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ther (2009) - The Telephoto Profile Shot
-
0:00 - 0:01안녕하세요, 전 토니이고
-
0:01 - 0:03이것은 "에브리 프레임 어 페인팅"입니다,
-
0:03 - 0:05저는 여기서 영화 형식을 분석하죠
-
0:05 - 0:07사실 인터넷에 영화 내용이나 주제를
-
0:07 - 0:09깊이있게 다루는 영상은 많지만,
-
0:09 - 0:11하지만 전 우리가 실제 형식에 대해선
무언가 놓치고 있다고 생각해요 -
0:11 - 0:13영상과 소리 말이죠
-
0:18 - 0:20어쨌거나, 오늘 제가 얘기하고픈 영화는
-
0:20 - 0:22기술과 예술이 어우러진 한 멋진 예입니다
-
0:22 - 0:25이 영화는 봉준호 감독의 "마더" (2009)인데요
-
0:25 - 0:26아직 보지 못 하셨다면
-
0:26 - 0:28영화는 엉뚱한 남자에 대한
살인 미스터리라고 말씀드릴 수 있구요 -
0:28 - 0:29그리고 봉준호를 모르신다면?
-
0:29 - 0:30끝내주는 감독입니다
-
0:30 - 0:32진심으로 최고예요
-
0:32 - 0:35경고드리자면, 영화에 대한 주요 스포를 포함하고 있으니
-
0:35 - 0:38스포당하고 싶지 않으시다면,
이 영상을 끄고 영화를 보러 가세요 -
0:38 - 0:39준비됐나요? 좋아요
-
0:45 - 0:48그래서 제가 오늘 논의하고자 하는 것은
서로 조합된 두 가지 기술입니다 -
0:48 - 0:51첫째는 스토리의 중요한 순간을 측면으로 담는 것이고
-
0:51 - 0:54둘째는 그 숏을 망원 렌즈로 찍는 것입니다
-
0:54 - 0:57일반적으로 배우를 촬영한다고 하면,
그들의 얼굴을 비추고 싶겠죠 -
0:57 - 0:59만약 카메라를 정면으로 놓으면
-
0:59 - 1:02배우의 감정을 이해하거나
공감하기에 더 좋아집니다 -
1:02 - 1:04만약 얼굴 측면을 가지고 장난을 치면
-
1:04 - 1:05뭔가 좀 낯설어집니다
-
1:05 - 1:07삭막한 면이 있죠
-
1:07 - 1:08이 그림처럼요
-
1:10 - 1:11이와 대조되구요
-
1:13 - 1:15세상에, 그만해, 아 좀!
-
1:16 - 1:17그래서 이상한 부분은 이겁니다
-
1:17 - 1:19망원렌즈를 사용해
-
1:19 - 1:20공간을 압축하는 경우
-
1:20 - 1:22영화에선 항상 클로즈업에서 그리 하죠
-
1:22 - 1:23그게 더 돋보이고
-
1:23 - 1:26배경을 죽여서 초점이 나간 멋진 느낌을 주니까요
-
1:26 - 1:27하지만 그걸 측면에서 사용하면,
-
1:27 - 1:29그다지 아름다운 숏이 되지 못 합니다
-
1:29 - 1:30무언가 가려져요
-
1:30 - 1:32거기다 쉐이키캠 효과를 좀 더하면,
-
1:32 - 1:34겨우 알아보는 수준이 되죠
-
1:34 - 1:36이 영화의 주요 순간들은 많은 경우
-
1:36 - 1:38측면에서, 망원 렌즈로 다뤄졌습니다
-
1:38 - 1:39사실 영화를 다시 보시면
-
1:39 - 1:41봉감독이 매우 미묘하게 주요 플롯 포인트들을
-
1:41 - 1:43내줘버리는 걸 아실 수 있을 거예요
-
1:43 - 1:44낚시용 플롯 포인트들과 반대로요
-
1:46 - 1:47그래서 엄마가 고물상을 만날 때,
-
1:47 - 1:49이후 아주 중요한 인물로 밝혀지죠,
-
1:49 - 1:50렌즈를 잘 보세요
-
1:51 - 1:53그 전에, 엄마가 죽은 소녀의 가족에게
-
1:53 - 1:54사과하러 갔을 때,
-
1:54 - 1:56이 중요한 순간이 어떻게 다뤄지는지를 잘 보세요
-
2:02 - 2:03여기에 사실 멋진 컷이 하나 숨겨져 있습니다
-
2:03 - 2:04한 번 보세요
-
2:06 - 2:08이게 특별히 봉감독만의 별난 점일까요?
-
2:08 - 2:10약간 그렇다고 볼 수 있습니다
-
2:10 - 2:12이 장면은 봉감독의 괴물영화 "괴물"에서
-
2:12 - 2:141막의 주요한 전환점인데요
-
2:14 - 2:16반복되죠: 망원 렌즈, 측면
-
2:16 - 2:18하지만 여기선, 왜 그런지 조금 이해가 되죠
-
2:18 - 2:20이건 또다른 캐릭터의 관점숏이고,
-
2:20 - 2:22사실 여기에 뛰어난 시각적 운 (韻)이 있어요
-
2:22 - 2:23정면
-
2:23 - 2:24정면
-
2:25 - 2:26측면
-
2:26 - 2:29이게 사물들을 촬영하기에
드문 방식이라는 건 아닙니다 -
2:29 - 2:30예를 들자면...
-
2:35 - 2:37와, 정말 멋지네요
-
2:37 - 2:39하지만 여전히 이걸 "마더"에서 쓰기엔 정말 어색합니다
-
2:39 - 2:41그러니까, '누가' 보고 있는 건데요?
-
2:41 - 2:43왜 감독이 여주인공의 수많은 주요 순간들을
-
2:43 - 2:46카메라에 직각으로, 클로즈업으로 다루는 걸까요?
-
2:48 - 2:49그리고 이제 클라이맥스에 다다릅니다
-
2:50 - 2:51큰 스포일러 있어요
-
2:51 - 2:53우리는 아들, 두준이
-
2:54 - 2:57영화 내내 무고할 거라 믿었던 인물이
-
2:57 - 2:59그게, 사실은 살인을 저질렀다는 걸 알게 됩니다
-
3:03 - 3:04유일한 목격자는 고물상입니다
-
3:04 - 3:06엄마가 이 남자를 죽이고요
-
3:08 - 3:09그리고 그녀는 피를 닦아내려 합니다
-
3:11 - 3:12어라, 이 숏 좀 봐라
-
3:12 - 3:15그렇기 때문에 감독이 그 주요 순간들을
망원 렌즈, 측면으로 찍었던 겁니다 -
3:15 - 3:18우리를 캐릭터들로부터 살짝 벗어나게 만들죠
-
3:18 - 3:21우리가 스토리의 모든 것을
알고 있는 것이 아님을 알려줘요 -
3:21 - 3:22많은 것이 우리로부터 가려져 있음을,
-
3:22 - 3:24또는 멀리 떨어져 있어 모호해 보임을
-
3:24 - 3:27이는 우리를 사건에 대해 손도
써볼 수 없는 목격자로 만듭니다 -
3:28 - 3:29하지만 일단 목격하게 되면,
-
3:30 - 3:32무엇을 보았는지는 알게 되죠
-
3:33 - 3:35사실, 그게 이 영화에 좋은 점이에요
-
3:35 - 3:38영화는 당신이 한 번도 본 적 없는
캐릭터를 보여주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
3:38 - 3:39들판에서 춤을 추죠
-
3:39 - 3:40그녀의 얼굴을 볼 순 있지만,
-
3:40 - 3:43그녀가 왜 그러는지는 모릅니다
-
3:43 - 3:45그저 영화가 이유를 설명해줄 것이라 믿지요
-
3:45 - 3:47그러다 마지막에,
춤추는 그녀를 다시 보게 됩니다 -
3:47 - 3:49망원 렌즈, 측면에서
-
3:49 - 3:53그리고 당신은 그녀가 처음과
뭐가 조금이라도 달라졌는지를 알지 못해요 -
3:53 - 3:562시간 동안,
이 영화의 가장 큰 기반은 -
3:56 - 3:59우리가 사실로 알고 있는 것,
그녀가 아들을 사랑한다는 겁니다 -
3:59 - 4:03그리고 끝에서, 그것이 그녀를
어찌 만들었는질 보게 되죠 -
4:04 - 4:07저는 이 영화와 봉준호의 팬입니다
-
4:07 - 4:10또 저는 더 많은 주류 감독들이
주요 플롯 순간들을 -
4:10 - 4:13이렇게 찍을 만큼 배짱있어지길 바라요
-
4:13 - 4:14.
-
4:16 - 4:17이런 것 대신에요
-
4:19 - 4:22아, 세상에!
뭐라도 좀 마셔야겠어요
![]() |
Del Totoro edited Korean subtitles for Mother (2009) - The Telephoto Profile Shot | |
![]() |
Del Totoro edited Korean subtitles for Mother (2009) - The Telephoto Profile Shot | |
![]() |
Del Totoro edited Korean subtitles for Mother (2009) - The Telephoto Profile Shot | |
![]() |
Del Totoro edited Korean subtitles for Mother (2009) - The Telephoto Profile Shot | |
![]() |
Del Totoro edited Korean subtitles for Mother (2009) - The Telephoto Profile Sho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