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발음 나는대로 쓰지 않는가?
-
0:01 - 0:06과거에 우리는 학교에서 철자법을
배우는데 많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
0:06 - 0:12그리고 여전히 아이들은 철자법을
배우는데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
0:13 - 0:16그래서 저는 여러분께
이 질문을 하고자 합니다. -
0:18 - 0:22우리에게 새로운 철자법이 필요한가요?
-
0:22 - 0:24예, 우리에게 새로운
철자법이 필요합니다. -
0:24 - 0:27사실, 우리는 현재의 철자법보다
더 간단한 철자법이 필요합니다. -
0:29 - 0:33수 세기에 걸쳐 스페인어에 대한
많은 질문과 답이 논의되어 왔기 때문에 -
0:34 - 0:38더 이상 그에 대한 새로운
질문이나 답이 있지 않습니다. -
0:38 - 0:43맨 처음 스페인어 문법 가이드가
만들어진 1492년 이래로 -
0:44 - 0:49안토니오 드 네브리야는 간단명료한
철자법 원칙을 만들어 냈습니다. -
0:50 - 0:52"...그러므로, 우리는 발음나는 대로
단어들을 써야하고 -
0:52 - 0:55쓰여진대로 발음해야 한다."
-
0:55 - 0:58각각의 소리는 글자 하나하나에
상호작용하게 되어 있고 -
0:58 - 1:01글자 하나하나는 한 소리만
내도록 되어 있으며 -
1:02 - 1:07어떤 글자이든 소리가 나지 않으면
제거 되어야 했습니다. -
1:08 - 1:10이런한 접근 즉, 음성학적 접근
-
1:10 - 1:14다시 말해, 우리는 발음 나는대로
써야 한다는 접근은 -
1:14 - 1:19우리의 철자법에 근원이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합니다. -
1:19 - 1:23그러한 이유는
-
1:23 - 1:25영어나 프랑스 혹은
-
1:25 - 1:27그밖의 언어와는 다르게
-
1:27 - 1:32스페인어는 발음과 현저하게
다르게 쓰여 졌습니다. -
1:32 - 1:35하지만 음성학적 접근은
오늘날 존재하지 않읍니다. -
1:35 - 1:39왜냐하면, 18 세기 무렵, 우리가 쓰기를
표준화 하기로 결정할 무렵 -
1:39 - 1:43또 다른 접근 방법이 표준화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1:43 - 1:46그것은 어원학적 접근방법으로
-
1:46 - 1:48단어는 그 기원이 라틴어냐
아니면 그리스어냐에 따라 -
1:48 - 1:51즉 그 기원에 따라 표기되어야
한다는 접근 방법입니다. -
1:51 - 1:53그러한 결과로 소리가 나지는 않지만
-
1:53 - 1:57우리가 쓰기에는 포함하는 H같은
묵음이 생겨났을 뿐 아니라 -
1:57 - 2:00많은 사람들이 믿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
2:00 - 2:03스페인어 발음에는 아무런
발음의 차이가 없는 -
2:03 - 2:07B 와 V 모두 우리 단어에
쓰이게 되었읍니다. -
2:07 - 2:12G로 시작하는 단어를 예로 들자면
"gente" 의 G 소리는 -
2:12 - 2:14기성이지만, "gato" 의
G 발음은 반기성입니다. -
2:14 - 2:18또 다른 예로, 어떤 경우엔 한 소리,
어떤 경우엔 두 소리에 상응하지만 -
2:18 - 2:22세 소리에는 상응하지 않은
C, S, Z 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
2:22 - 2:24우리가 갖게 되었죠.
-
2:26 - 2:28여러분 모두 경험을 통해
-
2:28 - 2:31이 모든 내용을 알고 계실거에요.
-
2:32 - 2:35우리 모두는 학교에서 많은 시간과
-
2:35 - 2:39우리 어마어마한 두뇌를 쏟아 부어
-
2:39 - 2:44받아쓰기, 철자법, 무엇보다도
-
2:44 - 2:45철자법에 해당 되지 않은
예외들을 외우는데 -
2:45 - 2:50많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
2:51 - 2:55우리는 많은 방면으로
암시적이든 명시적이든 -
2:55 - 2:57우리의 철자법 교육에
-
2:57 - 3:00기본적인 문제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
3:01 - 3:04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생님들은 그들 자신에게 -
3:04 - 3:07왜 그것이 중요한지
물어보지 않았습니다. -
3:07 - 3:10사실, 그들은 스스로에게
-
3:10 - 3:13철자법의 목적이 무었인지
-
3:14 - 3:17왜 철자법이 필요한지 조차도
물어보지 않았습니다. -
3:19 - 3:21사실, 누군가 이러한 질문을 한다면
-
3:21 - 3:25그 답은 시간들여
생각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
3:25 - 3:26아주 간단합니다.
-
3:27 - 3:31철자법은 우리가
같은 방법으로 쓸 수 있게끔 -
3:31 - 3:33통일화 시켜주고
-
3:33 - 3:38우리가 읽을 때보다
편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3:38 - 3:41하지만 다른 언어학적 관점에서 보면
-
3:41 - 3:44구두점과는 다르게
-
3:44 - 3:50철자법에는 개인적인 감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
3:50 - 3:52구두점에는 있습니다.
-
3:52 - 3:56구두점을 사용해 우리는
문구의 의미를 바꿀 수 있습니다. -
3:56 - 3:57또한 글을 쓸 때 구두점을 사용하여
-
3:58 - 4:02특별한 리듬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
4:02 - 4:04하지만, 철자법은 다릅니다.
-
4:04 - 4:07맞든 틀리든, 철자법은
-
4:07 - 4:11현 철자법에 따라
맞고 틀림이 드러납니다. -
4:12 - 4:17그렇다면, 현 철자법을 간단하게
만들어서 철자법을 바르게 -
4:17 - 4:23사용하도록 가르치기도 배우기도
쉽게하는것이 이치적이 아닐까요? -
4:24 - 4:28또한, 현 철자법을 간단하게 만들어서
-
4:28 - 4:30오늘날 우리가 철자법을 가르치느라
쓰고 있는 수많은 시간을 -
4:30 - 4:33다른 언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
4:34 - 4:36더 이치적이 아닐까요?
-
4:36 - 4:41사실, 누구의 복잡한 문제가
시간과 노력을 받을만 할까요? -
4:42 - 4:47제가 제안하는 것은 철자법을 제거하고
-
4:47 - 4:51우리 모두 쓰고 싶은대로
쓰자는 게 아닙니다. -
4:52 - 4:56언어는 우리 모두 함께 쓰는 도구 이며
-
4:56 - 4:57따라서 다음과 같은 기본 기준에 따라
-
4:57 - 5:02사용하는 것이 기본이라고
저는 믿습니다. -
5:02 - 5:04하지만 철자법을
간단하게 만드는 단계에서 -
5:04 - 5:08그 기본 기준이 아주 간단하면서도
-
5:08 - 5:12언어의 수준을 낮추지 않아야 한다는 걸
-
5:12 - 5:15명심해야 해야 합니다.
-
5:15 - 5:18철자법은 간단하되
-
5:18 - 5:21언어의 질은 좋아야 한다는 거죠.
-
5:22 - 5:26저는 황금기의 스페인 문학을
매일 공부합니다. -
5:26 - 5:30갈릴라소, 세르반떼, 곤고라,
퀘베도와 같은 작가들의 책을 읽으면 -
5:30 - 5:33그들은, 때로는 "hombre" 를
h 없이 쓰거나 -
5:33 - 5:36때로는 "escribir" 를
v 와 함께 쓰죠. -
5:36 - 5:38그리고 그들과 우리의 차이점이
-
5:38 - 5:44한가지 관례 아니면,
그들의 관례에 대한 우리의 -
5:44 - 5:49미흡한 지식이지, 질의 차이가
아니라고 확신합니다. -
5:50 - 5:53앞서 말한 문학의 대장들
이야기로 돌아 가겠습니다 -
5:53 - 5:56그들은 이 주제에 매우 중요한
인물들이기 때문입니다. -
5:56 - 6:02앞서 저는 선생님들이
-
6:02 - 6:04우리가 철자법을 배울 때
-
6:04 - 6:06우리를 괴롭혔다고
경솔한 주장을 했습니다. -
6:06 - 6:10사실 이러한 저의 주장은
-
6:10 - 6:12이치에 들어 맞습니다.
-
6:12 - 6:14우리 사회에서,
철자법은 인덱스 특권으로 -
6:14 - 6:17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6:17 - 6:22교양있는 사람들과 교육받은 사람들을
-
6:22 - 6:27그렇지 않은 사람들로부터 가려내기 위해
-
6:27 - 6:30그러므로, 우리가 직업을
갖느냐 못갖느냐가 -
6:30 - 6:33묵음의 H에 달려있습니다.
-
6:33 - 6:36누구나 공중의 비웃음 거리가
될 수 있습니다. -
6:36 - 6:39B를 잘못 사용할 경우에 말이죠.
-
6:39 - 6:41물론 이러한 경우에는
-
6:41 - 6:45철자법을 공부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이 합당하겠죠. -
6:46 - 6:48하지만 우리는
-
6:48 - 6:51우리의 언어역사를 통해
-
6:51 - 6:53글들이 선생님이든
-
6:53 - 6:57초기 언어 교육에 관련된 사람들
-
6:57 - 6:59철자법 개혁을 촉구했던
-
6:59 - 7:02우리가 지식을 전달하는데 철자법이
-
7:02 - 7:06장애가 된다고 이해 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
7:06 - 7:08예를 들어, 우리의 경우
-
7:08 - 7:12안드레스 벨로와 함께 사르미엔토,
스페인어에 자리잡은 -
7:12 - 7:16가장 큰 철자법 개혁에 앞장섰습니다.
-
7:16 - 7:2019세기 중반 칠레개혁
-
7:22 - 7:26그럼, 왜 그 당시 선생님들의
짐을 덜어주고 -
7:26 - 7:30철자법을 발전시키기를
시작하지 않았을까요? -
7:30 - 7:33여기에 친밀한 사람 만 명이 있습니다.
-
7:33 - 7:35제가 생각하기에 토의하기에 합당한
-
7:35 - 7:39몇가지 변화를 가져와 보겠습니다.
-
7:40 - 7:43자, 그럼 묵음 H를 삭제해 보죠.
-
7:43 - 7:48만약 단어에 묵음 H가 쓰이면,
그것을 삭제하고 -
7:48 - 7:49아무것도 쓰지 않는 거죠.
-
7:49 - 7:50(박수)
-
7:50 - 7:52저에겐 묵음 H 때문에 생긴
논쟁을 정당화 할 수 있는 -
7:52 - 7:58감상적인 애착을 상상하기란
아주 힘든 일이죠. -
7:58 - 8:00B 와 V, 제가 전에 말한 것처럼
-
8:00 - 8:03스페인어에는 그 둘 사이에 아무런
-
8:03 - 8:04발음의 차이점이 없습니다.
-
8:04 - 8:07(박수) 하나만 골라
다시 토의해 볼까요. -
8:07 - 8:11우리 모두는 각자의 기호가 있을 것이고
그에 따른 논쟁을 할 수 있어요. -
8:11 - 8:14하나만 남기고,
다른 나머지는 없애 버리죠. -
8:14 - 8:17G 와 J, 둘의 역할을 나눠 보죠.
-
8:17 - 8:21G 는 "gato', "mago',
"águila' 에서와 같이 반기음을 -
8:21 - 8:25받드시 내야하고, J 는
" jarabe", "jirafa", -
8:25 - 8:30"gente", "argentino" 같이
기음을 반드시 내야하는 거죠. -
8:30 - 8:36C, S, Z의 경우는 좀 특이합니다.
-
8:36 - 8:40이경우 음성학적 접근이 반드시
가이드 되어야 하기 때문이죠. -
8:40 - 8:43하지만, 이 또한 절대적인
원칙이 될 수는 없지요. -
8:43 - 8:48어떤 경우, 발음의 차이점이
제기 될수 밖에 없어요. -
8:48 - 8:50앞서 말한대로, C, S 그리고 Z는
-
8:50 - 8:54쓰인 위치에 따라 한 소리 또는
두 소리에 상호작용하죠. -
8:54 - 8:59우리가 세알파벳에서
두 알파벳으로 줄이면 훨씬 낫겠죠. -
9:00 - 9:05어떤 사람들은 이러한 변화들이
극단적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어요. -
9:05 - 9:07사실은 그렇지 않아요.
-
9:07 - 9:11로얄 스페인 아카데미,
모든 언어 학교는 -
9:11 - 9:15또 철자법이 점차적으로 조정되야 하고
수정되야 한다고 믿고 있어요. -
9:16 - 9:20언어는 역사, 전통 그리고
관습과 연관되어 있지만, -
9:20 - 9:25그와 동시에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실용적인 도구이고 -
9:25 - 9:30때로는 역사, 전통 그리고
관습에 따르는 애착이 -
9:30 - 9:35현재 사용에 장애가 될 수 있죠.
-
9:36 - 9:39참으로, 이 모든 것이 우리의 언어가
-
9:39 - 9:45근접한 지역의 다른 언어보다 훨씬
-
9:45 - 9:48역사적으로, 우리에 의해 스스로
수정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
9:48 - 9:52예로, "ortographia" 를
"ortografia"로 -
9:52 - 9:53"theatro"를 "teatro"로,
-
9:53 - 9:56"quantidad'를 "cantidad"로
-
9:56 - 9:59"symbols"를 "simbolo"로
수정해 왔습니다. -
9:59 - 10:04그리고 몇몇의 묵음 H를
로얄 아카데미 사전에서 -
10:04 - 10:06천천히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있습니다.
-
10:06 - 10:09"arpa" 와 "armonia"는
-
10:09 - 10:12H를 사용할 수도
안 할 수도 있는 단어죠. -
10:12 - 10:13그리고 모두 괜찮아 하죠.
-
10:15 - 10:18저는 이 토론을 하기에 특별히
-
10:18 - 10:24적절한 순간이라고 믿어요.
-
10:25 - 10:31우리는 언어가 자발적으로,
아래에서 위로 변화한다고 말하죠. -
10:31 - 10:35적절하지 않은 새 단어들을
사용하는 사람들과 -
10:35 - 10:38문법적 변화를 시도하는 사람들
-
10:38 - 10:42그리고 그 권위가,
어떤 곳에서는 교육기관일 수도 -
10:42 - 10:46어떤 곳에서는 사전일수도,
행정관일 수도 있는 -
10:46 - 10:50이런 사실들을 인정할 수도
협조를 거부할 수도 있겠죠. -
10:51 - 10:54이것은 단지
언어의 몇 단계들일 뿐 이에요. -
10:54 - 10:58이것은 사실이에요 사전적 단계에서,
단어의 수준 -
10:58 - 11:01하지만 문법적 단계에선 덜 사실이에요.
-
11:01 - 11:05그리고 철자법 단계에선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말할 거예요. -
11:05 - 11:09역사적으로 보면, 철자법은
위에서 아래로 바뀌었으니까요. -
11:09 - 11:11인스티투션들은 항상 규칙을 제정하거나
-
11:11 - 11:16변화를 제안하는데 앞장서 왔어요.
-
11:17 - 11:22제가 왜 지금 이 순간이 특별히
적절한 순간이라고 했을까요? -
11:22 - 11:23오늘까지
-
11:23 - 11:30글쓰기는 말하기보다 훨씬
더 많은 제약을 받았어요. -
11:30 - 11:35하지만 현시대에, 소셜네트워크 새대에
-
11:35 - 11:38글쓰기는 혁명적인 변화를 겪고 있어요.
-
11:38 - 11:41전례없이 사람들은
많은 글을 쓰고 있고 -
11:41 - 11:46전례없이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많은 글을 쓰고 있죠. -
11:47 - 11:50그리고 처음으로 이 소셜네트워크에서
-
11:50 - 11:55우리는 혁신적인 철자법의 사용을
막대한 용량으로 보고 있어요. -
11:55 - 11:59완벽한 철자법을 가진 교육자 조차도
-
11:59 - 12:03소셜 네트워크 사용할때는
-
12:03 - 12:07다른 소셜네트워크 사용자와
다름없이 행동하죠. -
12:07 - 12:11말하자면, 소통할때 철자법을
첵크하는데 시간을 보내기 보다 -
12:11 - 12:16속도나 효능을 우선시 한다는 거죠.
-
12:16 - 12:22지금은 소셜 네트워크에서, 우리는
혼돈되고 개별적인 사용들을 봐요. -
12:22 - 12:25하지만 제 생각으로는 그들에세
주의를 돌려야 한다고 생각해요. -
12:25 - 12:27왜냐하면, 그들은 아마도 우리에게
-
12:27 - 12:32새 표준을 찾는 글쓰기의
새로운 장소를 가리키는 -
12:32 - 12:36시대를 알리고 있을지도 몰라요.
-
12:36 - 12:42우리가 그들을 거부하거나
무시한다면, 큰 잘 못이에요. -
12:42 - 12:43왜냐하면, 우리는 그들을 우리시대의
-
12:43 - 12:47문화적 퇴보 증상이라고
보고 있으니까요. -
12:47 - 12:52아니, 우리는 그들을 관찰하고,
정리하고, 관심을 돌려 지침이내에서 -
12:52 - 12:57우리시대가 필요로 하는 것에
더 잘 대응해야 한다고 저는 믿어요. -
12:59 - 13:02저는 몇몇 반대를 예상할 수 있어요.
-
13:03 - 13:10만약 우리가 철자법을 간소화하면
우리는 어원을 잃을 수 있다고 -
13:11 - 13:14말할 사람들이 있을 거예요.
엄격하게 말해 -
13:14 - 13:16우리가 어원을 보존하고자 했다면
철자법 이상의 뭔가가 필요하죠. -
13:16 - 13:21우리는 라틴어, 그리스어,
아랍어들을 또한 배워야만 할 거예요. -
13:21 - 13:27간소화된 철자법으로,
어원적 사전에 있는 -
13:27 - 13:32어원을 표준화 할 수 있을 거예요.
-
13:32 - 13:35두번째 반대는,
"만약 우리가 철자법을 간소화 하면 -
13:35 - 13:37한가지 철자만 다른 단어들을 구별하기를
-
13:37 - 13:43그만 둘 거예요." 라고 하는
사람들로부터 올 거예요. -
13:43 - 13:47맞는 말이죠, 하지만
그건 문제 될 필요가 없어요. -
13:47 - 13:53스페인어는 동음 이의어들,
한가지 이상의 의미를 지닌 단어 -
13:53 - 13:57우리는 우리가 앉는 "banco"와
우리가 돈을 예금하는 "banco"를 -
13:57 - 13:59헷갈려 하지 않아요. 또는 우리가 입는
"traje"와 "trajimos" -
14:00 - 14:06를 구분하죠. 대부분의 상황에선
문맥이 어떤 혼동도 쫓아버려요. -
14:07 - 14:10하지만, 세 번째 반대가 있어요.
-
14:12 - 14:18저에겐, 세 번째 반대가
가장 이해할만하고 영향력이 있어요. -
14:18 - 14:22그 반대는 이렇게 말하는
사람들에게서 오는 거예요. -
14:23 - 14:26"나는 이렇게 배워 자라왔고
이렇게 쓰는게 편하니까 -
14:26 - 14:31철자법을 바꾸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
14:31 - 14:34사실, 간소화된 철자법을 이용한
단어를 읽으면 눈이 아파요. (웃음) -
14:34 - 14:39우리 모두 부분적으로
동감하는 반대이죠. -
14:40 - 14:42우리가 무엇을 해야한다고 생각하세요?
-
14:42 - 14:45이경우 항상 행해지는 똑같은 일, 즉
-
14:45 - 14:47변화는 앞으로 진보하기 위해
만들어 지고 있어요; -
14:47 - 14:50아이들은 새 규칙을 배우고, 변화를
수용하기를 원치않는 우리중 누군가는 -
14:50 - 14:54그들이 배워온 방식대로 쓸 수 있죠.
-
14:54 - 14:59그리고 시간이 새로운 규칙을
제자리에 바로 잡기를 희망하는 거예요. -
14:59 - 15:06깊게 우리 습관에 뿌리 박은
모든 철자법 개혁의 성공은 -
15:06 - 15:11주의, 동의, 점진,
관용에 달려 있어요. -
15:12 - 15:16그와 동시에 우리는 진보를 방해하는
-
15:16 - 15:18오래된 관습에 집착하면 안돼요.
-
15:19 - 15:22우리가 과거에 줄 수 있는
가장 값진 찬사는 -
15:22 - 15:25그것이 우리에게 주어진 것을
향상시키는 거겠죠. -
15:25 - 15:28그래서 저는 교육기관들이
우리가 쓰지도 않으면서 -
15:28 - 15:31단지 전통 때문에 실행되고 있는
모든 습관들을 -
15:31 - 15:39우리의 철자법에서 깨끗이 제거하자는
의견에 동의 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
15:40 - 15:43저, 이렇게 할 때,
우리가 보잘것 없지만 -
15:43 - 15:47아주 중요한 언어 영역에서
-
15:47 - 15:52다음 세대들을 위해 더 좋은
미래를 남길 것이라 확신합니다. -
15:53 - 15:55(박수)
- Title:
- 우리는 왜 발음 나는대로 쓰지 않는가?
- Speaker:
- 카리나 갈페린(Karina Galperin)
- Description:
-
우리는 철자법을 배우는데 얼마나 많은 에너지와 두뇌를 사용하고 있을까요?
언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화되고, 그에 따라 철자법도 계속 바뀌고 있습니다다. 과연 수없이 많은 예외들을 포함한 철자법을 외우는데 수많은 시간을 보낼 필요가 있을까요? 문학자 카리나 갈페린은 우리가 언어를 기록하고, 그것을 생각하는 방식을 발전시킬 때라고 제안합니다. (스페인어 강연) - Video Language:
- Span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Talks
- Duration:
- 16:13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Por qué no escribimos las palabras como las pronunciamos? | |
![]() |
Jihyeon J. Kim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Por qué no escribimos las palabras como las pronunciamos?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Por qué no escribimos las palabras como las pronunciamos?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Por qué no escribimos las palabras como las pronunciamos?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Por qué no escribimos las palabras como las pronunciamos?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Por qué no escribimos las palabras como las pronunciamos?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Por qué no escribimos las palabras como las pronunciamos?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Por qué no escribimos las palabras como las pronunciamo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