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해지는 경영을 단순화하는 6가지 법칙
-
0:00 - 0:03저는 지난 수년간
-
0:03 - 0:05두 개의 수수께끼를 풀고자
노력해 왔습니다. -
0:05 - 0:10첫번째는
왜 제가 협력한 회사들이 모두 -
0:10 - 0:12아주 실망스러운 생산성을
보여줬는가 하는 겁니다. -
0:12 - 0:15저는 지금껏 500개가 넘는
회사와 일해 왔습니다. -
0:15 - 0:18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
-
0:18 - 0:21컴퓨터, I. T., 통신 기술,
-
0:21 - 0:23인터넷을 포함해서요.--
-
0:23 - 0:25두번째 수수께끼는
-
0:25 - 0:28왜 일에 대한 직원들의 집중도가
그렇게 저조한가 입니다. -
0:28 - 0:30직원들은 왜 그렇게 불행하며
-
0:30 - 0:34심지어 적극적으로
자신의 일과 거리를 두는가? -
0:34 - 0:35왜 직장 동료들과의 소통을 피하고
-
0:35 - 0:40회사의 이익에 반하는
행동을 하는가 입니다. -
0:40 - 0:44수많은 단체 행사,
-
0:44 - 0:48축하 행사, 시민 주도 모임,
-
0:48 - 0:51팀원에게 동기 부여를 할 수 있도록
팀장들을 교육하는 -
0:51 - 0:55리더십 개발 프로그램까지
있는데 말입니다. -
0:55 - 0:57저는 처음에 이 문제가
-
0:57 - 0:59닭과 달걀의 문제라고
생각했습니다. -
0:59 - 1:01업무에 적극적인 관심을 갖지 못하면
생산성이 낮아지기 마련입니다. -
1:01 - 1:03반대로, 생산성이 낮으면
직원들은 더 많은 압력을 받게 되고 -
1:03 - 1:06이로 인해 일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
1:06 - 1:08하지만 저희는 분석을 통해
-
1:08 - 1:09이 두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은
-
1:09 - 1:11하나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
1:11 - 1:15경영의 가장 기본이 되는
기둥에 관한 문제였지요. -
1:15 - 1:19회사를 조직하는 데에는
두개의 기둥이 있습니다. -
1:19 - 1:21딱딱한 기둥 -
구조, 과정, 시스템, -
1:21 - 1:23그리고 부드러운 기둥 --
-
1:23 - 1:28감정, 정서, 인간 관계,
개인적 특성, 성격 등이 있습니다. -
1:28 - 1:29어떤 회사든 재조직이나
-
1:29 - 1:33구조 조정, 업무 재구축,
-
1:33 - 1:36문화적 변화 과정등을 거칠 때
-
1:36 - 1:38이 두 개의 기둥을 선택합니다.
-
1:38 - 1:40두 기둥을 더 발전시키고
-
1:40 - 1:42융합하려고 노력하지요.
-
1:42 - 1:43하지만 진짜 문제는 --
-
1:43 - 1:45여기에 두개의 수수께끼에 대한
답이 있습니다. -- -
1:45 - 1:48이 기둥들이 더이상
의미가 없다는 것입니다. -
1:48 - 1:51여러분이 읽으시는
모든 경영 서적은 -
1:51 - 1:53이 기둥 중에
-
1:53 - 1:54한두개의 혼합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
1:54 - 1:55하지만 이 개념은
더이상 무의미 합니다. -
1:55 - 1:57점점 복잡해지는
-
1:57 - 2:00경영 문제들을
-
2:00 - 2:02기둥 방식으로 접근하면
어떻게 될까요? -
2:02 - 2:05딱딱한 기둥을 봅시다.
전략, 요건, 구조, 과정, -
2:05 - 2:08시스템, 주요 성과지표, 점수표,
-
2:08 - 2:11위원회, 본부, 허브, 클러스터,
-
2:11 - 2:12다 대보세요.
-
2:12 - 2:18수치 기준, 장려책, 위원회,
중견 관리직, 인터페이스도 있죠. -
2:18 - 2:20왼쪽에 보시면
-
2:20 - 2:23더 복잡해졌습니다.
경영이 더 복잡해진 겁니다. -
2:23 - 2:27품질, 비용, 신뢰도, 속도,
다 좋아야 하는데 -
2:27 - 2:30새로운 요구 사항이 생길 때마다
-
2:30 - 2:31우리는 똑같은 방식으로
대응합니다. -
2:31 - 2:34전용 구조화된 시스템을 만들어서
-
2:34 - 2:38새로운 복잡성에 대응하려고 하죠.
-
2:38 - 2:41딱딱한 방식은 조직 구조를
-
2:41 - 2:43더 복잡하게 만들 뿐입니다.
-
2:43 - 2:45예를 들어보겠습니다.
-
2:45 - 2:48자동차 회사에서
엔지니어링 부서는 -
2:48 - 2:495차원의 매트릭스 입니다.
-
2:49 - 2:52이 매트릭스의 한 칸을 열면
-
2:52 - 2:55안에는 또 다른 20차원의
매트릭스가 들어있습니다. -
2:55 - 2:57소음 문제, 휘발유 소모 문제,
-
2:57 - 2:59충돌 방지 요소 문제도 있죠.
-
2:59 - 3:01새로운 요구 사항이 생길 때마다
-
3:01 - 3:03그 요구 사항에 맞게
-
3:03 - 3:06엔지니어들을 재정렬하는
-
3:06 - 3:07전담 기능도 따로 있습니다.
-
3:07 - 3:10새 요구 사항이 생기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요? -
3:10 - 3:12수년전 시장에
-
3:12 - 3:14새로운 요건이 떠올랐습니다.
-
3:14 - 3:16그것은 제품 보증 기간이었습니다.
-
3:16 - 3:19새로운 요구 사항은
즉 자동차의 보수 가능성, -
3:19 - 3:21즉 수리가 더 쉽도록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
3:21 - 3:25전조등을 고치러 정비소에 갔는데
-
3:25 - 3:27전조등을 고치기 위해서
-
3:27 - 3:28엔진부터 떼어 내야한다면
-
3:28 - 3:31정비에는 2시간이 아니라
일주일이 걸릴테고 -
3:31 - 3:33제품 보상 비용은
어마어마하게 늘어날 것입니다. -
3:33 - 3:36이 문제에 대해 딱딱한 방식의
해결책은 무엇입니까? -
3:36 - 3:39차의 보수 가능성은
새로운 요구 사항이니까 -
3:39 - 3:42그에 맞는 새 기능을
더하는 겁니다. -
3:42 - 3:44보수 가능성이요.
-
3:44 - 3:48보수 가능성은
새로운 보수 공정을 설계합니다. -
3:48 - 3:51보수 가능성 점수표와
보수 가능성 수치 -
3:51 - 3:54그리고 나중에는
보수성 장려책도 나오게 됩니다. -
3:54 - 3:58다른 25개의 주요 성과지표도
마찬가지입니다. -
3:58 - 4:02여기에 변동 보수제가
얼마나 적용될까요? -
4:02 - 4:05최대 20퍼센트 입니다.
이걸 26가지의 주요 성과지표로 나누면 -
4:05 - 4:10보수 가능성은 딱 0.8퍼센트만
차지하고 있습니다. -
4:10 - 4:12직원들이 업무를
단순화 하기 위해 노력할 -
4:12 - 4:14이유가 있습니까?
없습니다. -
4:14 - 4:18아무 영향력이 없는 결정은요?
보수 가능성 문제, 공정, -
4:18 - 4:23점수표, 평가, 그리고
25명의 다른 조정자들과 조정하는 건 -
4:23 - 4:24아무 결과도 내지 못합니다.
-
4:24 - 4:27경영의 새로운 복잡함에
대응하는 방법은 -
4:27 - 4:30줄줄이 보고서를 작성하며
-
4:30 - 4:32똑바른 상자들을
그려나가는 게 아니라 -
4:32 - 4:35상호 작용에 그 열쇠가 있습니다.
-
4:35 - 4:38여러 다른 부품이
어떻게 함께 작동하는지입니다. -
4:38 - 4:43연결 관계, 상호 작용,
그리고 접합 부분입니다. -
4:43 - 4:47상자로 만들어진 뼈대가 아니라
-
4:47 - 4:50적응력있고 지능적인
신경 구조의 문제인 것입니다. -
4:50 - 4:53말하자면 협력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
4:53 - 4:56무슨 일에서 있어서든지
-
4:56 - 5:00협력은 자원 소모를 줄입니다.
-
5:00 - 5:02방금 얘기한 보수 가능성의 문제도
-
5:02 - 5:05협력의 문제입니다.
-
5:05 - 5:08자동차를 설계할 때는
-
5:08 - 5:11판매 후 정비소에서
그 차를 수리할 사람들의 -
5:11 - 5:14입장도 생각해 주십시오.
-
5:14 - 5:17협력하지 않으면
더 많은 시간이 들고, -
5:17 - 5:20더 많은 장비, 더 많은 시스템,
더 많은 팀이 필요하게 됩니다. -
5:20 - 5:25물품 조달, 공급 과정, 그리고
제조 부서가 협력하지 않으면 -
5:25 - 5:28더 많은 재고와 재고 자산 그리고
더 많은 자본이 필요하게 됩니다. -
5:28 - 5:30그 비용을 누가 다 부담합니까?
-
5:30 - 5:32주주들이요? 고객들이요?
-
5:32 - 5:33아니요, 그들은 거절할 겁니다.
-
5:33 - 5:36그럼 누가 남죠?
바로 직원들입니다. -
5:36 - 5:39협력의 부재로 인해
생기는 비용은 -
5:39 - 5:42직원 개개인의 노력으로
메꿀 수 밖에 없습니다. -
5:42 - 5:46이는 지나친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
극도의 피로, 사고로 이어집니다. -
5:46 - 5:49그러니 직원들이 일에서
벗어나려고 할 수 밖에요. -
5:49 - 5:53딱딱하거나 부드러운 방식이
어떻게 협력을 제고합니까? -
5:53 - 5:57딱딱한 방식의 예를 들어보죠.
-
5:57 - 6:00은행에서 전방 부서와
후방 부서 사이에 문제가 생기면 -
6:00 - 6:02협력해서 문제를 푸는 게 아니라
어떻게 하나요? -
6:02 - 6:05중간 부서를 새로 만듭니다.
-
6:05 - 6:071년 후에는 어떻게 될까요?
-
6:07 - 6:09후방 부서와 전방 부서 간의
한가지 문제 대신 -
6:09 - 6:11두가지 문제가 생깁니다.
-
6:11 - 6:12후방 부서와 중간 부서 사이,
-
6:12 - 6:14또 중간 부서와 전방 부서 사이에요.
-
6:14 - 6:17게다가 중간 부서에도
돈이 들어가게 됩니다. -
6:17 - 6:20딱딱한 방식은
협력을 제고하지 못합니다. -
6:20 - 6:24새 상자들만 더할 뿐이죠.
뼈대에 새 뼈들만 더할 뿐입니다. -
6:24 - 6:26그럼 부드러운 방식을 볼까요:
-
6:26 - 6:30사람들이 협력하게 하려면
서로 좋아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
6:30 - 6:31직원간의 관계에서
기분을 향상시키는 거죠. -
6:31 - 6:34우리는 상대방을 좋아할수록
그들과 더 협력하게 되어있습니다. -
6:34 - 6:36그런데 이런 접근법은
완전히 틀렸습니다. -
6:36 - 6:39심지어 역효과를 낳을 수도 있습니다.
-
6:39 - 6:41저희 집에는 TV가 2대 있어요.
왜일까요? -
6:41 - 6:44바로 저와 아내가 협력하지
않아도 되기 위해섭니다. -
6:44 - 6:46(웃음)
-
6:46 - 6:48아내에게 어떤 거래를
강요하지 않기 위해서죠. -
6:48 - 6:52제가 아내에게 거래를
강요하지 않는 이유는 -
6:52 - 6:55아내를 사랑하기 때문입니다.
-
6:55 - 6:58아내를 사랑하지 않았다면
TV는 한 대로 족했을 거에요. -
6:58 - 7:01당신은 내가 좋아하는
축구 경기를 봐야해. -
7:01 - 7:03그게 싫으면 책을 읽거나,
아니면 다른 방으로 가는 게 어때? -
7:03 - 7:05(웃음)
-
7:05 - 7:06우리는 서로를 좋아할수록
-
7:06 - 7:09진지한 협력을 피하게 됩니다.
-
7:09 - 7:13서로 쉽지 않은 타협을 하며
관계에 부담을 주기 원치 않으니까요. -
7:13 - 7:16그래서 TV를 한 대 더 사거나
-
7:16 - 7:19윗선에 중재를 요청하는 것입니다.
-
7:19 - 7:24딱딱한 혹은 부드러운 방식,
이들은 이제 쓸모가 없습니다. -
7:24 - 7:28복잡성에 대응하기 위해서,
신경 구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
7:28 - 7:31저희는 똑똑한 단순함 이라는
새로운 접근법을 고안했습니다. -
7:31 - 7:32단순한 법칙들입니다.
-
7:32 - 7:35그 첫번째는:
-
7:35 - 7:38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을 이해해라.
-
7:38 - 7:40그들의 진짜 업무가 무엇인가?
-
7:40 - 7:43정해진 상자들,
-
7:43 - 7:47직무 기술서,
표면적인 틀을 넘어서 -
7:47 - 7:51업무의 실제적인 내용을
파악해야 합니다. -
7:51 - 7:54제가 디자이너라면,
이곳에 전선을 넣으면 -
7:54 - 7:56정비공이 전조등을 수리하기 위해서
-
7:56 - 7:58엔진을 떼어 내야 할 거라는
사실을 알게되는 겁니다. -
7:58 - 8:01두번째로, 통합자들에게
힘을 줘야 합니다. -
8:01 - 8:05통합자들은 중간 부서가 아니라
관리자들입니다. -
8:05 - 8:07관리자에게 다른 직원들을
-
8:07 - 8:09서로 협력하게 할
-
8:09 - 8:11권한과 동기가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
8:11 - 8:15어떻게 하면 관리자들을
통합자로 강화할 수 있을까요? -
8:15 - 8:16층을 없애면 됩니다.
-
8:16 - 8:18층이 많을수록
-
8:18 - 8:19사람들은 실제적인 업무에서
더 멀어지고 -
8:19 - 8:21더 많은 KPI와 수치들이
필요하게 됩니다. -
8:21 - 8:26실질적인 업무 대신 형편없는
대체물이 필요하게 되는 것입니다. -
8:26 - 8:27사람들은 현실적인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고 -
8:27 - 8:30수치와 KPI들의
복잡성만 더할 뿐입니다. -
8:30 - 8:33규정들을 없애야 합니다.
회사의 크기가 클수록 -
8:33 - 8:35더 많은 통합자들이 필요합니다.
-
8:35 - 8:37규정의 수가 적을수록
-
8:37 - 8:41관리자들에게
더 많은 재량권이 생깁니다. -
8:41 - 8:42보통은 그 반대죠. --
-
8:42 - 8:44회사가 클수록
더 많은 규정을 만들어냅니다. -
8:44 - 8:47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만한
규정집이 생겨납니다. -
8:47 - 8:49개인 권한의 크기를 늘려서
-
8:49 - 8:51모든 직원이 자신의 판단력,
-
8:51 - 8:54자신의 지능을 쓸 수 있도록
힘을 줘야 합니다. -
8:54 - 8:56직원들에게 더 많은 패를 주어서
-
8:56 - 9:00가진 패의 가짓수가 많아지면
-
9:00 - 9:02그들은 협력이라는
모험을 할 수 있게 되고 -
9:02 - 9:03분리된 구조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
9:03 - 9:06힘이 없으면 몸을 사릴 수 밖에
없습니다. 집중도 관심도 낮아집니다. -
9:06 - 9:08제가 드리는 이 법칙들은 게임 이론과
-
9:08 - 9:10구조 사회학을 바탕으로 합니다.
-
9:10 - 9:13현재를 통해 미래를 바꿀 수 있습니다.
-
9:13 - 9:16피드백의 순환 고리를 만들어
-
9:16 - 9:19직원들에게 자신의 행동의 결과가
어떤지 보여주는 것입니다. -
9:19 - 9:20앞서 말한 자동차 회사는 보수 가능성이
어떤 영향도 끼치지 못해다는 것을 -
9:20 - 9:23깨달았을 때,
바로 이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
9:23 - 9:25그들은 디자인 엔지니어에게 말했습니다.
-
9:25 - 9:30"지금 디자인 중인 새 차가
3년 후 시장에 출고 될 때 -
9:30 - 9:33당신은 판매 부서로
인사 이동 되어서 -
9:33 - 9:35보증 비용 문제를
담당하게 될 겁니다. -
9:35 - 9:38만약 그 비용이 폭발하면
-
9:38 - 9:41당신의 코 앞에서
폭발하게 될 거에요." (웃음) -
9:41 - 9:470.8 퍼센트의 변동 임금보다
훨씬 더 큰 동기 부여가 될 겁니다. -
9:47 - 9:51또한 상호성을 늘려야 합니다.
-
9:51 - 9:54각각 자급자족 할 수 있게 하는
서로 간의 완충지를 제거해야 합니다. -
9:54 - 9:57이 완충지가 없어질 때
-
9:57 - 10:00여러분은 제 코를 잡고
저는 여러분의 귀를 잡습니다. -
10:00 - 10:01협력 할 수 밖에 없어요.
-
10:01 - 10:03두번째 TV를 없애세요.
-
10:03 - 10:05회사들에는 이같은
"두번째 TV"들이 많습니다. -
10:05 - 10:06가치를 창조하는 게 아니라
-
10:06 - 10:11역기능적인 자급자족만
가능하게 할 뿐이기 때문입니다. -
10:11 - 10:13협력하는 사람들에게 상을 주고
-
10:13 - 10:15협력하지 않는 사람들은
책임을 물어야 합니다. -
10:15 - 10:18레고 그룹의 CEO인
-
10:18 - 10:21요르겐 비 크누스토르프는
이를 아주 잘 실행했습니다. -
10:21 - 10:24그가 말하길, 문책은
일에 대한 실패로 받는 게 아니라 -
10:24 - 10:28도와주거나 도움을 구하는 데
실패해서 받는 거라고 말합니다. -
10:28 - 10:31이 법칙은 모든 걸 바꿉니다.
-
10:31 - 10:33갑자기 자신의 진짜 약점들,
-
10:33 - 10:35진짜 가능성들을 있는 그대로
공개하는 게 득이 됩니다. -
10:35 - 10:37왜냐하면 실패했을 때
책임을 지는 게 아니라 -
10:37 - 10:41돕거나 도와달라고 말하지 못했을 때
책임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
10:41 - 10:44이 법칙들은 조직 구조를
디자인 하는데 있어서 -
10:44 - 10:47많은 영향을 끼칩니다.
-
10:47 - 10:50여러분은 상자와 점선
혹은 실선을 그리는 걸 멈추고 -
10:50 - 10:51상호 작용을 살펴보게 될 것입니다.
-
10:51 - 10:54우리가 사용하는 금융 정책에도
-
10:54 - 10:55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
10:55 - 10:58인사 관리 관행에서도요.
-
10:58 - 11:00제가 보여드린 방법들을 실천하면
복잡성을 다룰 수 있게 됩니다. -
11:00 - 11:02경영의 새로운 복잡성을
-
11:02 - 11:05복잡하지 않게
다룰 수 있게 됩니다. -
11:05 - 11:08더 적은 비용으로 더 많은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
11:08 - 11:13일의 성과와 동시에
직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11:13 - 11:16이 둘을 방해하는
-
11:16 - 11:17공통 분모를
제거했기 때문입니다. -
11:17 - 11:22복잡성: 경영 지도자 여러분,
이게 바로 여러분의 적입니다. -
11:22 - 11:25경쟁자들을 대상으로
싸우는 게 아닙니다. -
11:25 - 11:27그건 헛소리고
뜬구름 잡는 소리에요. -
11:27 - 11:30우리가 언제 경쟁 회사들을
만나서 싸웁니까? -
11:30 - 11:33진짜 싸움은
우리 자신과의 싸움입니다. -
11:33 - 11:36우리 내부의 관료 주의,
우리 내부의 복잡함. -
11:36 - 11:39여러분만이 이것들과
싸울 수 있습니다. -
11:39 - 11:41감사합니다.
-
11:41 - 11:44(박수)
- Title:
- 복잡해지는 경영을 단순화하는 6가지 법칙
- Speaker:
- 이브 모리악 (Yves Morieux)
- Description:
-
왜 사람들은 직장에서 그렇게 불행하고 일에 대한 관심을 잃을까요? 회사들은 갈수록 어지러울 정도로 복잡해지며, 전통적인 경영 관리의 기둥들은 의미를 잃었고, 결국 직원 개개인이 토끼굴 같은 상호 의존의 미로를 헤매며 다닐 수 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이브 모리악은 말합니다. 이 정열적인 강연에서 모리악은 6가지의 똑똑한 단순화 법칙을 제안합니다. (첫번째 법칙: 직장 동료의 진짜 업무가 무엇인지 이해하게 하세요)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Talks
- Duration:
- 12:01
![]() |
K Bang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As work gets more complex, 6 rules to simplify | |
![]() |
K Bang commented on Korean subtitles for As work gets more complex, 6 rules to simplify | |
![]() |
K B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s work gets more complex, 6 rules to simplify | |
![]() |
K B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s work gets more complex, 6 rules to simplify | |
![]() |
K B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s work gets more complex, 6 rules to simplify | |
![]() |
Retired user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As work gets more complex, 6 rules to simplify | |
![]() |
Retired u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s work gets more complex, 6 rules to simplify | |
![]() |
Retired u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s work gets more complex, 6 rules to simplify |
K Bang
안녕하세요?
주로 각줄의 글자수 제한을 넘기지 않는 수준의 수정을 했습니다. 불빛은 자동차의 전조등을 지칭해서 그렇게 바꾸었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