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역사 대 크리스토퍼 콜롬버스 - 알렉스 젠들러

  • 0:07 - 0:10
    미국과 라틴 아메리카에 있는
    많은 사람들은
  • 0:10 - 0:15
    크리스토퍼 콜롬버스의 항해 기념일을
    축하하며 자라왔습니다
  • 0:15 - 0:18
    그렇지만 그는 두 세상을 하나로 뭉쳐놓은
    용감한 탐험가일까요,
  • 0:18 - 0:22
    아니면 식민주의와 노예제도를 가져온
    무정한 개발자일까요?
  • 0:22 - 0:26
    그리고 그가 미국을 발견하기는 했던가요?
  • 0:26 - 0:32
    콜롬버스를 역사와 크리스토퍼 콜롬버스의
    견해에 올려놓아봅시다
  • 0:32 - 0:34
    "정숙, 법정에서 정숙해주시오.
  • 0:34 - 0:37
    잠깐만, 내가 오늘 법정에
    나오는 날이 맞나?"
  • 0:37 - 0:38
    기침
  • 0:38 - 0:39
    "네, 판사님."
  • 0:39 - 0:44
    1792년부터 콜롬버스의 날은
    실제 기념일인 10월 12일에
  • 0:44 - 0:47
    미국의 많은 지역에서 기념해왔습니다.
  • 0:47 - 0:51
    1934년에 공휴일로 지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 0:51 - 0:55
    각 주들은 기념일을 지킬 의무가 없었습니다.
  • 0:55 - 0:57
    23개의 주만 공공의 서비스를 중지하고
  • 0:57 - 1:01
    더 많은 주들이 기념일을
    전혀 지키지 않고 있습니다.
  • 1:01 - 1:02
    기침
  • 1:02 - 1:03
    "유감스럽군."
  • 1:03 - 1:06
    70년대에는 사람들이 3일동안의
    주말을 만끽할수 있게
  • 1:06 - 1:09
    기념일을 10월달의
    둘째 주 월요일로 옮겼지만
  • 1:09 - 1:12
    제가 생각하기에는 사람들이
    기념일을 싫어하는 것 같았습니다."
  • 1:12 - 1:14
    "어, 우리가 기념하는 것이 뭣이라고 했었나?"
  • 1:14 - 1:17
    "자, 판사님,
    다 이미 학교에서 배웠잖습니까.
  • 1:17 - 1:20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스페인 왕을 설득해서
  • 1:20 - 1:23
    더 나은 인도 무역 항로를 찾는
    임무에 자신을 맡겨달라고 했습니다.
  • 1:23 - 1:27
    땅 위에서 동쪽으로 가지 않고
    지구를 돌아 서쪽으로 배를 타고 말입니다.
  • 1:27 - 1:31
    사람들은 지구가 평평하다고 믿었기에
    말도 안돼는 소리라고 했습니다.
  • 1:31 - 1:33
    그렇지만 크리스토퍼는
    더 잘 알았습니다.
  • 1:33 - 1:36
    그리고 1492년 그는 바다를 항해해서,
  • 1:36 - 1:38
    인도보다 더 나은
  • 1:38 - 1:41
    완전히 새로운 대륙을 발견했습니다.
  • 1:41 - 1:42
    "말도 안돼는 소리"
  • 1:42 - 1:47
    첫째로, 교육받은 사람들은 아리스토텔레스 때부터
    지구가 둥글다는걸 알았습니다.
  • 1:47 - 1:50
    둘째, 콜롬버스는 아무것도 발견하지 않았습니다.
  • 1:50 - 1:53
    그곳에는 이미 천년간 사람들이 살고 있었어요.
  • 1:53 - 1:55
    그리고 그는 처음으로 방문한
    유럽사람도 아니었고요.
  • 1:55 - 1:59
    고대 노르웨이인들은 거의 500년전에
    뉴펀들랜드 섬에 정착해있었습니다."
  • 1:59 - 2:03
    "그렇게 말하지 말게. 그럼 왜 우리는 그 투구를
    쓰고있지 않는거지?"
  • 2:03 - 2:05
    "사실, 그 사람들도 투구를 쓰지 않았습니다."
  • 2:05 - 2:07
    기침
  • 2:07 - 2:10
    "누가 바이킹들이 아주 옛날에
    뭘 했는지 신경씁니까?
  • 2:10 - 2:13
    그 이주자들은 오래가지 못했지만
    콜럼버스는 끝까지 남았습니다.
  • 2:13 - 2:16
    그가 유럽에 가져온 소식은
    뒤를 따라온 모든 탐험가들과
  • 2:16 - 2:20
    이주자들을 고무시키며
    넓게 멀리 퍼졌습니다.
  • 2:20 - 2:24
    콜럼버스가 없었다면
    우리는 이곳에 없었을겁니다."
  • 2:24 - 2:29
    "그리고 그 때문에 100만명의 아메리칸 인디언들은
    오늘날 이곳에 없습니다."
  • 2:29 - 2:32
    콜럼버스가 자기가 찾은 식민지에
    무얼 했는지 아십니까?
  • 2:32 - 2:35
    가장 처음으로 만난 원주민을
    포로로 잡고
  • 2:35 - 2:41
    자신의 일지에 원주민들을 정복하고
    노예로 만드는 것이 얼마나 쉬웠는지 적었습니다.
  • 2:41 - 2:45
    "어허, 이보세요. 그 당시에는 다들
    서로 싸우고 있었잖습니까.
  • 2:45 - 2:46
    원주민들이 콜럼버스에게 다른 부족들이
  • 2:46 - 2:50
    습격한다는 것과 포로들을 가로채간다는
    것에 대해 말하지 않았습니까?
  • 2:50 - 2:53
    "네, 그렇지만 부족간의 전쟁은
    때때로 일어나고 한정됐었습니다.
  • 2:53 - 2:56
    그것은 인구 중의 90%를 감소시키는
    주요 이유가 되지 못해요.
  • 2:56 - 3:00
    "흠, 어쨋거나 , 콤럼버스 날을 기념하는 것이
    왜 그렇게 중요한것인가?
  • 3:00 - 3:03
    "판사님, 콜럼버스의 항해는
    고군분투하는 전 유럽의 사람들에게
  • 3:03 - 3:08
    자유와 새로운 시작을 상징하며
    자극을 주었습니다.
  • 3:08 - 3:12
    그리고 그의 발견은 우리의 할아버지와
    증조할아버지들께 이곳에 와서
  • 3:12 - 3:16
    자식들을 위해 더 나은 삶을 꾸려나갈수
    있는 기회를 주었습니다.
  • 3:16 - 3:19
    우리 나라가 이주민들의 노력으로
    세워졌다는 것을
  • 3:19 - 3:23
    사람들에게 상기시키기 위한
    영웅이 있어야 마땅하지 않겠습니까?"
  • 3:23 - 3:25
    "그렇다면 거의 전멸이 되고
    지정 거류지에 억지로 가야했던
  • 3:25 - 3:28
    또 아직까지 그 자손들이 빈곤과 차별로
    고통을 받고 있는
  • 3:28 - 3:32
    아메리칸 인디언들의 분투는
    어떻게 할겁니까?
  • 3:32 - 3:37
    많은 고통을 일으킨 사람을 어떻게
    영웅이라 할 수 있습니까?
  • 3:37 - 3:41
    "그건 역사입니다. 15세기의 사람을
    현대 기준으로 비판할 수는 없어요.
  • 3:41 - 3:43
    그 당시 사람들은 기독교와 문명을
  • 3:43 - 3:47
    알리는 것이 도덕적인 의무라고 생각했습니다."
  • 3:47 - 3:50
    "사실, 그는 옛날 기준으로 봐도
    별로 좋지 않았습니다.
  • 3:50 - 3:53
    히스파니올라를 다스릴때에도
    그는 충분한 금을 가져오지않는
  • 3:53 - 3:56
    원주민들을 고문시키고
    팔 다리를 잘라 불구로 만들었습니다.
  • 3:56 - 4:00
    그리고 아홉살 정도의 어린 여자아이들을
    성노예로 팔았습니다.
  • 4:00 - 4:03
    또한 그는 통치하는 다른
    식민지들에게도 잔인하게 대해
  • 4:03 - 4:07
    결국 권력을 빼앗기고
    감옥에 수감되었습니다.
  • 4:07 - 4:09
    라스카사스의 바르톨로메 데
    선교사가
  • 4:09 - 4:11
    섬을 방문했을때, 그는
    이렇게 기록했습니다,
  • 4:11 - 4:17
    '1494년부터 1508년까지
    3,000,000명이 넘은 사람들이
  • 4:17 - 4:23
    전쟁, 노예, 광산으로 목숨을 잃었다.
    앞날에 어느 누가 이것을 믿겠는가?'"
  • 4:23 - 4:26
    "그런데, 그 숫자를 확실히
    믿어도 되는지 모르겠소."
  • 4:26 - 4:29
    "이를테면 휴일을 기념할 수있는
    다른 방법이 있지 않겠나?"
  • 4:29 - 4:31
    "몇몇의 라틴 아메리칸 나라들은,
  • 4:31 - 4:36
    '멕시코계 미국 문화의 날'이라는 이름으로
    기념을 하지요.
  • 4:36 - 4:39
    이런 곳에서는 식민지 시대부터
    전해져온 그리고 혼합된 문화들이
  • 4:39 - 4:42
    합쳐진 기념일이라 할 수 있지요.
  • 4:42 - 4:45
    미국의 몇 곳에서는 기념일을
    북미 원주민의 날 이나
  • 4:45 - 4:48
    토착민의 날 이라는 이름으로
    개명했습니다.
  • 4:48 - 4:51
    또 그에 맞춰 기념일을 바꿨습니다.
  • 4:51 - 4:53
    "그래서, 그게 그렇게 문제가 된다면
    이름을 바꾸면 되지 않겠나?"
  • 4:53 - 4:56
    "왜냐하면 전통이기 때문입니다.
  • 4:56 - 4:59
    보통의 사람들은 영웅과
    건국신화가 필요하지요.
  • 4:59 - 5:03
    그냥 이렇게 심각한 조사에 대해
    깊이 탐구하는 것 말고
  • 5:03 - 5:06
    그저 한 세기 동안 기념해온 방법
    그대로 하면 안되겠습니까?
  • 5:06 - 5:09
    뭐 누가 대량학살을 기념하는 것도
    아니잖습니까."
  • 5:09 - 5:12
    "전통은 바뀌고 우리가 그것들을
    그대로 지키는 방법은
  • 5:12 - 5:15
    그 가치에 대해 대변해주지요."
  • 5:15 - 5:22
    "어쨋거나 피곤한 판사들에게 쉬는 날을 주는 것은
    그 가치가 아닌것 같습니다만."
  • 5:22 - 5:25
    관습과 휴무일은 모든 문화에
    중요합니다.
  • 5:25 - 5:29
    하지만 한 시대에서는 영웅인 사람이
    다른 쪽에서는 악인이 될수도 있습니다.
  • 5:29 - 5:33
    우리의 역사적 지식이 늘어나고
    가치가 발달하면서 말입니다.
  • 5:33 - 5:35
    오늘날 이 관습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결정하는 것은
  • 5:35 - 5:39
    역사를 재판에 올려놓는 것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Title:
역사 대 크리스토퍼 콜롬버스 - 알렉스 젠들러
Speaker:
Alex Gendler
Description:

동영상 전체 보기 : http://ed.ted.com/lessons/history-vs-christopher-columbus-alex-gendler

미국과 라틴 아메리카의 많은 사람들은 크리스토버 콜롬버스의 항해 기념일을 축하해왔습니다. 그렇지만 그는 두 세상을 함께 모은 용감한 탐험가인가요, 아니면 식민제도와 노예제도를 가져온 무정한 개발자일까요? 그리고 그가 미국을 발견하기는 했던가요? 알렉스 젠들러가 콜롬버스를 역사 대 크리스토버 콜롬버스에 견해에 올려놓고 설명합니다.

강의: 알렉스 젠들러, 애니메이션: 브랫 언더힐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closed TED
Project:
TED-Ed
Duration:
05:55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