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지의 비극이 무엇일까요?|TED-Ed|니콜라스 아멘돌라르(Nicholas Amendolare)
-
0:08 - 0:12여러분이 작은 마을에
살고 있다고 상상해보세요. -
0:12 - 0:15식량을 구할 수 있는 곳은
작은 연못 하나 뿐입니다. -
0:15 - 0:18마을사람 세 명도 그 연못에서
식량을 구하고 있습니다. -
0:18 - 0:23연못에는 열댓 마리의 물고기가 있고
물고기는 알을 낳죠. -
0:23 - 0:28물고기 두 마리당 매일 밤
치어 한 마리를 낳는다고 가정하죠. -
0:28 - 0:30그렇다면 식량 공급원을 최대치로
끌어올리기 위해서 -
0:30 - 0:34매일 잡을 수 있는
물고기는 몇 마리 일까요? -
0:34 - 0:37잠깐 동안 생각을 해봅시다.
-
0:37 - 0:40치어가 단숨에 성어가
된다고 가정해 봅시다. -
0:40 - 0:43그리고 연못은 물고기로 꽉 찼습니다.
-
0:43 - 0:46잡는 물고기의 성별은
생각할 필요 없습니다. -
0:46 - 0:50정답은? 한 마리이고
여러분만이 아닙니다. -
0:50 - 0:54모든 사람들의 식량을 최대한 확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
0:54 - 0:58한 사람 당 매일 물고기
한 마리씩만 잡는 겁니다. -
0:58 - 1:00왜 한 마리인지 살펴봅시다.
-
1:00 - 1:04한 사람 당 한 마리만 잡게 되면
물고기가 여덟 마리가 남습니다. -
1:04 - 1:07물고기 한 쌍이 치어 한 마리를 낳고
-
1:07 - 1:12다음 날, 연못은 물고기 열두 마리가
다시 채워져 있는 겁니다. -
1:12 - 1:18누군가 한 마리 이상을 잡으면
물고기 한 쌍의 숫자가 줄어들고 -
1:18 - 1:23개체수는 다시 늘어날 수 없습니다.
-
1:23 - 1:25결국엔 연못의 물고기는 모두 사라지고
-
1:25 - 1:29네 명의 마을 사람들은 굻어 죽겠죠.
-
1:29 - 1:32이 연못은 '공유지의 비극'이라는
-
1:32 - 1:35전형적인 문제의 한 예에 불과합니다.
-
1:35 - 1:38이 현상은 1833년에 경제학자
윌리엄 포스터 로이더가 -
1:38 - 1:42처음으로 기술했습니다.
-
1:42 - 1:44마을 공유지에 소떼들을
과방목하는 문제를 두고 -
1:44 - 1:48논의하면서 설명했습니다.
-
1:48 - 1:53100년이 훨씬 지나고 생태학자
가렛 하딘이 이 개념을 되살려 -
1:53 - 1:55여러 개개인들이 제한된
자원을 공유할 때 -
1:55 - 1:57어떤 일이 생기는지 설명했습니다.
-
1:57 - 2:00예를 들어 목초지나
-
2:00 - 2:01조업 구역
-
2:01 - 2:02주거 공간
-
2:02 - 2:04깨끗한 공기까지 공유하는 것을 말하죠.
-
2:04 - 2:07하딘이 주장하는 바는
이런 상황들은 사리사욕과 -
2:07 - 2:10공익 간의 싸움을 일으키고
-
2:10 - 2:12모두에게 안 좋게 끝나게 됩니다.
-
2:12 - 2:15과방목
-
2:15 - 2:16남획
-
2:16 - 2:17인구과잉
-
2:17 - 2:17환경오염
-
2:17 - 2:20그리고 여타의 사회, 환경적
문제를 낳게 됩니다. -
2:20 - 2:23'공유지의 비극'의 핵심은
-
2:23 - 2:28더 큰 집단 전체에게
부정적인 효과가 퍼지는 동시에 -
2:28 - 2:33모든 개인이 스스로에게 이익이 돌아갈
기회를 갖는다는 것입니다. -
2:33 - 2:38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연못 이야기로 돌아갑시다. -
2:38 - 2:39각각의 개인은 가능한
-
2:39 - 2:42많은 물고기를 잡으려고 합니다.
-
2:42 - 2:46반면, 생산량 감소는
-
2:46 - 2:49마을 전체가 부담하게 되죠.
-
2:49 - 2:51옆집 사람들 보다
물고기를 더 잡고 싶어서 -
2:51 - 2:56물고기를 한 마리 더 잡는게
최선의 이익이라고 결론을 내립니다. -
2:56 - 2:57혹은 두 마리 더
-
2:57 - 2:59세 마리 더 잡는 거죠.
-
2:59 - 3:03안타깝지만 다른 사람들도
같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
3:03 - 3:04그게 바로 비극이죠.
-
3:04 - 3:05당장 순간에 자신을 위한 행동이
-
3:05 - 3:10장기간 모두에게 최선책은 아닙니다.
-
3:10 - 3:13간단한 예시이지만 공유지의 비극은
-
3:13 - 3:18현실의 더욱 복잡한 시스템에도
부합합니다. -
3:18 - 3:23항생제남용은 축산의
단기간의 이익을 가져왔고 -
3:23 - 3:25흔한 질병을 치료하게 됐지만
-
3:25 - 3:30동시에 항상제에 내생을 지닌
박테리이가 생겼고 -
3:30 - 3:32이는 인구 전체를 위협하는 일입니다.
-
3:32 - 3:37화력 발전소는 소비자들을 위해
값싼 전기를 생산하고 -
3:37 - 3:38소유자들에게는 이익을 창출합니다.
-
3:38 - 3:41이런 한정된 이익은
당장에 도움이 되지만 -
3:41 - 3:46채굴과 석탄을 때울 떄 발생한 오염은
대기 전체에 퍼지고 -
3:46 - 3:50수천년 동안 사라지지 않습니다.
-
3:50 - 3:52이 뿐만 아닙니다.
-
3:52 - 3:53쓰레기
-
3:53 - 3:54물부족
-
3:54 - 3:56산림파괴
-
3:56 - 3:57교통체증
-
3:57 - 4:00그리고 생수를 구매하는 것도
마찬가지 입니다. -
4:00 - 4:05하지만 인류 문명은 인간이 경이로운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
4:05 - 4:07우리는 사회계약을 맺었고
-
4:07 - 4:08공동 협약을 체결했으며
-
4:08 - 4:10정부를 선출하고
-
4:10 - 4:11법을 통과 시켰습니다.
-
4:11 - 4:17이 모든 일들은 개인의 충동에서
집단을 구하기 위한 것입니다. -
4:17 - 4:22쉽지 않은 일이며 우리는 거의 매순간
제대로 해내지 못합니다. -
4:22 - 4:27하지만 우리가 최선을 다하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4:27 - 4:32그리고 하딘의 가르침을 명심한다면
계속 해결할 수 있습니다. -
4:32 - 4:34'공유지의 비극'이 적용될 때
-
4:34 - 4:38모두에게 좋은 것이
우리 개개인에게도 좋은 겁니다.
- Title:
- 공유지의 비극이 무엇일까요?|TED-Ed|니콜라스 아멘돌라르(Nicholas Amendolare)
- Description:
-
전체 강의 보기: https://ed.ted.com/lessons/what-is-the-tragedy-of-the-commons-nicholas-amendolare
남획, 강력한 세균, 지구 온난화가 공통된 원인으로 일어난 것일까? 1968년 가렛 하딘은 인구과잉에 관한 에세이를 집필하던 중, 역사상 중대한 문제를 일으킨 인간의 행동 패턴을 발견합니다. 니콜라스 아멘돌라르가 ‘공유지의 비극’에 대해 기술합니다.
강의: 니콜라스 아멘돌라르
기획: TED-Ed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Ed
- Duration:
- 04:58
![]() |
Jihyeon J. Kim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the tragedy of the commons? - Nicholas Amendolare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the tragedy of the commons? - Nicholas Amendolare | |
![]() |
Jihyeon J. Kim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the tragedy of the commons? - Nicholas Amendolare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the tragedy of the commons? - Nicholas Amendolare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the tragedy of the commons? - Nicholas Amendolare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the tragedy of the commons? - Nicholas Amendolare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the tragedy of the commons? - Nicholas Amendolare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the tragedy of the commons? - Nicholas Amendola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