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어증: 말을 잊어버리는 장애 |수잔 워트만-주트(Susan Wortman-Jutt)
-
0:07 - 0:12언어는 우리가 종종 당연시하는
우리 삶에서 정말 중요한 일부입니다. -
0:12 - 0:15언어를 사용하여, 우리는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전달하고 -
0:15 - 0:17소설속으로 빠져들기도 하며
-
0:17 - 0:19문자메세지를 보내고
-
0:19 - 0:21친구들에게 인사합니다.
-
0:21 - 0:25생각을 말로 바꾸지 못하는 것은
상상히기 힘듭니다. -
0:25 - 0:29하지만 당신의 뇌 속
섬세한 언어의 망이 -
0:29 - 0:34뇌졸증, 병 혹은 트라우마로 분열된다면
-
0:34 - 0:37여러분은 정말로
말문이 막힐 수 있습니다. -
0:37 - 0:44실어증이라고 하는 이 장애는
의사소통의 모든 면을 약화시킵니다. -
0:44 - 0:47실어증을 겪는 사람들의
지능은 그대로입니다. -
0:47 - 0:49본인이 무엇을 말하고
싶은지 알고 있지만 -
0:49 - 0:52항상 정확하게 말을 하는 건 아닙니다.
-
0:52 - 0:57이들은 의도치 않게 다른 말을 하는데
이를 '착어증'이라 합니다, -
0:57 - 1:00"개"를 "고양이"로 말하는 것과 같이
관련된 단어로 바꾸거나 -
1:00 - 1:06"하우스"를 "호스"로 말하듯
발음이 유사한 단어로 바꿔 말하죠. -
1:06 - 1:09때론, 실어증환자의 말은
이해하기 어려울 때도 있습니다. -
1:09 - 1:14이처럼 여러 종류의 실어증은
두 개의 범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1:14 - 1:16달변 실어증, 혹은 수용실어증과
-
1:16 - 1:20유창하지 않은 실어증,
다시 말해, 표현실어증이 있습니다. -
1:20 - 1:24달변 실어증의 사람들은 일반적인
억양을 가질진 몰라도 -
1:24 - 1:26의미없는 말을 합니다.
-
1:26 - 1:30그들은 다른 사람들의
말을 이해하기 힘들어하며 -
1:30 - 1:34종종 자신이 어떻게 잘못
말하고 있는지 인식하지 못합니다. -
1:34 - 1:36반면, 유창하지 않은 실어증을
겪는 사람들은 -
1:36 - 1:38말은 잘 이해할 진 몰라도
-
1:38 - 1:43단어선택에 오랜 고민을 할 것이며
문법적인 오류도 일으킬 겁니다. -
1:43 - 1:47단어가 생각이 안날 때 우리는 이따금씩
-
1:47 - 1:48말이 혀끝에서 도는
현상을 느껴봤습니다. -
1:48 - 1:53하지만 실어증은 간단한 일상용품들도
말하기 힘들게 합니다. -
1:53 - 1:57읽기와 쓰기 조차 어려울 수
있으며 짜증날 수 있죠. -
1:57 - 1:59그렇다면 어떻게
이런 증상이 발생하는 걸까요? -
1:59 - 2:02인간의 두뇌는 두 개의
반구로 이뤄져있습니다. -
2:02 - 2:06대부분 사람들의 좌뇌는
언어를 담당합니다. -
2:06 - 2:08우리는 이 사실을
1861년 내과의사인 폴 브로카가 -
2:08 - 2:11유일하게 "tan" 이라는 단어만을
-
2:11 - 2:16사용하지 못하는 환자를 연구한 것
덕분에 알고 있습니다. -
2:16 - 2:18그 환자가 죽은 뒤 실시된 연구에서
-
2:18 - 2:21브로카는 환자의 좌뇌에서
-
2:21 - 2:24이제는 '브로카 영역' 로 알려진
커다란 병소를 발견했습니다. -
2:24 - 2:28오늘날의 과학자들은
브로카 영역이 물체를 명명하고 -
2:28 - 2:31언어능력과 관련된 근육을 조절하는데
관여하고 있다고 믿습니다. -
2:31 - 2:36브로카 영역 뒤 청각 피질 근처엔
'베르니케 영역'이 있습니다. -
2:36 - 2:39뇌가 단어의 의미를
음성에 붙이는 부분이죠. -
2:39 - 2:43베르니케영역의 손상은 언어를 이해하는
뇌의 능력을 약화시킵니다. -
2:43 - 2:48실어증은 언어를 전담하는 이 영역 중
하나 혹은 모두가 손상될 때 생깁니다. -
2:48 - 2:51다행히도, 우리 뇌에는
-
2:51 - 2:53이 영역들을 도와주고
-
2:53 - 2:55대화하는 것을 도와줄 수 있는
다른 영역들이 있습니다. -
2:55 - 2:59심지어 움직임 제어하는 뇌영역들도
언어와 연결이 되어있습니다. -
2:59 - 3:04기능적자기공명영상(FMRI) 연구들은
우리가 "달리기" 혹은 "춤" 과같은 -
3:04 - 3:08단어들을 들었을 때,
이에 반응하여 뇌의 일부에서 -
3:08 - 3:11실제로 몸이 달리거나 춤 추듯이
빛이 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
3:11 - 3:14우뇌 역시 의사소통을 도와줍니다,
-
3:14 - 3:17말할 때의 리듬과 억양을 향상시켜주죠.
-
3:17 - 3:21이렇게 의사소통과 관련없는 영역들은
종종 대화에서 어려움을 겪는 -
3:21 - 3:23실어증의 사람들을 도와줍니다.
-
3:23 - 3:26그렇다면 실어증은 얼마나 흔할까요?
-
3:26 - 3:29대략 미국에서만 100만명의
실어증 환자가 있으며 -
3:29 - 3:33매년 8만 건의 새로운 사례들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
3:33 - 3:36뇌졸중을 극복한 이들 중
3분의 1이 실어증을 겪습니다. -
3:36 - 3:38이는 파킨슨병이나
-
3:38 - 3:40아직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
-
3:40 - 3:42다발성 경화증 보다도 더 흔합니다.
-
3:42 - 3:48'1차 진행성 실어증' 혹은 PPA로
알려진 드문 형태의 실어증이 있습니다. -
3:48 - 3:51이는 뇌졸증이나 뇌 부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
3:51 - 3:53치매의 한 형태이며
-
3:53 - 3:56실어증의 첫 번째 증상이죠.
-
3:56 - 4:01PPA 치료의 목적은
치매증상이 실제로 발생하기 전에 -
4:01 - 4:05가능한 오래 의사 기능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
4:05 - 4:08하지만, 실어증이 뇌졸증이나
뇌 외상으로 발생한다면 -
4:08 - 4:12대화 요법을 통해
언어능력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
4:12 - 4:16'뇌 가소성' 은 우리 뇌가 스스로를
치유하는 능력입니다. -
4:16 - 4:18이는 뇌의 병소 주변 영역들이
회복하는 도중에 -
4:18 - 4:22몇몇 역할들을 대신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죠. -
4:22 - 4:26학자들은 뇌졸중 환자의 뇌 가소성을
촉진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며 -
4:26 - 4:31새로운 형태의 기술의
실험들을 진행해왔습니다, -
4:31 - 4:35반면 실어증을 겪는 사람들은
여전히 외로이 있습니다, -
4:35 - 4:40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말할 시간을 주지 않을까 두려워하고있죠 -
4:40 - 4:44그들에게 어떤 방식이든 대화를 위해
시간과 유연성을 제공함으로써 -
4:44 - 4:47여러분은 실어증이란 한계를 넘어서
-
4:47 - 4:50대화의 문을 다시 열도록
도와 줄 수 있습니다.
- Title:
- 실어증: 말을 잊어버리는 장애 |수잔 워트만-주트(Susan Wortman-Jutt)
- Description:
-
전체 강의 보기: http://ed.ted.com/lessons/aphasia-the-disorder-that-makes-you-lose-your-words-susan-wortman-jutt
언어는 우리가 종종 당연시하는 우리 삶에서 정말 중요한 일부입니다. 하지만 여러분의 뇌 속 섬세한 언어의 네트워크가 뇌졸중, 병, 혹은 트라우마로 손상된다면, 여러분은 말을 잊어버리는 본인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수잔 워트만-주트가 대화의 모든 측면을 손상 시킬 수 있는 실어증에 대해 설명합니다.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Ed
- Duration:
- 05:11
![]() |
Jihyeon J. Kim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Aphasia: The disorder that makes you lose your words - Susan Wortman-Jutt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phasia: The disorder that makes you lose your words - Susan Wortman-Jutt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phasia: The disorder that makes you lose your words - Susan Wortman-Jutt | |
![]() |
Jihyeon J. Kim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Aphasia: The disorder that makes you lose your words - Susan Wortman-Jutt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phasia: The disorder that makes you lose your words - Susan Wortman-Jutt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phasia: The disorder that makes you lose your words - Susan Wortman-Jutt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phasia: The disorder that makes you lose your words - Susan Wortman-Jutt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phasia: The disorder that makes you lose your words - Susan Wortman-Jut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