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 시를 시답게 만들어줄까요? - 멜리사 코박스(Melissa Kovacs)
-
0:07 - 0:11무하마드 알리는 세계 최고의
권투 선수가 되기 위해 -
0:11 - 0:14수 년을 연습했지만,
-
0:14 - 0:17순식간에 가장 짧은 시를 써냈습니다.
-
0:17 - 0:21알리는 1975년도 하버드대 졸업식에서
-
0:21 - 0:25결속과 우정에 관한 메시지로
청중의 마음을 사로잡았습니다. -
0:25 - 0:27축사를 마쳤을 때 청중들은
더 듣고 싶어했습니다. -
0:27 - 0:29시를 원했어요.
-
0:29 - 0:33알리는 세상에서 가장 짧은 시로
여겨지는 시를 전했습니다. -
0:33 - 0:36"나, 우리(Me, We)"
-
0:36 - 0:38아니면 "나, 우와아아아"였을까요?
-
0:38 - 0:39아무도 모릅니다.
-
0:39 - 0:45어쨌든 이 두 단어들이 시라면
무엇이 시를 시답게 만드는 걸까요? -
0:45 - 0:48시인들은 이 물음에 답하려고
분투해왔고, -
0:48 - 0:52종종 그 정의에 근접하기 위해
비유도 사용했습니다. -
0:52 - 0:54시는 작은 기계일까?
-
0:54 - 0:55폭죽일까?
-
0:55 - 0:56메아리일까?
-
0:56 - 0:57꿈일까?
-
0:57 - 1:01시는 주로 눈에 띄는 특정한
특징들을 지니고 있습니다. -
1:01 - 1:06첫째, 시는 언어의
음악적 특성을 강조합니다. -
1:06 - 1:08이는 압운, 각운, 반복, 운율로
드러날 수 있습니다. -
1:08 - 1:10셰익스피어의 소네트부터
-
1:10 - 1:14공자의 시와 산스크리트 경전까지요.
-
1:14 - 1:17둘째, 시는 압축된 언어를 사용합니다.
-
1:17 - 1:20물기를 모두 짜낸 문학처럼요.
-
1:20 - 1:24셋째, 시는 종종
강렬한 감정을 담습니다. -
1:24 - 1:26루미의 종교적인 시부터
-
1:26 - 1:29파블로 네루다의
"양파에 바치는 송시"까지 -
1:29 - 1:34시는 예술처럼
단순한 정의에 도전합니다. -
1:34 - 1:36초기의 시가 가진 율동적인 패턴은
-
1:36 - 1:40문학 작법이 생기기도 전에
이야기를 기억하기 위한 수단이었습니다. -
1:40 - 1:43시가 서정적일 필요는 없습니다.
-
1:43 - 1:44라인하르트 될의 시 "사과"와
-
1:44 - 1:47오이겐 곰링거의 시 "침묵하기"는
-
1:47 - 1:50시각적 예술과 시의 경계에 있습니다.
-
1:50 - 1:54한편, E. E. 커밍스는
형태가 단어만큼이나 중요했던 -
1:54 - 1:55시를 썼습니다.
-
1:55 - 2:02이 시에서는 잎사귀 하나가 허공으로
떨어지는 슬픈 외로움이 확대되죠. -
2:02 - 2:06시의 시각적인 특성이 저편으로 사라지면
-
2:06 - 2:08우리에겐 음악만 남을 것입니다.
-
2:08 - 2:11이 내용은 사람들이 즐겨
토론하는 분야죠. -
2:11 - 2:13노래는 시일까요?
-
2:13 - 2:16많은 이들이 작사가를 문학적
의미에서의 시인으로 보지 않습니다. -
2:16 - 2:19하지만 폴 사이먼이나
-
2:19 - 2:21밥 딜런, 투팍같은 이들의 가사는
-
2:21 - 2:24음악 없이도 살아남기도 합니다.
-
2:24 - 2:27랩에서 운이나 운율과 심상같은
시적인 요소들은 -
2:27 - 2:30형식과 분리될 수 없습니다.
-
2:30 - 2:32노토리어스 비아이지의 가사를 보세요.
-
2:32 - 2:35"너의 볼을 달콤하게 타고
흘러가는 소리가 들려 -
2:35 - 2:37너의 심장 소리는
짐승의 발소리처럼 들려 -
2:37 - 2:40천둥처럼 콘크리트를 흔들어."
-
2:40 - 2:43여태까지 우리가 본 예시들은
행이 나뉘어져 있었습니다. -
2:43 - 2:48알리의 시의 두 단어가 공중에서
정렬되는 것도 상상해볼 수 있습니다. -
2:48 - 2:50나, 우리.
-
2:50 - 2:53시는 우리가 대체로 알아볼 수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
2:53 - 2:57행의 구분은 독자가 시의 운율을
느낄 수 있게 해줍니다. -
2:57 - 3:00그런데 행의 구분이
사라지면 어떻게 될까요? -
3:00 - 3:02시로서의 본질을 잃게 될까요?
-
3:02 - 3:03아마도 아닐 거예요.
-
3:03 - 3:05산문시를 보세요.
-
3:05 - 3:08산문시는 생생한 이미지와
언어유희를 사용하지만 -
3:08 - 3:11문단처럼 구성되어 있습니다.
-
3:11 - 3:15시를 형식보다는 개념으로 보면
-
3:15 - 3:18우리 주위의 모든 곳에서
시가 보입니다. -
3:18 - 3:19찬송가도 있고
-
3:19 - 3:23연설가들의 연설문도 있습니다.
마틴 루터 킹이나 존 F. 케네디, -
3:23 - 3:25윈스턴 처칠같은 사람들 말이에요.
-
3:25 - 3:27그리고 소셜 미디어같은
예상치 못한 곳에서도 보입니다. -
3:27 - 3:332010년에 기자인 조안나 스미스는
아이티의 지진 속에서 트윗을 올렸어요. -
3:33 - 3:36"침실에서 옷을 입다가
내 이름을 들었음. -
3:36 - 3:39떨림. 미끄러지는 문 사이로
밖으로 뛰어나갔음. -
3:39 - 3:43이제 조용함. 안전함.
수탉이 울고 있음." -
3:43 - 3:46스미스는 강렬하고 직설적이며
생생한 이미지로 가득 찬 방식으로 -
3:46 - 3:48언어를 사용합니다.
-
3:48 - 3:51그녀의 언어와 하이쿠를 비교해보세요.
-
3:51 - 3:56하이쿠는 일본 고유의 시 형식으로
3줄로 된 5-7-5 음절로 -
3:56 - 4:01짧지만 강렬하게
터뜨리는 것을 강조합니다. -
4:01 - 4:04시의 강물은 넓고 깊게 흐릅니다.
-
4:04 - 4:06시는 시간이 갈수록 진화해 왔습니다.
-
4:06 - 4:07지금은 그 어느 때보다도
많이 진화하고 있습니다. -
4:07 - 4:13시와 산문, 노래, 시각적 예술 사이의
경계는 모호해졌습니다. -
4:13 - 4:15하지만 변하지 않은 것이 하나 있습니다.
-
4:15 - 4:19시라는 단어는 사실 동사에서
파생되었습니다. -
4:19 - 4:24제작을 뜻하는 '포이에시스'라는
그리스어에서 나왔습니다. -
4:24 - 4:28시인은 장인들처럼 여전히
세상의 소재들로 -
4:28 - 4:30새로운 인식을 만들고
-
4:30 - 4:36인간으로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인간만이 가능한 방법으로 표현합니다. -
4:36 - 4:42다트머스 연구원들은 이 이론을 실험하기
위해 로봇에게 시를 쓰게 했습니다. -
4:42 - 4:45심사위원단이 사람이 쓴 시와
기계가 쓴 시를 구분할 수 있는지 -
4:45 - 4:49알아보기 위해 소네트 한 더미를
분류하게 했습니다. -
4:49 - 4:53여러분이 알면 기뻐할텐데요,
과학자들이 인공지능을 이용해 -
4:53 - 4:59약이나, 심지어 신문 기사를
만드는 것은 성공했지만 -
4:59 - 5:01시에서는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
5:01 - 5:05로봇이 쓴 시는 100% 찾아냈거든요.
- Title:
- 무엇이 시를 시답게 만들어줄까요? - 멜리사 코박스(Melissa Kovacs)
- Description:
-
전체 영상 보기: http://ed.ted.com/lessons/what-makes-a-poem-a-poem-melissa-kovacs
시를 시답게 만들어주는 것은 대체 무엇일까요? 시인들도 이 질문에 대한 답을 고심해왔습니다. 그 정의에 가까워지기 위해 비유를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시는 작은 기계일까? 폭죽일까? 메아리일까? 꿈일까? 멜리사 코박스는 대부분의 시가 지닌 세 가지 눈에 띄는 특징들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설명: 멜리사 코박스(Melissa Kovacs)
애니메이션 제작: 에이스 앤 선 무빙 픽처스(Ace & Son Moving Picture Co., LLC.)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Ed
- Duration:
- 05:20
![]() |
JY Kang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What makes a poem … a poem? - Melissa Kovacs | |
![]() |
JY K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makes a poem … a poem? - Melissa Kovacs | |
![]() |
Retired user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makes a poem … a poem? - Melissa Kovacs | |
![]() |
Retired u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makes a poem … a poem? - Melissa Kovacs | |
![]() |
Retired u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makes a poem … a poem? - Melissa Kovacs | |
![]() |
Retired u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makes a poem … a poem? - Melissa Kovacs | |
![]() |
Ju Hye L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makes a poem … a poem? - Melissa Kovacs | |
![]() |
Ju Hye L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makes a poem … a poem? - Melissa Kovac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