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이 바다에서 배를 안내하는 방법은? - 죠지 크리스토프(George Christoph)
-
0:16 - 0:19여러분이 상상하듯이, 400년 전에는
-
0:19 - 0:22탁 트인 바다를 항해하기가 힘들었어요.
-
0:22 - 0:26바람과 해류가 배를 밀고 당겨서
진로에서 벗어나게 하죠. -
0:26 - 0:30그래서 뱃사람들은 그들이 떠난
항구를 기준으로 방향을 정합니다. -
0:30 - 0:35배가 나가는 방향과 항해한
거리를 정확히 기록하죠. -
0:35 - 0:38이 과정을 추측 항법이라고 합니다.
-
0:38 - 0:470.5도만 비껴나도 수평선 너머 몇킬로미터나
떨어진 섬을 지나가게 되니까요. -
0:47 - 0:50흔히 저지르는 잘못이죠.
-
0:50 - 0:53고맙게도 세 가지 발명이
근대 항해를 가능하게 만들었어요. -
0:53 - 1:01육분의, 시계, 필요한 계산을
쉽게 빨리 하도록 하는 수학. -
1:01 - 1:08모두 중요하죠. 알맞은 도구가 없으면 많은 뱃사람들이
땅에서 너무 멀리 떨어진 곳으로 항해하기를 꺼려할 겁니다. -
1:08 - 1:11런던에서 기기를 만드는 사람인 존 버드는
-
1:11 - 1:17낮에 태양과 수평선 사이의 각도를
잴 수 있는 기기를 처음 만들었어요. -
1:17 - 1:19육분의라고 하죠.
-
1:19 - 1:26이 각도가 중요해요. 정확히 같은 시각
영국에서 잰 각도와 비교할 수 있기 때문이죠. -
1:26 - 1:32배의 경도를 알려면 두 각도를 비교할 필요가 있어요.
-
1:32 - 1:34다음에 시계가 발명되었어요.
-
1:34 - 1:381761년 영국의 시계 제조업자이자
목수인 존 해리슨이 -
1:38 - 1:42바다에서 정확히 시간이 맞는 시계를 만들었어요.
-
1:42 - 1:48힘든 조건에서 흔들리고 기우뚱거리는 갑판에서
정확히 시간이 맞는 시계가 필요했어요. -
1:48 - 1:53영국 시간을 알기 위해서죠.
-
1:53 - 1:55하지만 문제가 하나 있었어요.
-
1:55 - 1:59그런 시계는 손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아주 비쌌어요. -
1:59 - 2:05그래서 비용을 아끼려고 달까지 거리를 재어서
복잡한 계산을 하는 방법을 자주 썼어요. -
2:05 - 2:11한 번 잴 때마다 배의 위치를 정하려고
계산을 하려면 몇 시간이 걸렸습니다. -
2:11 - 2:18하지만 뱃사람들이 그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이들 도구를 쓰지 않으면 육분의와 시계는 쓸모가 없죠. -
2:18 - 2:24다행히 1600년 아마추어 수학자가
빠진 조각을 발명했어요. -
2:24 - 2:33존 네이피어는 스콧트랜드에 있는 그의 성에서 계산 방법인
로그를 개발하느라 20년 넘게 힘들게 고생했어요. -
2:33 - 2:41로그에 관한 네피어의 생각은 E분의 1과
10의 7승이란 형태로 나타냈죠. -
2:41 - 2:451600년 초기에 대수학은 완전히 개발되지 않았고,
-
2:45 - 2:49네이피어의 로그 1은 0 이 아니었어요.
-
2:49 - 2:55이건 10을 밑으로 하는 로그보다
계산이 훨씬 불편했어요. -
2:55 - 3:00런던 그레샴 대학의
유명한 수학자 헨리 브릭스는 -
3:00 - 3:081614년 네이피어가 한 연구를 읽고는 이듬해
네이피어를 만나러 에딘버러까지 먼 길을 갔죠. -
3:08 - 3:11브릭스는 예고없이 네이피어의 성문에 나타나서
-
3:11 - 3:18네이피어의 로그를 더 쉬운 형태로 바꾸고
밑을 바꾸도록 제안했어요. -
3:18 - 3:23두 사람 다 밑을 10으로 하는
로그 1은 0과 같다고 하면 -
3:23 - 3:26날마다 하는 계산이 아주 쉬워질거라는데
생각을 같이 했죠. -
3:26 - 3:31오늘날 우리는 이걸 브릭스의
상용로그라 부릅니다. -
3:31 - 3:3520세기에 들어 전자계산기를
발명할 때까지 -
3:35 - 3:44크고 작은 숫자의 곱셈, 나눗셈,
거듭제곱, 제곱근을 계산하려면 -
3:44 - 3:47로그를 써야 했습니다.
-
3:47 - 3:50로그의 역사는 수학에만 있는
교훈이 아닙니다. -
3:50 - 3:54성공적인 항해에 필요한
많은 선수들이 있었죠. -
3:54 - 3:58기기 제조자, 천문학자, 수학자,
-
3:58 - 4:00뱃사람까지.
-
4:00 - 4:04창의력은 한 분야에 깊이
들어가는 것만 뜻하지는 않아요. -
4:04 - 4:09창의력은 다른 분야와 교류하는 거죠.
- Title:
- 수학이 바다에서 배를 안내하는 방법은? - 죠지 크리스토프(George Christoph)
- Description:
-
동영상을 다 보려면: http://ed.ted.com/lessons/how-does-math-guide-our-ships-at-sea-george-christoph
바다를 항해했던 우리 선조들이 수학없이 세상을 볼 수 있었을까요? 위대한 수학자들과 그들의 혁신적인 발견은 놀라운 이야기를 담고 있어요. 항해, 모험, 새로운 세상의 역사를 통해 로그가 어떻게 나오게 됐는지 살펴보세요.
조지 크리스토프 강연, 호비잘 애니메이션 만듦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Ed
- Duration:
- 04:19
![]() |
TED Translators admin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does math guide our ships at sea? - George Christoph | |
![]() |
K Bang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How does math guide our ships at sea? - George Christoph | |
![]() |
K Bang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How does math guide our ships at sea? - George Christoph | |
![]() |
K Bang commented on Korean subtitles for How does math guide our ships at sea? - George Christoph | |
![]() |
K B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does math guide our ships at sea? - George Christoph | |
![]() |
K B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does math guide our ships at sea? - George Christoph | |
![]() |
Gemma Le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does math guide our ships at sea? - George Christoph | |
![]() |
Gemma Lee added a transl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