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0.200 --> 00:00:01.404 안녕하세요, 전 토니이고 00:00:01.405 --> 00:00:03.017 이것은 "에브리 프레임 어 페인팅"입니다, 00:00:03.018 --> 00:00:04.771 저는 여기서 영화 형식을 분석하죠 00:00:05.001 --> 00:00:07.042 사실 인터넷에 영화 내용이나 주제를 00:00:07.043 --> 00:00:09.001 깊이있게 다루는 영상은 많지만, 00:00:09.002 --> 00:00:11.342 하지만 전 우리가 실제 형식에 대해선 무언가 놓치고 있다고 생각해요 00:00:11.343 --> 00:00:13.071 영상과 소리 말이죠 00:00:17.900 --> 00:00:19.506 어쨌거나, 오늘 제가 얘기하고픈 영화는 00:00:19.507 --> 00:00:21.812 기술과 예술이 어우러진 한 멋진 예입니다 00:00:21.901 --> 00:00:24.901 이 영화는 봉준호 감독의 "마더" (2009)인데요 00:00:24.902 --> 00:00:25.900 아직 보지 못 하셨다면 00:00:25.901 --> 00:00:27.902 영화는 엉뚱한 남자에 대한 살인 미스터리라고 말씀드릴 수 있구요 00:00:27.903 --> 00:00:29.203 그리고 봉준호를 모르신다면? 00:00:29.204 --> 00:00:30.404 끝내주는 감독입니다 00:00:30.405 --> 00:00:31.905 진심으로 최고예요 00:00:31.906 --> 00:00:34.905 경고드리자면, 영화에 대한 주요 스포를 포함하고 있으니 00:00:34.906 --> 00:00:37.906 스포당하고 싶지 않으시다면, 이 영상을 끄고 영화를 보러 가세요 00:00:37.907 --> 00:00:39.307 준비됐나요? 좋아요 00:00:45.000 --> 00:00:47.538 그래서 제가 오늘 논의하고자 하는 것은 서로 조합된 두 가지 기술입니다 00:00:47.539 --> 00:00:50.972 첫째는 스토리의 중요한 순간을 측면으로 담는 것이고 00:00:51.373 --> 00:00:53.702 둘째는 그 숏을 망원 렌즈로 찍는 것입니다 00:00:54.303 --> 00:00:57.093 일반적으로 배우를 촬영한다고 하면, 그들의 얼굴을 비추고 싶겠죠 00:00:57.094 --> 00:00:58.718 만약 카메라를 정면으로 놓으면 00:00:58.719 --> 00:01:01.687 배우의 감정을 이해하거나 공감하기에 더 좋아집니다 00:01:01.688 --> 00:01:03.930 만약 얼굴 측면을 가지고 장난을 치면 00:01:03.931 --> 00:01:05.447 뭔가 좀 낯설어집니다 00:01:05.449 --> 00:01:06.947 삭막한 면이 있죠 00:01:06.948 --> 00:01:07.848 이 그림처럼요 00:01:09.856 --> 00:01:11.044 이와 대조되구요 00:01:12.700 --> 00:01:14.899 세상에, 그만해, 아 좀! 00:01:16.000 --> 00:01:17.164 그래서 이상한 부분은 이겁니다 00:01:17.165 --> 00:01:18.798 망원렌즈를 사용해 00:01:18.799 --> 00:01:20.068 공간을 압축하는 경우 00:01:20.069 --> 00:01:22.059 영화에선 항상 클로즈업에서 그리 하죠 00:01:22.060 --> 00:01:23.115 그게 더 돋보이고 00:01:23.116 --> 00:01:26.117 배경을 죽여서 초점이 나간 멋진 느낌을 주니까요 00:01:26.150 --> 00:01:27.245 하지만 그걸 측면에서 사용하면, 00:01:27.246 --> 00:01:28.811 그다지 아름다운 숏이 되지 못 합니다 00:01:28.812 --> 00:01:29.912 무언가 가려져요 00:01:29.913 --> 00:01:31.500 거기다 쉐이키캠 효과를 좀 더하면, 00:01:31.501 --> 00:01:33.740 겨우 알아보는 수준이 되죠 00:01:34.400 --> 00:01:36.189 이 영화의 주요 순간들은 많은 경우 00:01:36.190 --> 00:01:37.637 측면에서, 망원 렌즈로 다뤄졌습니다 00:01:37.672 --> 00:01:39.357 사실 영화를 다시 보시면 00:01:39.358 --> 00:01:40.962 봉감독이 매우 미묘하게 주요 플롯 포인트들을 00:01:40.963 --> 00:01:42.515 내줘버리는 걸 아실 수 있을 거예요 00:01:42.516 --> 00:01:44.262 낚시용 플롯 포인트들과 반대로요 00:01:45.600 --> 00:01:47.198 그래서 엄마가 고물상을 만날 때, 00:01:47.199 --> 00:01:49.175 이후 아주 중요한 인물로 밝혀지죠, 00:01:49.176 --> 00:01:50.176 렌즈를 잘 보세요 00:01:51.457 --> 00:01:52.947 그 전에, 엄마가 죽은 소녀의 가족에게 00:01:52.948 --> 00:01:54.048 사과하러 갔을 때, 00:01:54.049 --> 00:01:56.029 이 중요한 순간이 어떻게 다뤄지는지를 잘 보세요 00:02:01.700 --> 00:02:03.343 여기에 사실 멋진 컷이 하나 숨겨져 있습니다 00:02:03.344 --> 00:02:04.344 한 번 보세요 00:02:05.688 --> 00:02:07.853 이게 특별히 봉감독만의 별난 점일까요? 00:02:07.854 --> 00:02:09.901 약간 그렇다고 볼 수 있습니다 00:02:09.902 --> 00:02:11.756 이 장면은 봉감독의 괴물영화 "괴물"에서 00:02:11.757 --> 00:02:13.557 1막의 주요한 전환점인데요 00:02:13.608 --> 00:02:15.528 반복되죠: 망원 렌즈, 측면 00:02:16.033 --> 00:02:17.932 하지만 여기선, 왜 그런지 조금 이해가 되죠 00:02:17.933 --> 00:02:19.968 이건 또다른 캐릭터의 관점숏이고, 00:02:19.969 --> 00:02:21.683 사실 여기에 뛰어난 시각적 운 (韻)이 있어요 00:02:22.041 --> 00:02:22.741 정면 00:02:23.425 --> 00:02:24.125 정면 00:02:24.950 --> 00:02:25.650 측면 00:02:26.438 --> 00:02:29.198 이게 사물들을 촬영하기에 드문 방식이라는 건 아닙니다 00:02:29.199 --> 00:02:30.099 예를 들자면... 00:02:35.373 --> 00:02:36.617 와, 정말 멋지네요 00:02:36.618 --> 00:02:39.064 하지만 여전히 이걸 "마더"에서 쓰기엔 정말 어색합니다 00:02:39.065 --> 00:02:40.504 그러니까, '누가' 보고 있는 건데요? 00:02:40.505 --> 00:02:42.924 왜 감독이 여주인공의 수많은 주요 순간들을 00:02:42.925 --> 00:02:46.493 카메라에 직각으로, 클로즈업으로 다루는 걸까요? 00:02:48.288 --> 00:02:49.322 그리고 이제 클라이맥스에 다다릅니다 00:02:50.256 --> 00:02:51.463 큰 스포일러 있어요 00:02:51.464 --> 00:02:52.970 우리는 아들, 두준이 00:02:53.723 --> 00:02:57.140 영화 내내 무고할 거라 믿었던 인물이 00:02:57.141 --> 00:02:59.067 그게, 사실은 살인을 저질렀다는 걸 알게 됩니다 00:03:02.506 --> 00:03:04.255 유일한 목격자는 고물상입니다 00:03:04.256 --> 00:03:06.351 엄마가 이 남자를 죽이고요 00:03:07.715 --> 00:03:09.221 그리고 그녀는 피를 닦아내려 합니다 00:03:10.505 --> 00:03:11.580 어라, 이 숏 좀 봐라 00:03:12.417 --> 00:03:15.311 그렇기 때문에 감독이 그 주요 순간들을 망원 렌즈, 측면으로 찍었던 겁니다 00:03:15.312 --> 00:03:17.864 우리를 캐릭터들로부터 살짝 벗어나게 만들죠 00:03:17.865 --> 00:03:20.530 우리가 스토리의 모든 것을 알고 있는 것이 아님을 알려줘요 00:03:20.531 --> 00:03:21.820 많은 것이 우리로부터 가려져 있음을, 00:03:21.821 --> 00:03:24.367 또는 멀리 떨어져 있어 모호해 보임을 00:03:24.368 --> 00:03:26.930 이는 우리를 사건에 대해 손도 써볼 수 없는 목격자로 만듭니다 00:03:27.747 --> 00:03:28.634 하지만 일단 목격하게 되면, 00:03:30.406 --> 00:03:31.743 무엇을 보았는지는 알게 되죠 00:03:32.590 --> 00:03:34.546 사실, 그게 이 영화에 좋은 점이에요 00:03:34.547 --> 00:03:37.720 영화는 당신이 한 번도 본 적 없는 캐릭터를 보여주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00:03:37.721 --> 00:03:38.852 들판에서 춤을 추죠 00:03:38.853 --> 00:03:39.971 그녀의 얼굴을 볼 순 있지만, 00:03:39.972 --> 00:03:42.507 그녀가 왜 그러는지는 모릅니다 00:03:42.508 --> 00:03:44.697 그저 영화가 이유를 설명해줄 것이라 믿지요 00:03:44.898 --> 00:03:47.066 그러다 마지막에, 춤추는 그녀를 다시 보게 됩니다 00:03:47.067 --> 00:03:48.967 망원 렌즈, 측면에서 00:03:48.968 --> 00:03:53.321 그리고 당신은 그녀가 처음과 뭐가 조금이라도 달라졌는지를 알지 못해요 00:03:53.322 --> 00:03:55.860 2시간 동안, 이 영화의 가장 큰 기반은 00:03:55.861 --> 00:03:58.506 우리가 사실로 알고 있는 것, 그녀가 아들을 사랑한다는 겁니다 00:03:59.158 --> 00:04:02.848 그리고 끝에서, 그것이 그녀를 어찌 만들었는질 보게 되죠 00:04:04.146 --> 00:04:07.302 저는 이 영화와 봉준호의 팬입니다 00:04:07.303 --> 00:04:09.620 또 저는 더 많은 주류 감독들이 주요 플롯 순간들을 00:04:09.621 --> 00:04:13.321 이렇게 찍을 만큼 배짱있어지길 바라요 00:04:13.321 --> 00:04:13.571 . 00:04:16.022 --> 00:04:17.139 이런 것 대신에요 00:04:19.255 --> 00:04:22.192 아, 세상에! 뭐라도 좀 마셔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