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해류는 어떻게 움직일까요? l 제니퍼 버뒨 (Jennifer Verduin)

  • 0:07 - 0:08
    1992년
  • 0:08 - 0:12
    욕조용 장난감을 실은
    화물선이 폭풍을 만났습니다.
  • 0:12 - 0:15
    컨테이너들이
    배 밖으로 쓸려 나갔고
  • 0:15 - 0:19
    28,000개의 고무 오리와
    다른 장난감들이 파도에 쓸려
  • 0:19 - 0:21
    북태평양에 쏟아졌습니다.
  • 0:21 - 0:23
    그들은 서로 붙어 다니지 않았고
  • 0:23 - 0:24
    정 반대로
  • 0:24 - 0:27
    전 세계로 흩어져 쓸려갔고
  • 0:27 - 0:30
    연구진들은 오리들이
    쓸려온 길을 통하여
  • 0:30 - 0:34
    해류를 더 잘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 0:34 - 0:36
    해류가 움직이는 원인들로는:
  • 0:36 - 0:40
    바람, 파도, 수밀도의 변화
  • 0:40 - 0:43
    그리고 지구의 자전 등 다양합니다.
  • 0:43 - 0:48
    해저 지형과 해안선이
    이러한 움직임을 변형시켜
  • 0:48 - 0:49
    해류의 속도를 높이거나
  • 0:49 - 0:52
    속도를 낮추고
    방향을 바꾸기도 합니다.
  • 0:52 - 0:55
    해류는 크게 두 가지 나뉩니다:
  • 0:55 - 0:58
    표층 해류와 심해 해류
  • 0:58 - 1:03
    표층 해류는 바닷물의 위쪽 1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반면,
  • 1:03 - 1:06
    심해 해류는 나머지
    90%를 움직입니다.
  • 1:06 - 1:08
    그 둘은 서로 다른
    원인들로 움직이지만
  • 1:08 - 1:12
    서로에게 복잡하게 영향을 주어
  • 1:12 - 1:15
    해양 전체가 끊임없이
    움직이게 합니다.
  • 1:15 - 1:16
    해안가에서는,
  • 1:16 - 1:20
    바람과 파도에 의해
    표층 해류가 움직이는데,
  • 1:20 - 1:25
    수면이 상승 하강하면서
    물을 앞뒤로 움직입니다.
  • 1:25 - 1:30
    그러나, 바다 한가운데에서는
    바람이 표층 해류의 주된 동력입니다.
  • 1:30 - 1:32
    대양에 바람이 불게 되면
  • 1:32 - 1:35
    해수 표층부를 함께 끌고 움직입니다.
  • 1:35 - 1:37
    이런 움직임이
    그 하층부를 끌어당기고,
  • 1:37 - 1:40
    다시 더 아래의 하층부를
    끌어당깁니다.
  • 1:40 - 1:43
    결국 400미터 깊이의 해수까지는
  • 1:43 - 1:47
    수면 위의 바람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 1:47 - 1:51
    거시적으로 지구 전체 표층 해류가
    움직이는 패턴을 보게 되면
  • 1:51 - 1:55
    거대한 고리 형태의
    환류(GYRES)를 발견할 수 있고
  • 1:55 - 1:58
    그 환류가 북반구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 1:58 - 2:00
    그리고 남반구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돕니다.
  • 2:00 - 2:03
    이는 지구의 자전 방향 때문인데
  • 2:03 - 2:07
    이 자전 방향이 바람의 패턴에
    영향을 주어 해류를 일으킵니다.
  • 2:07 - 2:08
    만일 지구의 자전이 없다면
  • 2:08 - 2:10
    대기와 해류는 단순하게
  • 2:10 - 2:13
    저기압인 적도와
    고기압인 양극 사이를
  • 2:13 - 2:15
    왔다 갔다만 할 것입니다.
  • 2:15 - 2:16
    그러나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 2:16 - 2:21
    적도에서 북극으로 부는 바람은
    동쪽으로 휘게 되고
  • 2:21 - 2:25
    반대로 아래로 부는 바람은
    서쪽으로 휘게 됩니다.
  • 2:25 - 2:27
    남반구에서는 반전 효과의
    현상이 일어나서
  • 2:27 - 2:29
    주된 바람들은
  • 2:29 - 2:33
    대양 분지 근처에서
    고리 모양을 형성합니다.
  • 2:33 - 2:36
    이러한 현상을
    코리올리 효과라고 합니다.
  • 2:36 - 2:40
    바람으로 인해 동일한
    방향의 환류가 생기고
  • 2:40 - 2:44
    물이 공기보다 열을
    더 잘 보존하기 때문에
  • 2:44 - 2:48
    이 환류들이 지구상의 열을
    재분배하는 역할을 합니다.
  • 2:48 - 2:50
    표층 해류와는 달리
  • 2:50 - 2:55
    심해 해류는 주로 바닷물의
    밀도 차이에 의해 움직입니다.
  • 2:55 - 2:58
    바닷물은 북극으로
    갈수록 차가워지고
  • 2:58 - 3:01
    염분 농도 또한 높아지는데
  • 3:01 - 3:06
    그 이유는 얼음이 어는 과정에서
    소금은 빠지고 물만 얼기 때문입니다.
  • 3:06 - 3:09
    이렇게 차고 짠 물은 밀도가 높아서
  • 3:09 - 3:10
    아래로 가라앉게 되고
  • 3:10 - 3:13
    따뜻한 물이 그 자리를 차지하면서
  • 3:13 - 3:17
    열염 순환이라는
    수직 운동을 합니다.
  • 3:17 - 3:22
    심해의 열염 순환과
    바람에 의한 표층 해류가 결합하여
  • 3:22 - 3:26
    "대순환 해류"라는
    거대 순환 고리를 형성합니다.
  • 3:26 - 3:29
    바닷물이 심해에서
    표면으로 움직이면서
  • 3:29 - 3:33
    미생물을 위한 영양분들을
    이동시킴으로써
  • 3:33 - 3:36
    해양 먹이 사슬의
    기본 틀을 형성합니다.
  • 3:36 - 3:39
    대순환 해류는
    지구상의 가장 긴 해류로서
  • 3:39 - 3:41
    지구 전체를 휘감습니다.
  • 3:41 - 3:45
    그러나 이 해류는 초 당
    몇 센티미터씩만 움직여서
  • 3:45 - 3:49
    전체 한 바퀴를 다 돌려면
    천 년 정도 걸릴 것입니다.
  • 3:49 - 3:52
    그러나 수온이 올라가면서
  • 3:52 - 3:55
    이 순환이 느려지고 있습니다.
  • 3:55 - 3:57
    이러한 변화가 대서양
    주변 대륙의 기후 체계에
  • 3:57 - 4:00
    재앙을 일으킨다는 것을
    모델을 통해 예측할 수 있고
  • 4:00 - 4:03
    만약 이 순환이 계속 더 늦춰지거나
    혹은 완전히 멈추게 된다면
  • 4:03 - 4:05
    어떤 일이 생길지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 4:05 - 4:09
    단지 정확하게 예측하여
    적절히 대비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 4:09 - 4:14
    해류와 이를 움직이는 강력한 힘들에
    대해서 끊임없이 연구하는 것입니다.
Title:
해류는 어떻게 움직일까요? l 제니퍼 버뒨 (Jennifer Verduin)
Speaker:
제니퍼 버뒨
Description:

전체 영상: https://ed.ted.com/lessons/how-do-ocean-currents-work-jennifer-verduin

1992년, 욕조용 장난감을 실은 화물선이 태풍을 만났습니다. 컨테이너들이 쓸려 나갔고, 파도로 인해 28,000개의 고무 오리와 다른 장난감들이 북태평양에 쏟아졌습니다. 그러나 그 장난감들은 같이 붙어 다니지 않았습니다 -- 그 후 고무 오리들은 전세계로 흩어져 쓸려갔습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생겼을까요? 제니퍼 버뒨이 해류의 과학으로 안내합니다.

강의: 제니퍼 버뒨, 감독: 카봉 스튜디오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closed TED
Project:
TED-Ed
Duration:
04:16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