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이 어떻게 현실을 만들어 내는지 보여주는 예술
-
0:01 - 0:03저는 예술가인 동시에 개발자입니다.
-
0:03 - 0:09또 최근에 어떻게 기술이
우리가 세상을 인지하는 방식을 -
0:09 - 0:11조작하는 지에 관해 고민해 왔습니다.
-
0:12 - 0:16조작은 눈치채지 못하게 하는
미세한 방법으로 진행이 되고 있습니다. -
0:17 - 0:21기술은 진짜 세계인 것처럼 만들어
-
0:21 - 0:25우리의 현실감을 조작합니다.
-
0:25 - 0:30그 결과, 기술이 세상을
조작하고 있다는 것을 -
0:30 - 0:32우리는 의식하지 못하고,
눈치 채지도 못하고 있습니다. -
0:33 - 0:36예를 들어, 제가 평소 끼는
안경이 있는데요. -
0:36 - 0:40이 안경은 제가 보통 주변을
인지하는 것 중 하나가 됩니다. -
0:40 - 0:42저는 제가 안경을 썼다는 것을
잘 알아채지 못해요. -
0:42 - 0:46실제 안경 테두리가 존재하는데도요.
-
0:46 - 0:50제가 얘기하고 있는 기술도
같은 방식으로 구현됩니다. -
0:50 - 0:53우리가 보고 생각하는 방식을
-
0:53 - 0:55눈치 채지 못하도록 바꿉니다.
-
0:56 - 0:59지금, 제가 안경을 쓰고 있다는 것을
유일하게 알아차릴 때는 -
0:59 - 1:02안경에 주의를 빼앗기는
무언가가 있을 때인데요, -
1:02 - 1:06안경이 더럽거나 도수를
바꿔야 할 때 같은 경우입니다. -
1:06 - 1:11그래서 저 자신에게 물어 봅니다.
"예술가로서, 사람들이 눈치채지 못하게 -
1:11 - 1:14우리의 현실을 조작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인 -
1:14 - 1:20뉴스, 소셜 미디어 플랫폼,
-
1:20 - 1:22광고와 검색 엔진에
-
1:22 - 1:24주의를 집중시키기 위해
어떤 걸 만들 수 있을까?" -
1:25 - 1:30그래서 저는 지각 머신의
시리즈 물을 만들었습니다. -
1:30 - 1:33우리가 보는 세계에 대해
-
1:33 - 1:35낯설게 느끼게 하고 의문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말입니다. -
1:37 - 1:43예를 들어, 요즘 많은 사람들은
-
1:43 - 1:45자신과 다른 생각에 대해
알러지 같은 반응을 보입니다. -
1:46 - 1:52아마도 우리가 정신적 알러지가
있다는 것 조차 알아 차리지 못할 겁니다. -
1:53 - 1:58그래서 저는 빨간색에 반응하는 인공 알러지를
만드는 헬멧을 만들어 봤습니다. -
1:58 - 2:03헬멧을 쓰고 빨간색을 보면
점점 크게 보이면서 -
2:03 - 2:04매우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
2:05 - 2:08이 헬멧에는 노시보와
플라시보 모드가 있습니다. -
2:09 - 2:15노시보 모드는 지각적인 경험을
초알러지 반응을 보이도록 합니다. -
2:15 - 2:17빨간 색을 볼 때마다,
색깔이 팽창되어 보입니다. -
2:18 - 2:22소셜 미디어의 증폭 효과와 비슷한데요.
-
2:22 - 2:24여러분을 기분 나쁘게 하는 것을 보면
-
2:24 - 2:27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과
시간을 보내면서 -
2:27 - 2:32메세지와 밈을 주고 받으며
더 화를 돋우게 됩니다. -
2:32 - 2:36가끔, 사소한 얘기가 부풀어지고
-
2:36 - 2:38과장이 됩니다.
-
2:39 - 2:44아마도 그래서 정치에 대한 분노를
안고 사는 건지도 모릅니다. -
2:45 - 2:48플라시보 모드는 알러지에 대한
인공적인 치료방법 입니다. -
2:49 - 2:51빨간 색을 볼 때마다
빨간 색의 크기가 줄어듭니다. -
2:52 - 2:54디지털 미디어 처럼
임시 방편인 방식입니다. -
2:55 - 2:57SNS 상에서 의견이
다른 사람을 마주하면 -
2:57 - 2:59언팔로우를 하고,
-
2:59 - 3:02완전하게 피드를 차단할 것입니다.
-
3:02 - 3:06회피함으로 인해
알러지를 치료하게 됩니다. -
3:06 - 3:10하지만 의도적으로 반대 생각을
무시하는 이 방법은 -
3:10 - 3:14우리의 공동체를 과도하게
해체시키고 분열 시킵니다. -
3:15 - 3:18헬멧 안에 장치는 현실을 재조작하고
-
3:18 - 3:21렌즈를 통해 우리 눈에 투사 시키면
-
3:21 - 3:23가상 현실이 만들어집니다.
-
3:24 - 3:29제가 빨간 색을 고른 이유는
강렬하고 감성적이고, -
3:29 - 3:31가장 눈이 잘 띄고,
-
3:31 - 3:32정치적인 색깔이기 때문입니다.
-
3:32 - 3:34만약 우리가
-
3:34 - 3:37작년 미국 대통령 선거지도를
-
3:37 - 3:38헬멧을 통해 본다면 어땠을까요?
-
3:38 - 3:39(웃음)
-
3:39 - 3:43여러분이 민주당 혹은 공화당 지지자임이
상관 없게 됩니다. -
3:43 - 3:47왜냐하면 보이는 이미지가
지각을 변화시키기 때문입니다. -
3:47 - 3:50이 알러지는 양쪽 모두에서 발생합니다.
-
3:51 - 3:52디지털 미디어에서는
-
3:52 - 3:56우리가 매일 보는 것이
가끔 조작 되지만 -
3:56 - 3:57매우 미세합니다.
-
3:58 - 4:00우리가 이 차이를 눈치채지 않는다면
-
4:00 - 4:05정신적 알러지와 같은 많은 것들에
취약해 질 것입니다. -
4:07 - 4:10우리의 지각은
우리를 이루는 한 부분이기도 하고 -
4:10 - 4:15디지털 미디어에서
가치 사슬의 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
4:16 - 4:20시각 영역은 수 많은 정보들로
가득차 있는데요. -
4:20 - 4:25이 정보들은 자산 가치가
매겨진 것들이죠. -
4:26 - 4:30디자인은 우리의 무의식적인 편견과
-
4:30 - 4:33좋아하는 컨텐츠를 불러오는
알고리즘을 이용합니다. -
4:33 - 4:37이는 광고를 팔기 위해서
-
4:37 - 4:39우리의 눈이 가는 곳곳을
점령하기 위함입니다. -
4:39 - 4:43마치 작은 빨간 색 점이
여러분의 알림 창에서 보일 때, -
4:43 - 4:48이 점은 여러분의 머릿속에서
점점 커지는데, 굉장히 크죠. -
4:49 - 4:52그래서 저는 안경을 더럽히거나
-
4:52 - 4:55안경의 렌즈를 바꾸는 방법 같은 것을
생각하게 되었고, -
4:55 - 4:57또 다른 프로젝트를 만들었습니다.
-
4:57 - 5:01진짜 제품이 아니라, 개념적인
프로젝트라는 것을 염두해 두세요. -
5:02 - 5:04제가 만든 건 웹브라우저
프로그램 인데요. -
5:04 - 5:08우리가 평소에 무시하는 것들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
5:09 - 5:12헬멧처럼, 이 프로그램은
현실을 재창조 하지만 -
5:13 - 5:16이번에는 디지털 미디어 자체를
직접적으로 표현했습니다. -
5:17 - 5:20숨겨져있고, 필터로 걸러진
의견들을 보여 줍니다. -
5:20 - 5:22지금 여러 분들에게 알려져야 할 것들은
-
5:22 - 5:24더 크고 선명해질 겁니다.
-
5:24 - 5:29여기, 고양이 사진들 틈에서 보이는
성 편견과 관련된 이야기 처럼요. -
5:29 - 5:31(웃음)
-
5:31 - 5:36이 플러그-인은 알고리즘으로 증폭된 것을
누그러뜨릴 수 있어요. -
5:37 - 5:39여기에 있는 댓글들 처럼 말이에요.
-
5:39 - 5:42같은 의견들을 이야기 하는
사람들이 정말 많죠. -
5:42 - 5:45이 프로그램은 이런 댓글들을
정말 작게 만듭니다. -
5:45 - 5:46(웃음)
-
5:46 - 5:51그래서 화면에 보이는 픽셀의 양은
-
5:51 - 5:56이 대화에 기여한 실제 가치에
비례해서 보이는 겁니다. -
5:56 - 5:58(웃음)
-
5:59 - 6:03(박수)
-
6:05 - 6:09또한 이 플러그-인은 시각 영역에서의
자산 가치를 보여 줍니다. -
6:09 - 6:12그리고 얼마나 우리의 지각을
상품화 시켰는지 보여 줍니다. -
6:13 - 6:15광고를 막는 프로그램과는 다르게
-
6:15 - 6:17우리가 웹 페이지에서
매일 보는 광고에 대해 -
6:17 - 6:20그 제품을 사려면 여러분이 얼마나
많은 돈을 벌어야 하는지 보여 줍니다. -
6:20 - 6:22(웃음)
-
6:22 - 6:25우리는 현실과
-
6:25 - 6:27현실에 분포되어 있는 광고들 사이에
존재하는 전쟁터에서 살고 있습니다. -
6:27 - 6:32그래서 다음 버전은 광고들을 없애고
-
6:32 - 6:35광고가 없는 현실 자체를
보여줄 겁니다. -
6:35 - 6:37(웃음)
-
6:38 - 6:42(박수)
-
6:43 - 6:47여러분은 정말 갈 수 있는 방향들이
얼마나 많은지 상상할 수 있습니다. -
6:47 - 6:51저를 믿어보세요, 세상이 상품화가 된다면
정말 위험할 거라고 생각해요. -
6:52 - 6:55저는 좋은 의도를 갖고
작품을 만들었습니다. -
6:55 - 6:59우리의 지각을 훈련하고
편견을 제거하기 위해서 말입니다. -
6:59 - 7:03하지만 같은 접근이더라도
나쁜 의도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7:03 - 7:06대중의 목소리를 통제하기 위해
-
7:06 - 7:08시민들에게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강요하는 경우 처럼요. -
7:09 - 7:12또 다른 편견을 만들지 않고
-
7:12 - 7:15프로그램을 공정하고 개인적으로 만드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
7:16 - 7:19이 모든 것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줄까요? -
7:19 - 7:23비록 기술이 고립을 창조했지만,
-
7:23 - 7:27우리는 세계를 다시 연결시키는데
기술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7:27 - 7:30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알고리즘을 깨고
더 나은 것을 만들어야 합니다. -
7:31 - 7:34우리가 어떻게 기술들을
활용할 것인가를 탐색함으로써 -
7:34 - 7:39기계처럼 받아들였던
행동들에서 벗어날 수 있고, -
7:39 - 7:42우리에게 존재하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7:43 - 7:45기술은 중립적인 것이 절대 아닙니다.
-
7:45 - 7:48기술은 현실에 맥락과
프레임을 씌웁니다. -
7:48 - 7:51이점은 문제이기도 하고,
해결책이기도 합니다. -
7:52 - 7:57왜냐하면 우리는 사각지대를 발견할 수 있고
지각을 재훈련 시킬 수 있고, -
7:58 - 8:01결과적으로 서로를 어떻게 바라 보는지
선택하게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8:02 - 8:03감사합니다.
-
8:03 - 8:06(박수)
- Title:
- 기술이 어떻게 현실을 만들어 내는지 보여주는 예술
- Speaker:
- 지아바오 리(Jiabao Li)
- Description:
-
세상을 바라보는 방법을 바꿀 수 있는 것에 대한 강의에서는 디자이너이면서 아티스트인 지아바오 리가 그녀의 컨셉츄얼한 프로젝트를 소개합니다. 디지털 미디어의 내재된 편견에 대해 알리는 프로젝트입니다. 빨간 색에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는 헬멧 부터 인터넷에서 예상치 않은 방법으로 필터화해서 보여주는 웹사이트 플러그-인 까지, 그녀의 작품은 기술이 우리가 현실을 지각하는 방법을 어떻게 조작하는 지를 표현합니다.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Talks
- Duration:
- 08:21
![]() |
Jihyeon J. Kim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Art that reveals how technology frames reality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rt that reveals how technology frames reality | |
![]() |
Jihyeon J. Kim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Art that reveals how technology frames reality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rt that reveals how technology frames reality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rt that reveals how technology frames reality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rt that reveals how technology frames reality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rt that reveals how technology frames reality | |
![]() |
Jihyeon J. Kim rejected Korean subtitles for Art that reveals how technology frames realit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