슘 이온이 유입되면 신경 접합부 막 또는 00:07:50.060 --> 00:07:53.950 시냅스 전 세포막 근처의 특별한 단백질과 00:07:53.950 --> 00:07:54.850 결합하게 됩니다 00:07:54.850 --> 00:07:56.600 여기에 칼슘 이온이 있습니다 00:07:56.600 --> 00:08:00.980 칼슘 이온은 소낭에 붙어있던 단백질과 결합합니다 00:08:00.990 --> 00:08:08.170 알아둘 점은, 소낭은 신경전달물질 주위에 있던 00:08:08.170 --> 00:08:09.420 이런 막들이었습니다 00:08:09.420 --> 00:08:13.250 00:08:13.250 --> 00:08:17.500 칼슘이 단백질과 결합하게 되면 00:08:17.500 --> 00:08:18.840 세포외 배출이 일어나게 됩니다 00:08:18.840 --> 00:08:22.850 세포외 배출은 소낭막이 00:08:22.850 --> 00:08:25.190 활동성 뉴런의 막과 합쳐지게 하고 00:08:25.190 --> 00:08:26.600 결과물이 배출되게 합니다 00:08:26.600 --> 00:08:28.670 이 부분은 뉴런 영상의 복습입니다 00:08:28.670 --> 00:08:31.470 상세 내용은 해당 영상에 설명했지만 00:08:31.470 --> 00:08:32.800 위에서도 보았듯이 00:08:32.800 --> 00:08:34.500 모든 신경 전달물질이 배출되게 됩니다 00:08:34.500 --> 00:08:38.680 뉴런과 신경 세포 사이에 있는 00:08:38.680 --> 00:08:39.440 시냅스에 대해서도 이야기 했었습니다 00:08:39.440 --> 00:08:42.080 이곳의 신경전달물질은 아세틸콜린입니다 00:08:42.080 --> 00:08:47.130 00:08:47.130 --> 00:08:49.320 하지만 수상돌기에서 발생하는 것처럼 00:08:49.320 --> 00:08:53.990 근초, 즉 근육세포막의 수용체와 결합되고 00:08:53.990 --> 00:08:57.410 근육세포의 소듐 채널을 엽니다 00:08:57.410 --> 00:08:58.820 근육세포의 소듐 채널을 엽니다 00:08:58.820 --> 00:09:02.330 근육세포에도 뉴런과 같이 00:09:02.330 --> 00:09:07.210 그러면 근육세포 막에도 전압 구배가 생기는데 00:09:07.210 --> 00:09:11.150 뉴런의 전압 구배와 동일한 역할을 합니다 00:09:11.150 --> 00:09:16.240 여기에 아세틸콜린이 생기면 00:09:16.240 --> 00:09:17.780 소듐이 근육세포 내로 유입됩니다 그럼 내부는 양극을 띄고 00:09:17.780 --> 00:09:20.120 근육세포 내부의 잠재적 동작을 유발합니다 00:09:20.120 --> 00:09:22.500 약간의 양극성을 띤 상태입니다 00:09:22.510 --> 00:09:26.680 양극 전압이 일정 이상이 되면 00:09:26.680 --> 00:09:29.100 전압 게이트를 열게 하고 00:09:29.100 --> 00:09:32.380 더 많은 소듐이 유입되게 합니다 00:09:32.380 --> 00:09:35.080 그러면 이 부분도 양극을 띄게 됩니다 00:09:35.080 --> 00:09:37.180 물론 상황을 반대로 만들 수 있는 포타슘도 있습니다 00:09:37.180 --> 00:09:38.870 뉴런에서 일어나는 동작과 매우 유사합니다 00:09:38.870 --> 00:09:41.970 결과적으로 이쪽에 소듐 채널이 있고 00:09:41.970 --> 00:09:43.170 결과적으로 이쪽에 소듐 채널이 있고 00:09:43.170 --> 00:09:44.780 이 활동 전위는 양극을 띄게 됩니다 00:09:44.780 --> 00:09:47.710 전압이 충분히 높으면 채널이 열리게 되고 00:09:47.710 --> 00:09:49.750 더 많은 소듐이 유입됩니다 00:09:49.750 --> 00:09:51.720 그러면 활동 전위가 형성됩니다 00:09:51.720 --> 00:09:53.220 그런 후 활동 전위는, 여기에 소듐 채널이 있고 00:09:53.230 --> 00:09:57.950 T-소관으로 내려옵니다 00:09:57.950 --> 00:10:00.230 뉴런에서 오는 정보는, 추측할 수 있겠지만 00:10:00.230 --> 00:10:03.930 활동 전위가 화학적 신호로 바뀌고 00:10:03.930 --> 00:10:06.370 이 신호가 다른 활동 전위를 자극해서 00:10:06.370 --> 00:10:07.880 T-소관까지 오게 됩니다 00:10:07.880 --> 00:10:10.560 매우 흥미로운 부분은 단백질 복합체가 00:10:10.560 --> 00:10:13.670 필수적으로 근소포체와 00:10:13.670 --> 00:10:17.860 T-소관을 연결한다는 것입니다 00:10:17.860 --> 00:10:20.940 이 부분은 여전히 연구 중인 분야로 관심이 있으면 00:10:20.940 --> 00:10:23.010 몇 가지 정보를 알려주겠습니다 00:10:23.010 --> 00:10:28.600 여기에 큰 박스 하나를 그리겠습니다 00:10:28.600 --> 00:10:31.180 단백질 복합체 입니다 00:10:31.180 --> 00:10:34.970 각 단백질 이름을 00:10:34.970 --> 00:10:36.270 여기에 정리하겠습니다 00:10:36.270 --> 00:10:44.170 "protein triadin", "junctin" 00:10:44.170 --> 00:10:51.180 "calsequestrin", "ryanodine" 입니다 00:10:51.180 --> 00:10:56.290 00:10:56.290 --> 00:10:59.550 이들은 T-소관과 근소포체를 00:10:59.550 --> 00:11:04.550 연결하는데 관여합니다 00:11:04.550 --> 00:11:06.720 하지만 중요한 것은 활동 전위가 이쪽으로 이동 될 때 00:11:06.720 --> 00:11:09.880 그래서 충분한 전압이 이 주위에 형성되면 00:11:09.880 --> 00:11:16.280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이고 00:11:16.280 --> 00:11:17.610 단백질 복합체가 칼슘을 배출하게 합니다 00:11:17.610 --> 00:11:20.920 리아노딘이 칼슘을 배출하는 실질적인 부분이라 00:11:20.920 --> 00:11:23.930 말하지만, 여기 이 부분에서 00:11:23.930 --> 00:11:27.790 촉발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00:11:27.790 --> 00:11:30.330 활동 전위가 내려가면 00:11:30.330 --> 00:11:31.400 다른 색으로 바꾸겠습니다 00:11:31.400 --> 00:11:33.100 보라색을 너무 많이 사용하네요 00:11:33.100 --> 00:11:36.980 붉은 색으로 표기하겠습니다 00:11:36.980 --> 00:11:40.070 활동 전위가 충분히 올라가면 00:11:40.070 --> 00:11:42.260 유입되는 소듐으로 인해 양극을 띄게 되는데 00:11:42.260 --> 00:11:45.920 여기 미스터리한 박스, 이 단백질들에 대해서 00:11:45.920 --> 00:11:47.100 이 단백질에 대해 00:11:47.100 --> 00:11:49.030 웹에서 검색해봐도 됩니다 00:11:49.030 --> 00:11:52.570 사람들은 여전히 어떤 식으로 이 박스부분이 00:11:52.570 --> 00:11:57.290 근소포체에서 칼슘 이온이 배출되도록 촉진하는지 00:11:57.290 --> 00:12:03.870 근소포체 내부의 칼슘이 이온이 모두 00:12:03.870 --> 00:12:07.610 근소포체 내부의 칼슘이 이온이 모두 00:12:07.610 --> 00:12:10.230 세포질 내부로 배출이 됩니다 00:12:10.230 --> 00:12:12.550 그럼 어떤 현상이 일어나게 될까요? 00:12:12.550 --> 00:12:14.670 고농도로 축적된 칼슘의 칼슘 이온이 00:12:14.670 --> 00:12:16.520 영상 초기에 말한 것처럼 00:12:16.520 --> 00:12:18.740 트로포닌과 결합합니다 00:12:18.750 --> 00:12:23.390 트로포닌과 결합한 칼슘 이온은 트로포미오신을 제거합니다 00:12:23.390 --> 00:12:26.520 전전 영상에 배웠듯이 ATP를 사용하는 미오신이 00:12:26.520 --> 00:12:30.050 액틴표면으로 나오고 00:12:30.050 --> 00:12:35.030 동시에 신호가 사라집니다 00:12:35.030 --> 00:12:39.290 이와 동시에 채널이 닫히고 칼슘 이온 펌프는 칼슘의 농도를 00:12:39.290 --> 00:12:41.180 다시 낮춥니다 00:12:41.180 --> 00:12:45.070 그럼 수축이 멈추고 00:12:45.070 --> 00:12:46.090 근육은 다시 이완됩니다 00:12:46.090 --> 00:12:49.070 여기서 핵심은 칼슘 이온 컨테이너는 00:12:49.070 --> 00:12:52.440 근육이 이완될 때 필수적으로 칼슘을 세포 내부인 00:12:52.440 --> 00:12:55.330 컨테이너 바깥으로 보냄으로써 00:12:55.330 --> 00:12:58.830 마이온신이 액틴으로 올라오는 것을 막아 00:12:58.830 --> 00:13:00.330 근육이 이완되게 합니다 00:13:00.330 --> 00:13:03.190 하지만 다시 신호를 받으면 칼슘 이온이 유입되고 00:13:03.190 --> 00:13:06.040 트로포미오신이 트로포닌에 의해 제거되어서 00:13:06.040 --> 00:13:11.280 근육 수축이 일어납니다 00:13:11.280 --> 00:13:12.480 잘모르겠지만 아무튼 정말 매력적이예요 00:13:12.480 --> 00:13:15.320 아직 이 과정이 완벽히 이해되지 않은 것도 00:13:15.320 --> 00:13:16.200 그렇고요 00:13:16.200 --> 00:13:19.140 생물학자가 되고 싶다면 00:13:19.140 --> 00:13:21.360 이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 분야도 00:13:21.360 --> 00:13:22.600 아주 흥미로운 분야일 수 있습니다 00:13:22.600 --> 00:13:25.740 과학적 관점에서 실제 동작이 어떻게 되는지도 00:13:25.740 --> 00:13:27.900 흥미롭지만 00:13:27.900 --> 00:13:31.630 이 단백질 기능이 정상적이지 않아서 발생하는 00:13:31.630 --> 00:13:34.210 병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00:13:34.210 --> 00:13:37.050 어쩌면 이런 동작 메커니즘을 향상시키거나 00:13:37.050 --> 00:13:37.770 저하시키는 방법을 찾을 수도 있을 겁니다 00:13:37.770 --> 00:13:41.960 활동 전위가 나타나고 00:13:41.960 --> 00:13:44.750 칼슘 채널이 열릴 때 00:13:44.750 --> 00:13:47.440 정확히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00:13:47.440 --> 00:13:48.490 분명히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겁니다 00:13:48.490 --> 00:13:50.260 이제 중요한 부분이 남았습니다 00:13:50.260 --> 00:13:54.020 운동뉴런이 어떤 식으로 근소포체가 세포질 내의 00:13:54.020 --> 00:14:00.240 칼슘 이온 이동을 조절하여 00:14:00.240 --> 00:14:03.490 세포의 수축을 자극하는지 00:14:03.490 --> 00:14:04.590 알고 있습니다 00:14:04.590 --> 00:14:07.240 이 영상 전에 책을 읽고 왔는데 00:14:07.240 --> 00:14:09.060 이 펌프들의 동작이 매우 효율적이라고 합니다 00:14:09.060 --> 00:14:11.980 신호가 사라지고 게이트가 닫히면 00:14:11.980 --> 00:14:16.900 근소포체는 30ms 만에 다시 00:14:16.900 --> 00:14:19.070 이온 농도를 정상화 할 수 있습니다 00:14:19.070 --> 00:14:22.100 그런 이유로 쉽게 근육 수축을 멈출 수 있죠 00:14:22.100 --> 00:14:25.820 펀치를 날렸다가 당기고 쉬는 동작을 00:14:25.820 --> 00:14:28.870 순식간에 할 수 있는 이유도 00:14:28.870 --> 00:14:33.520 30분의 1초도 안되는 30ms만에 00:14:33.520 --> 00:14:34.670 수축을 멈출 수 있기 때문입니다 00:14:34.670 --> 00:14:37.500 그럼 다음 영상인 00:14:37.500 --> 00:14:40.030 "The Acutal Anatomy of a muscle cell" 에서 00:14:40.030 --> 00:14:41.840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00:14:41.840 --> 00:14:42.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