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밀수업자들과 함께한 나의 절박한 여정
-
0:00 - 0:03저는 하자라인입니다.
-
0:03 - 0:07그리고 저희의 고향은
아프가니스탄입니다. -
0:07 - 0:10다른 수많은 하자라인 아이들처럼
-
0:10 - 0:13저는 피난 도중 태어났습니다.
-
0:13 - 0:17하자라인들에 대한
계속되는 박해와 군사작전은 -
0:17 - 0:22저의 부모님이 아프가니스탄을
떠나도록 만들었습니다. -
0:22 - 0:26이 박해는 1800년대 말에 시작되는
긴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
0:26 - 0:29그리고 압둘 라만 왕의 지배에서부터요.
-
0:30 - 0:35그는 하자라인 인구의
63%를 죽였습니다. -
0:35 - 0:38그는 그들의 머리로 탑을 쌓았습니다.
-
0:38 - 0:40많은 하자라인들이 노예로 팔려갔습니다.
-
0:40 - 0:46그리고 다른 많은 이들이 나라를 떠나
이웃나라인 이란과 파키스탄으로 갔습니다. -
0:46 - 0:49제 부모님도 파키스탄으로 가셨고
-
0:49 - 0:52제가 태어난 쿠에타에 정착하셨습니다.
-
0:52 - 0:55쌍둥이 빌딩을 공격한 911 테러 후,
-
0:55 - 0:57저는 아프가니스탄에
가는 기회를 처음으로 얻었고 -
0:57 - 0:59외신 기자들과 함께 가게 되었습니다.
-
0:59 - 1:03저는 고작 열여덟 살에
통역가로 일을 하였습니다. -
1:03 - 1:054년 후에,
-
1:05 - 1:10저는 이주할 수 있을 정도로
아프가니스탄이 안전하다고 생각했습니다. -
1:10 - 1:15그리고 저는 거기서
다큐멘터리 사진작가로 일했습니다. -
1:15 - 1:19그리고 많은 이야기들을 찍었죠.
-
1:19 - 1:21제가 작업했던 이야기들 중
가장 중요했던 건 -
1:21 - 1:24아프가니스탄의 춤추는
소년들이었습니다. -
1:26 - 1:31그것은 끔찍한 전통에 대한
비극적인 이야기입니다. -
1:31 - 1:34군사령관과 사회에서
영향력 있는 자들을 위해 -
1:34 - 1:36춤을 추는 어린 아이들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
1:36 - 1:40이런 소년들은 납치되었거나
가난한 부모에 의해 팔려진 아이들입니다. -
1:40 - 1:43그리고 이 아이들은
성노예로 내몰립니다. -
1:44 - 1:46이 아이의 이름은 슈쿠르입니다.
-
1:46 - 1:49그는 군 지휘관에 의해
수도 카불에서 납치되었습니다. -
1:49 - 1:51그는 다른 지역으로 옮겨졌습니다.
-
1:51 - 1:56그 곳에서 그는 강제적으로 장군들과
그 동료들에게 성노예로 일했습니다. -
1:56 - 1:59이 기사가 워싱턴포스트에 실렸을 때
-
1:59 - 2:01저는 죽음의 위협을 받기 시작했고
-
2:01 - 2:05아프가니스탄을 떠나야만 했습니다.
-
2:05 - 2:08저의 부모님처럼 말이죠.
-
2:08 - 2:11제 가족과 함께 쿠에타로 돌아왔습니다.
-
2:11 - 2:16쿠에타의 상황은 2005년에
제가 떠난 이후 많이 바뀌었습니다. -
2:16 - 2:18한때 하자르인들에게 평화의 장소였지만
-
2:18 - 2:24지금은 파키스탄에서
가장 위험한 도시로 바뀌었습니다. -
2:24 - 2:27하자라인들은 좁은 두 지역에 갇혀
-
2:27 - 2:32사회적, 교육적, 경제적으로
고립되어 있습니다. -
2:32 - 2:33이 사람은 나디르입니다.
-
2:33 - 2:35저는 그를 어릴적부터
알고 지내 왔습니다. -
2:35 - 2:40쿠에타에서 그의 차가 테러리스트의
공격을 받아 부상을 당했습니다. -
2:40 - 2:43그는 이후 부상으로 인해 죽었습니다.
-
2:43 - 2:47약 1,600명의 하자라인들이
-
2:47 - 2:51다양한 공격으로 인해 죽고 있습니다.
-
2:51 - 2:56그리고 약 3,000명의
하자라인들이 부상당하고 있으며 -
2:56 - 2:59그들중 많은 이들이
영원히 불구자가 되었습니다. -
2:59 - 3:02하자라 사회에 대한 공격은
점점 심해지고 있습니다. -
3:02 - 3:05많은 이들이 당연히 떠나길 원합니다.
-
3:05 - 3:10아프가니스탄, 이란, 파키스탄 다음으로
-
3:10 - 3:16호주는 지구상에서 네번째로 가장 많은
하자라인들이 살고 있는 곳입니다. -
3:16 - 3:19파키스탄을 떠나야 할 시기가 왔을 때
-
3:19 - 3:21호주는 확실한 선택처럼 보였습니다.
-
3:21 - 3:23제정적으로 우리 가족중
한명만 떠날 수 있었고 -
3:23 - 3:25제가 가는 것으로 결정되었습니다.
-
3:25 - 3:28내가 만약 안전하게
목적지까지 도착한다면 -
3:28 - 3:33후에 남은 내 가족들이 저와 함께
살 수 있다는 희망을 품었습니다. -
3:33 - 3:35우리 모두는 위험에 대해
알고 있었습니다. -
3:35 - 3:38이 여정이 얼마나 험난한지를 말이죠.
-
3:38 - 3:42그리고 저는 바다에서 사랑하는 이들을
잃어버린 많은 사람들을 만났습니다. -
3:42 - 3:47모든 것을 뒤에 남겨두고 떠나야하는
절망적인 결정이었습니다. -
3:47 - 3:50어느 누구도 이러한 결정을
쉽게 내리지 못합니다. -
3:50 - 3:52만약 제가 호주로 간단히
비행기를 타고 갈 수 있었다면 -
3:52 - 3:5424시간이 채 걸리지 않았을 것입니다.
-
3:54 - 3:59그러나 비자를 받는다는 것은
불가능하였습니다. -
3:59 - 4:03제 여정은 너무나 길었고 복잡했으며
-
4:03 - 4:06훨씬 위험했습니다.
-
4:06 - 4:09비행기로 태국까지 갔고
-
4:09 - 4:13그 후 차와 배로 말레이시아에서
인도네시아로 이동하였습니다. -
4:13 - 4:16사람 밀수업자들에게
계속 돈을 지불하였고 -
4:16 - 4:19숨는데 많은 시간을 보냈으며
-
4:19 - 4:22잡히는 것에 대한 두려움 속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
4:22 - 4:27인도네시아에서 저는 일곱명의
망명신청자 그룹에 들어갔습니다. -
4:27 - 4:29우리 모두는 한 침실을 함께 사용했고
-
4:29 - 4:33보고르라는 자카르타 외곽의
한 마을에서 지냈습니다. -
4:33 - 4:35보고르에서 1주일을 보낸 후
-
4:35 - 4:39제 동료중 세명은 아주
위험한 여정을 위해 떠났고 -
4:39 - 4:43우리는 이틀 후 소식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
4:43 - 4:48크리스마스섬을 행해 가던 낡은 배 한 척이
바다에 가라 앉았다는 것을 말이죠. -
4:48 - 4:53우리의 동료였던 나로즈, 자파,
사비르가 그 중에 있었습니다. -
4:53 - 4:56유일하게 자파만이 구출되었고
-
4:56 - 4:59사비르와 나로즈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
4:59 - 5:04이 일은 내가 옳은 일을 하고 있는가
하는 생각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
5:04 - 5:08저는 계속 앞으로 가는 것 밖에는
다른 선택이 없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
5:08 - 5:11몇주 후, 우리는 밀수업자로 부터
연락을 받았습니다. -
5:11 - 5:16바다로 가는 여정을 시작할
배가 준비되었다고 알려주었습니다. -
5:16 - 5:21한 밤중에 우리가 탈 배로 향하는
모터보트를 탔습니다. -
5:21 - 5:26우리는 너무나 많이 타고 있는
오래된 고기잡이 배에 올랐습니다. -
5:26 - 5:2893명이 있었고
-
5:28 - 5:30우리 모두는 갑판 아래에 있었습니다.
-
5:30 - 5:32어느 누구도 위에 올라오는 것은
허락되지 않았습니다. -
5:32 - 5:35우리는 각각 6천 달러를 지불했습니다.
-
5:35 - 5:37이 배에 타기 위해서 말이죠.
-
5:37 - 5:39첫째날 밤과 낮은
순조롭게 지나갔습니다. -
5:39 - 5:43하지만 둘째날 밤,
날씨가 돌변하였습니다. -
5:43 - 5:48파도가 배에 부딫치고
나무들이 삐걱거렸습니다. -
5:48 - 5:52갑판아래 있던 사람들은 울부짖었고
기도하며 사랑하는 이들을 불렀습니다. -
5:52 - 5:54그들은 절규하고 있었습니다.
-
5:54 - 5:56끔찍한 순간이었습니다.
-
5:56 - 6:00마치 종말의 한 장면과 같았습니다.
-
6:00 - 6:05달리보면 헐리웃 영화의
한 장면처럼 보였습니다. -
6:05 - 6:08모든 것이 산산히 부서지고
-
6:08 - 6:10세계가 끝나가는
헐리웃 영화처럼 말이죠. -
6:10 - 6:13우리에게 실제로
이런 일이 일어났습니다. -
6:14 - 6:17우리는 어떠한 희망도
가질 수 없었습니다. -
6:17 - 6:20우리의 배는 물위의 성냥갑처럼
떠다니고 있었습니다. -
6:20 - 6:22통제불가능한 상태로 말이죠.
-
6:24 - 6:27파도는 저희 배보다 더 높아졌고
-
6:27 - 6:32물은 펌프로 빼는 것보다
더 빠르게 들어왔습니다. -
6:33 - 6:36우리 모두는 희망을 잃었습니다.
-
6:36 - 6:38우리는 이것이 끝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6:38 - 6:42우리는 우리 죽음을 목격하고 있었고
저는 그것을 찍고 있었습니다. -
6:42 - 6:47선장이 우리에게 도착하지 못할 것이라고
-
6:47 - 6:50다시 배를 돌려야 한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
6:50 - 6:52우리는 갑판으로 올라갔습니다.
-
6:52 - 6:54그리고 손전등을 깜빡였습니다.
-
6:54 - 6:59지나가는 배의 주목을 끌기 위해서 말이죠.
-
6:59 - 7:07우리는 구명조끼를 흔들고
호루라기를 불며 주의를 끌었습니다. -
7:07 - 7:10마침내 우리는 작은 섬에 도착했습니다.
-
7:10 - 7:13우리의 배는 바위에 부딫혔고
-
7:13 - 7:16저는 물에 빠졌습니다.
-
7:16 - 7:19이로 인해 제가 기록했던
카메라가 부셔졌습니다. -
7:21 - 7:25하지만 다행히도
메모리카드는 멀쩡하였습니다. -
7:25 - 7:27울창한 숲이 있었습니다.
-
7:27 - 7:33우리는 많은 그룹으로 흩어져서
무엇을 해야할지 논쟁을 하였습니다. -
7:33 - 7:35우리 모두는 겁에
질려있었고 혼란스러웠습니다. -
7:35 - 7:39해변에서 밤을 지낸 후
-
7:39 - 7:41우리는 방파제와 코코넛 열매를
발견하였습니다. -
7:41 - 7:44우리는 근처 리조트에서
배를 한척 불렀습니다. -
7:44 - 7:48그 후 인도네시아 해안 경찰로
빠르게 인계되었습니다. -
7:50 - 7:52세람섬 유치장에서
-
7:52 - 7:57이민국 직원이 와서 은밀히
우리를 알몸 수색을 하였습니다. -
7:57 - 8:01그 직원은 휴대폰, 현금 300달러,
-
8:01 - 8:04신발을 가져갔지만
우리는 도망갈 수 없었습니다. -
8:04 - 8:10그러나 우리는 경비원의 움직임을
살피면서 계속 지켜보았습니다. -
8:10 - 8:14그리고 새벽 4시경에
그들이 난롯불 주위에 앉았을 때 -
8:14 - 8:19우리는 바깥으로 통하는 창문에서
이중 유리를 제거하여 빠져 나왔습니다. -
8:19 - 8:24우리는 유리조각이 박혀 있는
외부 담장 옆 나무에 올라갔습니다. -
8:24 - 8:26우리는 담장 위에 베개를 올려두고
-
8:26 - 8:30팔뚝을 침구로 감쌌습니다.
-
8:30 - 8:32그리고 벽을 타고 넘었고
-
8:32 - 8:35우리는 맨발로 달아났습니다.
-
8:35 - 8:37저는 자유롭게 되었습니다.
-
8:37 - 8:40불확실한 미래와
-
8:40 - 8:42돈도 없이 말이죠.
-
8:43 - 8:49제가 가진거라곤 사진과 장면이
담긴 메모리카드 뿐이었습니다. -
8:49 - 8:52제 다큐멘터리가
SBS Dateline 에서 방송되었을 때 -
8:52 - 8:57많은 친구들이 저의 상황을 알게 되었고
저를 도와주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
8:57 - 9:00그들은 제가 생명이 위험해 지면서까지
배를 타도록 내버려 두지 않았습니다. -
9:00 - 9:05저도 인도네시아에 머물고 UNHCR을 통해
제 일을 처리하기로 했습니다. -
9:05 - 9:09그러나 인도네시아에서 제 삶이
끝나는건 아닌지 정말 두려웠습니다. -
9:09 - 9:12수년동안 아무것도
하지 않고 일도 할 수 없는 -
9:12 - 9:16다른 망명 신청자들 처럼 말이죠.
-
9:16 - 9:19그러나 저에게는 조금 다른
일이 일어났습니다. -
9:19 - 9:24저는 운이 좋았습니다.
-
9:24 - 9:28지인들이 UNHCR을 통해
저의 일을 신속히 처리해주었습니다. -
9:28 - 9:33그리고 저는 2013년 5월에
호주에 정착하였습니다. -
9:33 - 9:37모든 망명 신청자들이
저처럼 운이 좋은건 아닙니다. -
9:37 - 9:45어중간하게 불확실한 운명으로
삶을 살아가는 것은 정말 어렵습니다. -
9:46 - 9:48호주에서 망명 신청자들의 사안은
-
9:48 - 9:51극도로 정치적이어서
-
9:51 - 9:54인간적인 면이 없습니다.
-
9:54 - 10:00망명 신청자들은 악마로 묘사되고
그 후 사람들에게 보여집니다. -
10:00 - 10:05제 이야기와 다른 하자라인들의 이야기가
-
10:05 - 10:08사람들에게 실상을 보여주는
빛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
10:08 - 10:12이 사람들이 본국에서
어떻게 고통을 당하고 있는지 -
10:14 - 10:16얼마나 고통을 받는지
-
10:16 - 10:21왜 그들은 망명을 위해
목숨을 감수하는지 말이죠. -
10:21 - 10:22감사합니다.
-
10:22 - 10:24(박수)
- Title:
- 인간 밀수업자들과 함께한 나의 절박한 여정
- Speaker:
- 바랏 알리 바투어(Barat Ali Batoor)
- Description:
-
포토저널리스트 바랏 알리 바투어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살고 있었습니다. -- 그의 위험한 작업이 그가 나라를 떠나도록 하기 전까지 말이죠. 그러나 하자라인 불리는 난민 민족의 한 일원이었던 바투어에게는 파키스탄으로 이주하는 것 또한 위험했습니다. 그래서 더 안전한 장소를 찾는 것은 비행기 티켓을 사는 것 만큼 간단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그는 인간 밀수업자에게 돈을 주고 배를 타고 망명을 하기 위해 이주자들의 치명적인 해일에 동참합니다. 그는 강력한 사진으로 참혹한 바다 여행을 기록합니다.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Talks
- Duration:
- 10:37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My desperate journey with a human smuggler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My desperate journey with a human smuggler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My desperate journey with a human smuggler | |
![]() |
Jihyeon J. Kim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My desperate journey with a human smuggler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My desperate journey with a human smuggler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My desperate journey with a human smuggler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My desperate journey with a human smuggler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My desperate journey with a human smuggl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