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청나게 복잡한 운동화 해부학 - 앤젤 창(Angel Chang)
-
0:09 - 0:13호주인은 이것을 "러너즈"라고 부르죠.
영국인은 "트레이너즈"로 알고 있죠. -
0:13 - 0:17미국인은 이것을 "테니스 슈즈"
또는 "스니커즈"라고 칭합니다. -
0:17 - 0:21이것을 뭐라고 부르든지 간에
고무창을 댄 이 캐쥬얼화는 -
0:21 - 0:24전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신는 신발입니다. -
0:24 - 0:2719세기 말에 최초로 개발된
-
0:27 - 0:31단순한 캔버스 천과 고무로 된 이 창작품이
길거리에 첫 발을 내디딘 이후로 -
0:31 - 0:33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
0:33 - 0:37오늘날 운동화 소비량은
그 어느 때보다도 높습니다. -
0:37 - 0:41그 중에서도 미국은
최대 운동화 소비국가로 -
0:41 - 0:44평균적으로 1년에 한 사람이
3켤레 씩 구입합니다. -
0:44 - 0:49이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매년
대략 230억 개의 신발이 생산되는데, -
0:49 - 0:53대부분이 중국이나
동남아시아에 있는 공장에서 생산됩니다. -
0:53 - 0:57하지만 신발 제조는 더 복잡해졌고
노동집약적으로 변했으며 -
0:57 - 0:59어떤 면에서는, 이와 연관된 노동자들과
-
0:59 - 1:03우리 지구가 더 위험해 졌습니다.
-
1:03 - 1:05신발 제조업은 패션 산업으로 인한
-
1:05 - 1:09탄소 배출량의 약 5분의 1 정도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1:09 - 1:16운동화만으로도 매년 3억천3백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만들어내는 셈인데, -
1:16 - 1:21이는 6천 6백만 대 차량의 연간
배기가스 배출량과 맞먹는 양 입니다. -
1:21 - 1:24여러분의 신발의 탄소 발자국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
1:24 - 1:27운동화 해부학으로 한번 들어가 봅시다.
-
1:27 - 1:32우선 신발굽, 안창, 중창, 윗창은
-
1:32 - 1:37대부분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라텍스, 그리고 폴리우레탄과 같은 -
1:37 - 1:39합성 섬유로 만들어 집니다.
-
1:39 - 1:44이 재료를 구성하는 화석연료 채굴은
엄청난 양의 온실가스를 배출합니다. -
1:44 - 1:48이러한 원자재를
합성 섬유로 공정하는 작업에서도 -
1:48 - 1:53많은 에너지가 사용되어
대기오염을 더욱 악화시킵니다. -
1:53 - 1:56어떤 운동화의 상부는 가죽과 같은
천연 재료로 만들어집니다. -
1:56 - 1:59그러나 이러한 재료의 무두질은
크로뮴이라는 물질에 의존하는데 -
1:59 - 2:04이는 발암성 화학물질로
민물의 자연 생태를 망가뜨릴 수 있습니다. -
2:04 - 2:07대부분 신발의 겉창은
고무로 만들어지는데 -
2:07 - 2:10이는 '가황'이라고 불리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
2:10 - 2:14이 기술은 과열된 생고무에 유황을 넣어
-
2:14 - 2:18탄력 있으면서도
튼튼한 재료를 만들어 냅니다. -
2:18 - 2:22최근까지만 해도, 이 과정에서
운동화에 천연 고무를 사용했습니다. -
2:22 - 2:25그러나 오늘날 대부분의 겉창은
-
2:25 - 2:30천연 고무와 석탄, 기름의 부산물의
합성 혼합물로 만들어 집니다. -
2:30 - 2:35이러한 재료를 생산하는 과정은
운동화 탄소 발자국의 20%를 차지합니다. -
2:35 - 2:40그러나 신발로 인한 탄소 영향의 3분의 2이상은
다음 과정이 차지합니다: -
2:40 - 2:42바로 제조 공정입니다.
-
2:42 - 2:46일반적인 운동화 한 짝은
65개의 개별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
2:46 - 2:49각각의 부품은
특수화된 기계에 의해 생산됩니다. -
2:49 - 2:54이는 공장의 입장에서는
모든 부품을 한 곳에서 제작하는 것보다 -
2:54 - 2:57부품을 개별적으로 대량 생산하는 것이
비용이 적게 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2:57 - 3:01그러나 이 개별 부품을 한 조립 공장으로
실어나르기 위해 필요한 운송 수단이 -
3:01 - 3:05훨씬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게 됩니다. -
3:05 - 3:08부품들이 조립 라인에 도착하고 나면,
-
3:08 - 3:13자르고, 붓고, 녹이고, 굽고, 식히고
그리고 붙이는 과정을 거쳐 -
3:13 - 3:17함께 봉합하면 되는
최종 제품으로 완성됩니다. -
3:17 - 3:21일반적인 운동화 한 짝을 조립하는 데에는
360번 이상의 단계가 필요하고 -
3:21 - 3:27이 과정은 운동화로 인한 환경 영향의
남은 20%를 차지합니다. -
3:27 - 3:31공장의 분산은 또 다른 문제를
부채질합니다. -
3:31 - 3:33바로 노동 학대입니다.
-
3:33 - 3:36대부분의 기업들은 공장을
소유하거나 운영하지는 않습니다. -
3:36 - 3:39그렇기 때문에 기업과 일하는 공장들은
-
3:39 - 3:42노동자 보호법이 거의 없는
나라들에 있습니다. -
3:42 - 3:46그 결과로 많은 노동자들이
최저 생활 임금 이하의 급여를 받으며 -
3:46 - 3:50독성 접착제 매연과 같은
해로운 화학성분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
3:50 - 3:52제조 과정이 완료되면
-
3:52 - 3:56신발들은 포장되어
전세계의 매장으로 수송됩니다. -
3:56 - 3:59대부분의 경우 이 신발들은
오랫동안 신을 수 있습니다. -
3:59 - 4:02그러나 일주일에
20마일을 뛰는 사람이라면 -
4:02 - 4:06운동화는 대략 6개월 후면
닳기 시작할 것입니다. -
4:06 - 4:10신발은 여러가지 다른 재료들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
4:10 - 4:14재활용품으로 분해 하기는
거의 불가능 합니다. -
4:14 - 4:19이러한 신발의 20%는 소각되고
나머지는 쓰레기 매립지에 버려지는데 -
4:19 - 4:23거기서 분해되는 데는
1,000년까지 걸릴 수 있습니다. -
4:23 - 4:25그렇다면 우리가 어떻게 해야
-
4:25 - 4:28운동화에 대한 사랑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필요 간의 균형을 이룰 수 있을까요? -
4:28 - 4:31첫째, 디자이너들은
디자인 요소를 간소화하고 -
4:31 - 4:34친환경 소재에 주력해야 합니다.
-
4:34 - 4:38공장들은 제조 단계와 운동화 부품을
통합하여 에너지 효율이 높은 -
4:38 - 4:41제조 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습니다.
-
4:41 - 4:44그리고 소비자들은 청정 에너지와
-
4:44 - 4:47윤리적 제조 공정을 따르는
회사를 지지해야 합니다. -
4:47 - 4:50또한 우리는 신발을 조금 덜 구매하고,
조금 더 오래 신으며, -
4:50 - 4:53더 이상 필요 없는 신발을
기부할 수 있습니다. -
4:53 - 4:55여러분이 어떤 스타일이든 간에
-
4:55 - 4:59우리 모두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해
발걸음을 옮길 수 있습니다.
- Title:
- 엄청나게 복잡한 운동화 해부학 - 앤젤 창(Angel Chang)
- Speaker:
- 앤젤 창
- Description:
-
전체 강의 보기: https://ed.ted.com/lessons/the-life-cycle-of-a-sneaker-angel-chang
호주인은 이것을 "러너즈"라고 부릅니다. 영국인은 이것을 "트레이너즈"라고 알고 있죠. 미국인은 이것을 "스니커즈"라고 칭합니다. 이걸 뭐라고 부르든지 간에, 이 캐쥬얼 신발은 전 세계의 수많은 사람들이 신는 신발입니다. 오늘날, 대략 230억 개의 신발이 매년 생산됩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어떻게 해야 운동화에 대한 사랑과 지속 가능성에 대한 필요 간의 균형을 이룰 수 있을까요? 앤젤 창은 신발 제조업이 어떻게 우리 지구에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강의: 엔젤 창
연출 & 애니메이션: 엘라 돕슨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Ed
- Duration:
- 05:03
![]() |
Jihyeon J. Kim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The wildly complex anatomy of a sneaker | |
![]() |
Jihyeon J. Kim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The wildly complex anatomy of a sneaker | |
![]() |
NAYEUN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wildly complex anatomy of a sneaker | |
![]() |
NAYEUN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wildly complex anatomy of a sneaker | |
![]() |
NAYEUN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wildly complex anatomy of a sneaker | |
![]() |
NAYEUN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wildly complex anatomy of a sneaker | |
![]() |
NAYEUN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wildly complex anatomy of a sneaker | |
![]() |
NAYEUN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wildly complex anatomy of a sneak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