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7.809 --> 00:00:11.718 여러분이 작은 마을에 살고 있다고 상상해보세요. 00:00:11.718 --> 00:00:14.887 식량을 구할 수 있는 곳은 작은 연못 하나 뿐입니다. 00:00:14.887 --> 00:00:18.111 마을사람 세 명도 그 연못에서 식량을 구하고 있습니다. 00:00:18.111 --> 00:00:23.451 연못에는 열댓 마리의 물고기가 있고 물고기는 알을 낳죠. 00:00:23.451 --> 00:00:27.886 물고기 두 마리당 매일 밤 치어 한 마리를 낳는다고 가정하죠. 00:00:27.886 --> 00:00:30.472 그렇다면 식량 공급원을 최대치로 끌어올리기 위해서 00:00:30.472 --> 00:00:34.263 매일 잡을 수 있는 물고기는 몇 마리 일까요? 00:00:34.263 --> 00:00:36.604 잠깐 동안 생각을 해봅시다. 00:00:36.604 --> 00:00:40.002 치어가 단숨에 성어가 된다고 가정해 봅시다. 00:00:40.002 --> 00:00:42.868 그리고 연못은 물고기로 꽉 찼습니다. 00:00:42.868 --> 00:00:46.494 잡는 물고기의 성별은 생각할 필요 없습니다. 00:00:46.494 --> 00:00:50.387 정답은? 한 마리이고 여러분만이 아닙니다. 00:00:50.387 --> 00:00:54.014 모든 사람들의 식량을 최대한 확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00:00:54.014 --> 00:00:58.411 한 사람 당 매일 물고기 한 마리씩만 잡는 겁니다. 00:00:58.411 --> 00:01:00.070 왜 한 마리인지 살펴봅시다. 00:01:00.070 --> 00:01:04.284 한 사람 당 한 마리만 잡게 되면 물고기가 여덟 마리가 남습니다. 00:01:04.287 --> 00:01:06.994 물고기 한 쌍이 치어 한 마리를 낳고 00:01:06.994 --> 00:01:12.117 다음 날, 연못은 물고기 열두 마리가 다시 채워져 있는 겁니다. 00:01:12.117 --> 00:01:17.566 누군가 한 마리 이상을 잡으면 물고기 한 쌍의 숫자가 줄어들고 00:01:17.566 --> 00:01:22.536 개체수는 다시 늘어날 수 없습니다. 00:01:22.536 --> 00:01:25.399 결국엔 연못의 물고기는 모두 사라지고 00:01:25.399 --> 00:01:28.724 네 명의 마을 사람들은 굻어 죽겠죠. 00:01:28.724 --> 00:01:31.934 이 연못은 '공유지의 비극'이라는 00:01:31.934 --> 00:01:35.281 전형적인 문제의 한 예에 불과합니다. 00:01:35.281 --> 00:01:37.644 이 현상은 1833년에 경제학자 윌리엄 포스터 로이더가 00:01:37.644 --> 00:01:42.030 처음으로 기술했습니다. 00:01:42.030 --> 00:01:44.197 마을 공유지에 소떼들을 과방목하는 문제를 두고 00:01:44.197 --> 00:01:47.784 논의하면서 설명했습니다. 00:01:47.784 --> 00:01:52.542 100년이 훨씬 지나고 생태학자 가렛 하딘이 이 개념을 되살려 00:01:52.542 --> 00:01:55.128 여러 개개인들이 제한된 자원을 공유할 때 00:01:55.128 --> 00:01:57.066 어떤 일이 생기는지 설명했습니다. 00:01:57.066 --> 00:01:59.645 예를 들어 목초지나 00:01:59.645 --> 00:02:00.891 조업 구역 00:02:00.891 --> 00:02:01.872 주거 공간 00:02:01.872 --> 00:02:03.661 깨끗한 공기까지 공유하는 것을 말하죠. 00:02:03.661 --> 00:02:06.700 하딘이 주장하는 바는 이런 상황들은 사리사욕과 00:02:06.700 --> 00:02:09.916 공익 간의 싸움을 일으키고 00:02:09.916 --> 00:02:12.318 모두에게 안 좋게 끝나게 됩니다. 00:02:12.318 --> 00:02:14.559 과방목 00:02:14.559 --> 00:02:15.607 남획 00:02:15.607 --> 00:02:16.704 인구과잉 00:02:16.704 --> 00:02:17.496 환경오염 00:02:17.496 --> 00:02:20.203 그리고 여타의 사회, 환경적 문제를 낳게 됩니다. 00:02:20.203 --> 00:02:23.300 '공유지의 비극'의 핵심은 00:02:23.300 --> 00:02:28.459 더 큰 집단 전체에게 부정적인 효과가 퍼지는 동시에 00:02:28.459 --> 00:02:33.128 모든 개인이 스스로에게 이익이 돌아갈 기회를 갖는다는 것입니다. 00:02:33.128 --> 00:02:37.753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연못 이야기로 돌아갑시다. 00:02:37.753 --> 00:02:39.203 각각의 개인은 가능한 00:02:39.203 --> 00:02:42.488 많은 물고기를 잡으려고 합니다. 00:02:42.488 --> 00:02:45.806 반면, 생산량 감소는 00:02:45.806 --> 00:02:48.861 마을 전체가 부담하게 되죠. 00:02:48.861 --> 00:02:51.293 옆집 사람들 보다 물고기를 더 잡고 싶어서 00:02:51.293 --> 00:02:56.219 물고기를 한 마리 더 잡는게 최선의 이익이라고 결론을 내립니다. 00:02:56.219 --> 00:02:57.407 혹은 두 마리 더 00:02:57.407 --> 00:02:58.648 세 마리 더 잡는 거죠. 00:02:58.648 --> 00:03:02.509 안타깝지만 다른 사람들도 같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00:03:02.509 --> 00:03:04.036 그게 바로 비극이죠. 00:03:04.036 --> 00:03:05.323 당장 순간에 자신을 위한 행동이 00:03:05.323 --> 00:03:10.460 장기간 모두에게 최선책은 아닙니다. 00:03:10.460 --> 00:03:12.844 간단한 예시이지만 공유지의 비극은 00:03:12.854 --> 00:03:18.181 현실의 더욱 복잡한 시스템에도 부합합니다. 00:03:18.181 --> 00:03:22.646 항생제남용은 축산의 단기간의 이익을 가져왔고 00:03:22.646 --> 00:03:25.390 흔한 질병을 치료하게 됐지만 00:03:25.390 --> 00:03:30.071 동시에 항상제에 내생을 지닌 박테리이가 생겼고 00:03:30.071 --> 00:03:32.290 이는 인구 전체를 위협하는 일입니다. 00:03:32.290 --> 00:03:36.618 화력 발전소는 소비자들을 위해 값싼 전기를 생산하고 00:03:36.618 --> 00:03:38.442 소유자들에게는 이익을 창출합니다. 00:03:38.442 --> 00:03:41.390 이런 한정된 이익은 당장에 도움이 되지만 00:03:41.390 --> 00:03:46.495 채굴과 석탄을 때울 떄 발생한 오염은 대기 전체에 퍼지고 00:03:46.495 --> 00:03:49.541 수천년 동안 사라지지 않습니다. 00:03:49.541 --> 00:03:52.037 이 뿐만 아닙니다. 00:03:52.037 --> 00:03:53.156 쓰레기 00:03:53.156 --> 00:03:54.397 물부족 00:03:54.397 --> 00:03:55.616 산림파괴 00:03:55.616 --> 00:03:57.024 교통체증 00:03:57.024 --> 00:04:00.117 그리고 생수를 구매하는 것도 마찬가지 입니다. 00:04:00.117 --> 00:04:04.510 하지만 인류 문명은 인간이 경이로운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00:04:04.510 --> 00:04:06.805 우리는 사회계약을 맺었고 00:04:06.805 --> 00:04:08.480 공동 협약을 체결했으며 00:04:08.480 --> 00:04:09.874 정부를 선출하고 00:04:09.874 --> 00:04:11.435 법을 통과 시켰습니다. 00:04:11.435 --> 00:04:17.494 이 모든 일들은 개인의 충동에서 집단을 구하기 위한 것입니다. 00:04:17.494 --> 00:04:22.401 쉽지 않은 일이며 우리는 거의 매순간 제대로 해내지 못합니다. 00:04:22.401 --> 00:04:26.990 하지만 우리가 최선을 다하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00:04:26.990 --> 00:04:31.667 그리고 하딘의 가르침을 명심한다면 계속 해결할 수 있습니다. 00:04:31.667 --> 00:04:33.862 '공유지의 비극'이 적용될 때 00:04:33.862 --> 00:04:37.828 모두에게 좋은 것이 우리 개개인에게도 좋은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