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명이 (좋든 나쁘든) 역사를 어떻게 바꾸는가? - 케네스 데이비스(Kenneth C. Davis)
-
0:16 - 0:19이 강의는 세상을 바꾼 발명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
0:19 - 0:2310시간 동안 해야 하는 일을 한시간으로 줄일 수 있는 기계를 상상해 보세요.
-
0:23 - 0:28엄청나게 효율적이라서 사람들이 다른 일을 할 수 있도록 해방시켜주는 기계요.
-
0:28 - 0:30일종의 개인용 컴퓨터 같은거 말이죠.
-
0:30 - 0:33하지만 제가 말씀드리려는 기계는 그런 것은 전혀 아닙니다.
-
0:33 - 0:37사실 그 반대의 경우죠.
-
0:37 - 0:441700년대 말에 미국은 새로운 헌법아래 이제 겨우 공화국으로써 첫 발을 떼고 있었죠.
-
0:44 - 0:49노예제도는 미국 생활사의 비극적인 사실입니다.
-
0:49 - 0:54죠지 워싱톤과 토마스 제퍼슨은 둘 다 대통령이 되었을 때 노예를 소유하고 있었어요.
-
0:54 - 1:01이 특이한 제도는 자신들이 혁명으로 싸워 지켜온 사상과 원칙에 위배된다는 점을 알았지만
-
1:01 - 1:07두 사람은 노예제도가 19세기가 열릴 때쯤은 사라질거라고 생각했습니다.
-
1:07 - 1:11물론 그건 엄청나게 잘못된 생각이었어요.
-
1:11 - 1:13그 이유는 발명 때문이었습니다.
-
1:13 - 1:16아마 초등학교때 들어보신 기계의 발명이었죠:
-
1:16 - 1:19엘리 휘트니의 목화 조면기 말이죠.
-
1:19 - 1:26예일대학 졸업생이던 28세의 휘트니는 1793년 사우스 캐롤라이나에 개인교사로 일하러 옵니다.
-
1:26 - 1:31그 지역 농장주들로 부터 목화를 손질하는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겠죠.
-
1:31 - 1:36목화에서 씨를 떼어내는 일은 단순하지만 시간이 많이 걸리는 일이었어요.
-
1:36 - 1:40손으로 작업하면 한 명의 노예가 하루에 약 1파운드(450그램) 정도 손질을 했죠.
-
1:40 - 1:43그런데 산업혁명이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
1:43 - 1:45수요는 증가하고 있었구요.
-
1:45 - 1:51영국과 뉴잉글랜드 지방의 대형 공장들은 대량으로 옷을 생산하기 위해서 목화가 절실하게 필요했어요.
-
1:51 - 1:58전해지는 바로는 , 휘트니가 어느 순간 "바로 이거야"라며 목화 조면기를 발명해 냈다는 겁니다.
-
1:58 - 2:04사실 목화 조면기는 그 이전에도 수백년이나 있었지만 크기가 작고 비효율적이었답니다.
-
2:04 - 2:121794년 휘트니는 단지 이미 있던 조면기를 개선해서 자신의 "발명품"으로 특허를 냈던거죠:
-
2:12 - 2:18이 기계는 크기는 작았지만 목화 한다발을 넣고 크랭크를 돌리면 솜에서 씨를
-
2:18 - 2:19기계적으로 분리해 내는 것이었어요.
-
2:19 - 2:27이 기계로 한 사람의 노동자가 나중에는 하루에 300파운드에서 천 파운드까지 손질을 할 수 있었습니다.
-
2:27 - 2:331790년 미국에서는 매년 약 3,000 베일를 생산했었어요.
-
2:33 - 2:361 베일은 약 500 파운드쯤 됩니다.
-
2:36 - 2:401801년까지 이 목화 조면기가 퍼지면서
-
2:40 - 2:44목화 생산은 1년에 십만 파운드까지 증가했습니다.
-
2:44 - 2:471812년 전쟁의 화마가 지난 후에도
-
2:47 - 2:52생산량은 1년에 40만 파운드까지 이르렀습니다.
-
2:52 - 2:571803년 미국이 루이지애나를 사들이면서 영토를 확장하여
-
2:57 - 3:03연간 생산은 4백만 베일까지 폭발적으로 늘었어요. 목화가 왕이었습니다.
-
3:03 - 3:08그건 다른 모든 미국 생산량을 합친 것보다도 더 많았어요.
-
3:08 - 3:12미국 경제 생상량의 약 3/5를 차지한 겁니다.
-
3:12 - 3:17그런데 노동력의 필요가 줄어들기는 커녕, 목화 조면기 때문에 노동력이 더 필요해진 겁니다.
-
3:17 - 3:21제왕같은 목화를 재배하고 수확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노예가 필요했던거죠.
-
3:21 - 3:28목화 조면기와 북부지역과 영국 공장으로부터의 요구는 미국 노예제도의 과정을 되살려 놓았습니다.
-
3:28 - 3:351790년 미국 최초의 인구 조사에 의하면 거의 70만명의 노예가 있었습니다.
-
3:35 - 3:402년 후인 1810년이 되자 미국에서는 노예 거래가 금지되었지만
-
3:40 - 3:43그 숫자는 백만을 훌쩍 뛰어 넘었습니다.
-
3:43 - 3:501860년까지의 그 후 50년간, 노예 숫자는 4백만명까지 치솟았습니다.
-
3:50 - 3:53내전의 전조였지요.
-
3:56 - 4:00휘트니는 수 많은 발명가와 같은 운명의 길을 갑니다.
-
4:00 - 4:06특허를 냈음에도, 다른 농장주들은 손쉽게 복제 기계를 만들어내거나 자신들이 개선한 기계를 만들어 냈어요.
-
4:06 - 4:09여러분은 아마 그의 디자인이 도용됐다고 하실지도 모르겠습니다.
-
4:09 - 4:14휘트니는 미국을 변화시킨 이 기계에서 거의 돈을 벌지 못했어요.
-
4:14 - 4:17하지만 좀 더 큰 그림을 보면, 더 큰 의문은
-
4:17 - 4:20우리는 목화 조면기에서 무엇을 얻었는가? 하는 것입니다.
-
4:20 - 4:24역사는 발명이 양날의 검과도 같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
4:24 - 4:27때론 발명이 의도하지 않았던 결과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는거죠.
-
4:27 - 4:34산업혁명 시기의 공장들은 혁신과 미국 경제의 붐을 일으켰습니다.
-
4:34 - 4:37하지만 그들은 또한 미성년 노동에 의지하기도 했고,
-
4:37 - 4:431911년 100여명의 여성이 사망한 Triangle Shirtwaist 화재와 같은 비극을 만들어내기도 했어요.
-
4:45 - 4:48일회용 기저귀는 부모들의 삶을 쉽게 해주기는 했지만
-
4:48 - 4:51기저귀 배달 회사를 궤멸시키기도 했죠.
-
4:51 - 4:55게다가 사람들이 더러운 기저귀로 꽉 찬 매립지가 생기는 것을 바라겠습니까?
-
4:55 - 5:01물론 아인슈타인의 특별한 방정식이 가능성의 세상을 열기는 했지만,
-
5:01 - 5:04그 하나가 히로시마였다면요....
- Title:
- 발명이 (좋든 나쁘든) 역사를 어떻게 바꾸는가? - 케네스 데이비스(Kenneth C. Davis)
- Description:
-
전체 영상 보기: http://ed.ted.com/lessons/how-inventions-change-history-for-better-and-for-worse-kenneth-c-davis
1793년에 발명된 목화 조면기는 역사를 영원히 나쁜 쪽으로 바꾸었다. 노동자 10명이 1하던 일을 한사람이 할 수 있게 만듦으로써, 미국 남부에 부와 권력을 가져다 주었던 새로운 산업의 동역이 되었다. -- 하지만, 비극적이게도, 그건 노예 노동의 필요를 늘려 노예 제도가 더 오래 지속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케네스 데이비스는 혁신을 극찬하면서도 한편 우리에게 의도하지 않았던 결과에 대한 경고를 보낸다.
강연: 케네스 데이비스(Kenneth C. Davis)
동영상: 서니 브라운(Sunni Brown)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Ed
- Duration:
- 05:15
![]() |
Dimitra Papageorgiou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How inventions change history (for better and for worse) - Kenneth C. Davis | |
![]() |
Retired user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How inventions change history (for better and for worse) - Kenneth C. Davis | |
![]() |
Retired user commented on Korean subtitles for How inventions change history (for better and for worse) - Kenneth C. Davis | |
![]() |
Retired u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inventions change history (for better and for worse) - Kenneth C. Davis | |
![]() |
K B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inventions change history (for better and for worse) - Kenneth C. Davis | |
![]() |
K Bang added a transl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