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 증명서는 인권입니다
-
0:01 - 0:03제가 열네 살 때 저희 가족은
-
0:03 - 0:08당시 에티오피아에 있던 현 남동생들의
입양 절차를 밟는 중이었습니다. -
0:08 - 0:10어느 날 어머니께서
-
0:10 - 0:13"동생들 생일을 며칠이라고 할까?"
라고 물으셨고 -
0:13 - 0:16저는 "당연히 태어난 날을 적으면
되잖아요?" 라고 했습니다. -
0:16 - 0:18이상한 질문이라고 생각했는데
-
0:18 - 0:20그러자 어머니께서
-
0:20 - 0:21"그게, 크리스틴,
-
0:21 - 0:23입양할 동생 둘 다 출생증명서가 없는데
-
0:23 - 0:26어떻게 출생일을 알아낼 수 있겠니?"
라고 하시는 거예요. -
0:27 - 0:28충격이었죠.
-
0:28 - 0:3120년이 지난 지금 저는 여전히
이 일에 매달리고 있는데 -
0:31 - 0:35미궁에 빠진 동생들의
출생증명서를 찾기보단 -
0:35 - 0:37이 문제를 세계적 차원에서
풀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
0:37 - 0:41그러면 출생증명서와 국제 발전이
무슨 관련이 있을까요? -
0:41 - 0:45이에 대답하려면 UN의 세계인권선언을
-
0:45 - 0:46참고할 필요가 있습니다.
-
0:46 - 0:521948년 UN의 세계인권선언은
세계 최초로 -
0:52 - 0:56전 세계인에게 적용되는
-
0:56 - 0:59기본 인권 및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공유 비전을 세웠습니다. -
0:59 - 1:03'모든 사람은 어디서나 법 앞에
인간으로서 인정받을 권리를 지닌다.' -
1:03 - 1:05제6조 내용인데 법적 신분을 말하며,
-
1:05 - 1:07아동에겐 출생증명서가
법적 신분을 보장하죠. -
1:07 - 1:10법적 신분이 보편적 인권임에도
-
1:10 - 1:15오늘날 10억 명은 출생 기록이 없고
-
1:15 - 1:19이건 곧 현 시대의 가장
심각한 인권 침해인데도 -
1:19 - 1:21주목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
1:22 - 1:25빈곤과 기아가 비일비재한 현실에서
-
1:25 - 1:29전 세계인의 법적 신분을 보장하는 일은
대수롭지 않게 느껴질지 모르지만 -
1:29 - 1:31실제론 매우 중요합니다.
-
1:31 - 1:33경력 초반에
-
1:33 - 1:37저는 뭄바이의 슬럼가에서
한 사회 복지사와 조를 이뤘습니다. -
1:37 - 1:40당시 여아 한 명을 맡았는데,
-
1:40 - 1:44아기 때부터 소아마비에 걸려
하반신이 마비된 상태였습니다. -
1:44 - 1:46저희가 가정 방문을 했을 때
-
1:46 - 1:48아이가 바닥에 있었어요.
-
1:48 - 1:51다리가 말도 못하게
흉터가 져 곪아있었고 -
1:51 - 1:54영양결핍에 학교는 구경조차 못했습니다.
-
1:55 - 2:00갑갑하고 어두운 방에
평생 갇혀서 말이죠. -
2:01 - 2:05방문 후 복지사에게
해당 여아의 사례관리에 대해 물었는데 -
2:05 - 2:09"그것보단 먼저 아이의 출생 증명서가
필요해요"라는 대답에 당혹했습니다. -
2:09 - 2:13"일단 아이에게 사회보조와
안전한 거처를 제공하고 -
2:13 - 2:15학교를 보내야하지 않을까요?"
라고 했더니, -
2:15 - 2:19"바로 그래서 출생증명서가 필요해요"
라고 대답하더군요. -
2:19 - 2:21즉, 법적 신분 없인
-
2:21 - 2:23국민으로 인정받을 수 없고
-
2:23 - 2:28정부가 제공하는 복지의 혜택을
받을 수도 없을뿐더러 -
2:28 - 2:32정부 통계에 잡히는 인구만
국가의 혜택을 받습니다. -
2:32 - 2:37그러면 정기 예방접종 같은
공공 서비스도 못 받는거죠. -
2:38 - 2:43법적 신분이 없으면
포함되지 않고 보호받지 못합니다. -
2:43 - 2:47이들은 소외 계층에서도
가장 극빈층에 속합니다. -
2:48 - 2:50이들은 인신매매의 표적이 되는데,
-
2:50 - 2:54애초에 신원 확인이 안되면
추적이 어렵다는 걸 -
2:54 - 2:57인신매매범들이 악용하는 거죠.
-
2:57 - 3:01또한 아동 결혼, 아동 노동 같은
착취의 대상이 됩니다. -
3:01 - 3:05출생증명서 없인
아이임을 증명할 길이 없으니까요. -
3:06 - 3:07무국적자나 마찬가지입니다.
-
3:07 - 3:11출생증명서는 부모와 출생지라는
-
3:11 - 3:14국적 취득에 필요한 두 가지 요소를
확인시켜줍니다. -
3:15 - 3:18법적 신분이 없는
전 세계 10억 명 중 -
3:18 - 3:22과반수가 아동이며
출생신고조차 안 되어 있습니다. -
3:22 - 3:28최빈국가에선 출생 기록이 없는
아동이 60%가 넘습니다. -
3:28 - 3:32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17개국 대상의 한 연구에선 -
3:32 - 3:35출생증명서가 없는 아동이
80%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3:36 - 3:41아직도 출생신고가
보편적이지 않은 국가들 중 -
3:41 - 3:4726개국은 예방접종 등의
보건 서비스 시 출생증명서가 필수고 -
3:48 - 3:5337개국에선 출생증명서가 없는
빈곤층은 사회보조를 못 받고 -
3:55 - 4:0259개국에선 학교 입학과 졸업 시
출생증명서를 요구합니다. -
4:03 - 4:07또한 법적 신분을 증명하는
기타 확인증에도 예외가 아닌데 -
4:07 - 4:09가령 주민등록증이나 여권이 있겠죠.
-
4:09 - 4:13거의 모든 국가가 투표를 하거나,
유심 카드를 구매하거나, -
4:13 - 4:16은행 계좌를 개설할 때에도
법적 신분 확인 서류를 요구합니다. -
4:16 - 4:20실제로 은행 계좌가 없는
17억 인구 중 -
4:20 - 4:2320%가 법적 신분 확인 서류가 없어
계좌를 만들지 못합니다. -
4:24 - 4:28이런 인구가 10억이 넘는 게
심각한 문제라는 건 -
4:28 - 4:29누구라도 알 수 있겠죠.
-
4:30 - 4:35그래서 출생신고가 증가하면
국가도 덩달아 발전하는 사실은 -
4:35 - 4:36놀라운 게 아닌데요.
-
4:36 - 4:38빈곤완화를 시작으로
-
4:38 - 4:40국민건강영양 및 교육이 개선되고
-
4:41 - 4:44경제 발전과 더불어
안전하고 질서 있는 이주가 이뤄집니다. -
4:47 - 4:512015년 세계 지도자들이 모여
약속했습니다. -
4:51 - 4:55전 세계인의 인권을 수호하고
-
4:55 - 4:57단 한 명도 외면하지 않겠다고요.
-
4:57 - 5:01빈곤과 기근을 종식하고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함이었습니다. -
5:01 - 5:06하지만 과연 어떻게 인권을 수호하며
누가 소외됐는지 알 수 있을까요? -
5:06 - 5:10그들이 누구고 어디 출신인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말이죠. -
5:14 - 5:16그렇다면 국가 차원에선
어떻게 해야 할까요? -
5:16 - 5:18모든 나라에 딱 들어맞는
실행 모델이 있는건 아닙니다. -
5:18 - 5:20나라마다 상황이 다르니까요.
-
5:20 - 5:24하지만 어디서든 적용할 수 있는
확실한 개입방안 다섯 가지가 있습니다. -
5:25 - 5:27첫 번째, 거리를 줄이고
-
5:27 - 5:29두 번째, 비용을 없애고
-
5:29 - 5:31세 번째,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
5:31 - 5:33네 번째, 차별을 완화하고
-
5:33 - 5:35마지막으로, 수요를 늘리는 것입니다.
-
5:35 - 5:38출생 신고시 가해지는
성차별 문제가 드러나지 않고 있는데 -
5:39 - 5:43통계상으론 남녀 출생 신고율이
거의 비슷하고, -
5:43 - 5:46성차별이 아이가 아닌
아이 엄마한테 가해지기 때문이죠. -
5:47 - 5:5135개국에선 출생 신고 시
아이 아빠의 이름을 기재하거나 -
5:51 - 5:54아빠가 출석해야 하는데
앙골라도 그 중 한 곳입니다. -
5:54 - 5:58그래서 아이 아빠가 신원미상이거나,
출생신고를 꺼리거나, -
5:58 - 6:00친부 증명이 힘든 상황에서는
-
6:00 - 6:04엄마는 법적으로 자녀의 출생 신고를
전혀 할 수 없습니다. -
6:05 - 6:07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앙골라에선
-
6:07 - 6:11엄마가 한부모로 출생 신고 하는 걸
정책적으로 허용했습니다. -
6:12 - 6:142012년 탄자니아에선
-
6:14 - 6:17출생증명서를 가진 아동이
고작 13%였는데, -
6:18 - 6:20탄자니아 정부는
새 시스템을 고안해냈습니다. -
6:21 - 6:26지역 병동이나 체육 시설같은
기존 인프라에 -
6:26 - 6:30출생신고 센터를 설치하여
-
6:30 - 6:33필요한 사람들이 가까운 곳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거죠. -
6:33 - 6:34신고 수수료도 없애고
-
6:35 - 6:38절차를 간소화, 자동화함으로써
-
6:38 - 6:40출생증명서를 즉시
발급 받을 수 있게 했습니다. -
6:41 - 6:44수요를 늘리기 위한
인식 제고 캠페인도 펼쳤어요. -
6:44 - 6:46새로운 절차를 홍보하고
-
6:46 - 6:49자녀의 출생신고가 왜 중요한지
인식시켰습니다. -
6:51 - 6:54새로운 시스템이 정착한 지역에선
몇 년이 지나지 않아 -
6:54 - 6:57출생증명서 발급률이
83%에 이르게 됩니다. -
6:57 - 7:00현재 이 시스템은
전국적 시행 단계에 있고요. -
7:01 - 7:03그렇다면 우린 어떻게 해야 할까요?
-
7:04 - 7:07저는 인류애로 우리 모두가
하나라고 이어져 있다고 생각합니다. -
7:07 - 7:10우리는 같은 지구에 살고
같은 공기를 마시잖아요. -
7:10 - 7:14태어나고 자라는 환경을
선택할 순 없겠지만 -
7:14 - 7:16삶의 방식을 선택할 순 있습니다.
-
7:17 - 7:17변화는
-
7:18 - 7:24약간의 의식과 온정이
한 사람의 행동을 부를 때 일어나며, -
7:24 - 7:25공동의 행동을 통해
-
7:25 - 7:29우리는 가장 강력한 변화의
주체가 됩니다. -
7:29 - 7:32우리가 행동하지 않은 댓가로
아무 잘못도 없는 아이들이 -
7:32 - 7:36보호도 못 받고, 예방접종도 못 하며,
학교도 갈 수 없게 되어 -
7:36 - 7:40제대로 된 일자리는 커녕
투표권도 없는 어른이 되어 -
7:40 - 7:45빈곤과 소외, 무관심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면 -
7:45 - 7:46이 문제를 조명하는 것이야말로
-
7:46 - 7:50우리의 가장 중요한 임무일 것입니다.
-
7:51 - 7:54세상을 바꿀 기회는
매일 오는 게 아닙니다. -
7:54 - 7:56바로 오늘이
-
7:56 - 7:57그 기회입니다.
-
7:58 - 7:59감사합니다.
-
7:59 - 8:01(박수)
- Title:
- 출생 증명서는 인권입니다
- Speaker:
- 크리스틴 웬즈(Kristen Wenz)
- Description:
-
전 세계적으로 출생증명서가 없는 이들이 10억 넘고, 그 중 대다수는 아이들입니다. 법적 신분 전문가인 크리스틴 웬즈에 따르면, 출생증명서가 없는 경우 많은 나라에서 보건 혜택, 교육과 같은 필수 서비스를 제한합니다. 웬즈의 다음 TED 강연에선 이 문제가 현 시대의 가장 심각한 인권 침해인 그 이유를 설명하고, 모두가 출생 신고를 마치고 보호 받을 수 있는 다섯 가지 방안을 내놓습니다.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Talks
- Duration:
- 08:14
![]() |
Jihyeon J. Kim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f a single human right could change the world?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f a single human right could change the world? | |
![]() |
YoonJu Mangione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f a single human right could change the world? | |
![]() |
YoonJu Mangion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f a single human right could change the world? | |
![]() |
현선 안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f a single human right could change the world? | |
![]() |
현선 안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f a single human right could change the world? | |
![]() |
현선 안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f a single human right could change the world? | |
![]() |
현선 안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f a single human right could change the worl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