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나단 사프란 포어: 소설, 시(詩)에서 배워야
-
0:00 - 0:01(루이지애나 채널)
-
0:01 - 0:03-조나단 사프란 포어-
소설, 시(詩)에서 배워야 -
0:03 - 0:07흔히들 문학이
죽었다고들 하죠 -
0:07 - 0:09이 얘기는 세상에
첫 문학 작품이 -
0:09 - 0:12등장한 이후로
줄곧 있어왔죠 -
0:12 - 0:14하지만 점점 더
자주 얘기되고 있어요 -
0:14 - 0:19독자수가 줄어든 게
큰 영향을 끼쳤죠 -
0:19 - 0:23문학에 대한 무관심과 불안,
-
0:23 - 0:32심지어 문학에 대한
불신이 불을 지폈죠 -
0:33 - 0:36스크린에 대한 의존도와
-
0:36 - 0:39스크린으로 이야기가
넘어간 상황에서 -
0:39 - 0:42책은 피차 스크린과
잘 어울리지 않잖아요 -
0:42 - 0:44스크린으로 책을
읽는데 무리는 없지만, -
0:44 - 0:45스크린으로 책을 읽는 동안
-
0:45 - 0:50이메일, 캘린더, 문자가
화면에 뜨는 와중에 -
0:50 - 0:53책은 그런 것들과
비길 수가 없죠 -
0:53 - 0:57그러니 '앞으로 사람들이
책을 읽을까?' 궁금할 수 밖에요 -
0:57 - 1:02그래도 전 여전히 앞으로도
문학만이 할 수 있는 일, -
1:02 - 1:07문학으로만 주고 받을 수
있는 것이 있다고 믿어요 -
1:07 - 1:10딱히 문학이 다른 매체보다
뛰어나다고 생각진 않아요 -
1:10 - 1:12영화, 무용, 음악 같은
다른 예술 말예요 -
1:13 - 1:17실은 전 개인적으로
문학보다는 -
1:17 - 1:19영화, 무용에 종종
더 끌리곤 해요 -
1:19 - 1:21하지만 인생의
어떤 순간들에는 -
1:21 - 1:25오로지 문학만이
필요한 순간이 있죠 -
1:25 - 1:29예를 들면, 저의 가장
오랜 친구의 어머니가 -
1:29 - 1:30일주일 전 쯤에
돌아가셨어요 -
1:30 - 1:33뉴욕에서 워싱턴 DC로
친구를 보러 내려갔죠 -
1:33 - 1:39어떤 말을 해야할지
꽤나 고심했어요 -
1:39 - 1:42어쩔 줄 모르거나 고통스런
침묵의 순간이 있을테니까요 -
1:43 - 1:48그래서 스무 개 정도의
시를 갖고 갔어요 -
1:48 - 1:50친구에게 그 시들을
읽어주고 함께 대화했죠 -
1:51 - 1:54물론 저보단 친구가 더
그랬겠지만, -
1:54 - 1:58우린 그 순간에 함께
직면한 거에요 -
1:58 - 2:04죽음이란 인생의 가장
중대한 순간을요 -
2:06 - 2:07시에 기댈 수 있었죠
-
2:08 - 2:12시나 소설은 제법
큰 도움이 돼요 -
2:13 - 2:19우리가 표현할 말을
절실히 필요로 할 때요 -
2:19 - 2:23절박하고 긴급한
실존의 순간 말이에요 -
2:24 - 2:29소설은 몇 시간, 며칠에
걸쳐서 읽도록 되어있죠 -
2:29 - 2:35단편 이야기도 적어도
한 시간 반은 걸려요 -
2:35 - 2:39친구가 그런 시간을 할애할
여력이 있을까 싶었어요 -
2:39 - 2:41그래서 짧은 읽을 거리가
필요했어요 -
2:41 - 2:44이유가 그랬다 한들
사실 시 자체가 -
2:44 - 2:47가장 응축된 형태의
문학이자, -
2:47 - 2:49어찌보면 가장 순수한
형태의 문학이죠 -
2:51 - 2:56소설이 시보다
못하다고 생각진 않아요 -
2:56 - 3:00하지만 소설이 시로부터
배울 점이 많아요 -
3:00 - 3:04가능성이 열려있고
직접적이며, -
3:04 - 3:07농축된 언어를
보여주니까요 -
3:07 - 3:09얼마나 마음을 울리고
여진을 남기는 지도요 -
3:09 - 3:12가끔 소설은 지나치게
-
3:12 - 3:15줄거리가 되어버리곤 해요
-
3:16 - 3:18누군가 "그 책은 어떤 책이야?"
라고 묻는다면, -
3:20 - 3:23제 꿈은 누군가로 하여금 이런 대답이
나오게 하는 소설을 쓰는 거죠 -
3:24 - 3:26"뭐 어찌어찌 말해볼 순
있겠지만, 그건 아닌 거 같아, -
3:26 - 3:27그냥 네가 직접 읽어봐야 해"
-
3:27 - 3:29그게 좋은 소설의
지표죠 -
3:29 - 3:32시놉시스 그 자체인,
-
3:32 - 3:34그 시놉시스가 조금 더
확장된 판의 소설요 -
3:35 - 3:38텔레비전과 상당히
흡사하죠 -
3:39 - 3:43소설도 시가 해내는 걸
할 수 있어요 -
3:43 - 3:49신비하고도
형언할 수 없으며, -
3:49 - 3:52좀처럼 뻔하지 않되,
범위가 더 넓을 뿐이죠 -
3:53 - 3:57사는 내내 전 문학보단
비주얼 아트에 더 끌렸어요 -
3:57 - 4:02심지어 제가 왜
작가가 되고 싶었는지 -
4:04 - 4:06기억이 나지 않는
순간에도 -
4:06 - 4:11전 책이 아니라 그림이나
조각을 보러 가곤 해요 -
4:11 - 4:14서로 극명하게 다른 것처럼
취급된다고 생각해요 -
4:14 - 4:22음악가, 작가, 화가,
무용수의 차이점이요 -
4:23 - 4:27그들을 범주화하고,
분리시키죠 -
4:28 - 4:30그래서 서로 겹치지
않도록요 -
4:30 - 4:33사실은 모두 소위
쓸모없는 무언가를 만드는 -
4:33 - 4:36사람들일 뿐인데도요
-
4:37 - 4:39인생에서 쓸모없는 건 없어요
-
4:39 - 4:42지금 촬영하고 있는
이 카메라는 -
4:42 - 4:45이런 걸 녹화하라고
만들어진 거죠 -
4:45 - 4:48텔레비전이나 컴퓨터도
마찬가지예요 -
4:48 - 4:51구체적인 목적을
갖고 만들어졌죠 -
4:51 - 4:55다리는 사람들이
건너도록 만들어졌고, -
4:55 - 4:58소설과 회화, 그리고 노래도
-
4:58 - 5:00세상에 어떤 효과를
낳게 되죠 -
5:00 - 5:02그게 정치적일 수도 있고,
흥밋거리일 수도 있고 -
5:03 - 5:05사고 파는 상업의
대상이 될 수도 있고요 -
5:07 - 5:08따지고 보면 저런 건
부수적인 이유고, -
5:08 - 5:10실은 자신 스스로를
위해서 만든 거예요 -
5:10 - 5:14자기 자신을 위해 무언갈
만드는 사람들은 -
5:15 - 5:16그게 출판물이 되었든,
-
5:16 - 5:19바닥에 널부러진
나뭇가지로 모양을 만들든, -
5:19 - 5:21그게 즐거워서 말이죠
-
5:22 - 5:23그런 사람들이 바로
예술가예요 -
5:23 - 5:28생계를 꾸릴 직업을
가져야 하는 현실에선 -
5:28 - 5:33그 직업의 일을 하며
성장한다고 다들 짐작하죠 -
5:34 - 5:37또 질문 받을 때를 대비해
대답이 필요하니까요 -
5:37 - 5:38"하시는 일이 뭔가요?"
-
5:38 - 5:39파티나 어디서
사람을 만나면, -
5:39 - 5:41"무슨 일 하세요?"라고 묻죠
-
5:41 - 5:43할 대답이 없으면
어색하잖아요 -
5:43 - 5:48서로 다른 장르의
에술은 알고보면 -
5:48 - 5:51다르기 보다는
훨씬 서로 비슷해요 -
5:52 - 5:54책을 쓰지 않을 때의 전
-
5:54 - 5:57그냥 세상을 살아가는
아무개죠 -
5:57 - 6:00좋은 걸 보고 기억하려
애쓰지만 까먹고, -
6:00 - 6:03들은 농담을 기억하려
해보지만 잊는 게 다반사고, -
6:03 - 6:09그렇게 아이디어가
사라져버리곤 해요 -
6:09 - 6:12하지만 집필 중에는
그런 것들을 저장해놔요 -
6:13 - 6:16나중에 재정비해서
쓸 수 있도록요 -
6:16 - 6:19아무 것도 안하는 데서
생겨나는 건 없어요 -
6:20 - 6:24흔히들 책이나
예술 창작을 -
6:24 - 6:28실제보다 더 로맨틱하게
창조적인 행위처럼 보죠 -
6:28 - 6:33마치 어느 날 영감이
번뜩 떠오르는 것처럼요 -
6:33 - 6:36하지만 전 그런 경험은
딱히 해본 적이 없어요 -
6:36 - 6:39내 주변에 좀 더
주의를 기울이고 -
6:39 - 6:43좋아하는 것과 유용한 걸
알아나가는 과정에 가까워요 -
6:45 - 6:47다른 것보다
그런 정보들을 모아서 -
6:47 - 6:50그 다음엔 알아내려고
하는 거죠 -
6:50 - 6:53어떻게 하면 가장 흡족한
설정이 될 수 있을까 하면서요 -
6:54 - 6:55거기에 객관성이라곤
전혀 없어요 -
6:55 - 6:58다른 사람이 좋아할 거란
보장도 없으니까요 -
6:58 - 7:04마치 온 세계를 내 선반 위에
놓고 배열을 고민해야 할 것 마냥 -
7:04 - 7:12마치 콜라주를
만드는 것 같죠 -
7:13 - 7:16예술에서 가장
중요한 일은 확실히 -
7:16 - 7:17무의식 중에 일어나요
-
7:18 - 7:21새 집필을 시작할 때 그걸 프로젝트로
생각하고 접근하진 않아요 -
7:22 - 7:26조크나 자기 비하처럼
들릴지 모르겠지만, -
7:26 - 7:28정말 별로 깊이
생각하지 않아요 -
7:28 - 7:33어떤 얘기를 할지
스스로를 열어두고 -
7:33 - 7:36'현재 내 관심과 호기심을
끄는 게 뭘까?' 생각하죠 -
7:38 - 7:42하지만 이게 장차 어떤 쓰임이
있을까 고민하지 않아요 -
7:42 - 7:44좀 전에 말한 것처럼
예술은 가장 근사하고 -
7:44 - 7:47최고의 방식으로
쓸모 없는 구석이 있거든요 -
7:47 - 7:49제가 할 수 있는
가장 최고의 칭찬이죠 -
7:49 - 7:53심리적인 측면이든
어떤 의미나 카타르시스 같은 -
7:53 - 7:59무엇을 성취하겠다고
생각하기 시작하면 -
7:59 - 8:00그것 역시 효용성을
따지는 일이 돼죠 -
8:00 - 8:02돈으로 받아
쓸만한 무언가를 -
8:02 - 8:05만드려는 일과
다르지 않게 되요 -
8:06 - 8:08그 두가지가 인생에서
-
8:08 - 8:09좋지 않다는 건 아니지만
-
8:09 - 8:13훌륭한 예술 작품을
만드는 것 같진 않아요 -
8:13 - 8:14좋은 시발점은 아니죠
-
8:16 - 8:18'돈 드릴로'가 말했었죠,
-
8:18 - 8:21"첫작품을 써내는게 아니다,
그저 저절로 탄생할 뿐" -
8:21 - 8:23어느 순간 프린터에서
-
8:23 - 8:24종이 더미가 인쇄되어
나오는 걸 보며, -
8:24 - 8:27"세상에, 내가 이걸
해내다니!"라고 생각하죠 -
8:28 - 8:29맞는 말 같아요
-
8:29 - 8:32늦은 나이에 시작한
경우는 좀 다를지 모르죠 -
8:32 - 8:39한 아이디어를 오랫동안
머릿속에 품었을 테니까요 -
8:39 - 8:41하지만 대부분의 사람이
첫 작품을 집필할 때는 -
8:41 - 8:45어느 순간 자기 손에
책이 들려있는 걸 발견하죠 -
8:45 - 8:48두번째 책은 좀 달라요
왜냐하면 -
8:48 - 8:50부응해야 할 반응이 있고,
-
8:50 - 8:51스스로 가지는 기대도
있으니까요 -
8:51 - 8:54첫 책을 출간했다면 아마
엄청난 기대치가 있을 거에요 -
8:54 - 8:58그래서 두번째 책은
조금 더 어렵죠 -
8:58 - 9:01저 같은 경우는 첫 책 출간 전에
두번째 책을 쓰기 시작해서, -
9:01 - 9:05그런 함정들을
피할 수 있었죠 -
9:05 - 9:08소설 두 작품을 쓰고나선
-
9:08 - 9:11육식과 사육 농장에 대한
-
9:11 - 9:12논픽션 책을 썼어요
-
9:12 - 9:15다른 종류의 선택을 했다는 게
우연은 아녔던 것 같아요 -
9:18 - 9:21고조된 분위기의
무게가 느껴졌었거든요 -
9:22 - 9:24해왔던 것의 세번째 것은
하고 싶지 않았어요 -
9:24 - 9:26앞서 두번이나
해봤던 것이니까요 -
9:26 - 9:29단지 내가 어제 했던 일에
기반해서 -
9:29 - 9:31내일을 도모하고
싶지 않았어요 -
9:31 - 9:34심하리만치 그걸
거부했죠 -
9:36 - 9:39다른 데로 나아가서
새로운 걸 하고 싶었어요 -
9:40 - 9:44예술을 하며 내린 선택에
관한 얘기는 무궁무진하죠 -
9:46 - 9:48그렇다고 비판적인 관점에서
-
9:48 - 9:52돌이켜보며 말하는 태도는
-
9:53 - 9:55물론 흥미롭고,
도움이 되지만 -
9:55 - 9:58창작에 관한 태도와
언어는 아닌 거 같아요 -
10:00 - 10:01누군가 이런 말을 했었죠
-
10:01 - 10:03오스카 와일드였나,
기억이 잘 나지 않는데- -
10:04 - 10:06"세상에는 단 두 종류의
대상이 존재한다, -
10:06 - 10:08우리를 매혹시키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
10:09 - 10:15가장 단순한 방식으로
우리를 매혹시키는 -
10:15 - 10:17이유없이 우릴
감명시키는 것이 있죠 -
10:17 - 10:19날 위한 거야, 라고
좋아하게 되는 거예요 -
10:20 - 10:23우릴 매혹시키지 않는 건
그냥 뻔한 거에요, 싫은 게 아니라 -
10:23 - 10:25그다지 와닿지 않는 거죠
-
10:25 - 10:30뭘 매혹적으로 느끼느냐는
사람마다 다 다르죠 -
10:31 - 10:33어찌보면 글쓰기의 본질,
-
10:33 - 10:37정수가 바로 그걸
끊임없이 묻는 과정이예요 -
10:37 - 10:38매혹적인가,
그렇지 않은가 -
10:39 - 10:41매혹적인 것은
고통스러운 걸 의미하기도 해요 -
10:41 - 10:44단순히 행복하고
아름다운 것만은 아녜요 -
10:44 - 10:50추악할 수도 있고
재밌는 것일 수도 있죠 -
10:50 - 10:53심각한 거나 비극적
혹은 코믹할 수도 있고요 -
10:53 - 10:56매혹적이란 말은
어떻게 보면 -
10:56 - 11:01진실되게 정확한 것,
나에게 특별한 것일지 몰라요 -
11:01 - 11:04사람들이 종종 왜 가족에
관해 쓰냐고 제게 물어요 -
11:04 - 11:06참 이상한 질문이라고
생각해요 -
11:06 - 11:07어떻게 답해야 할지도
모르겠어요 -
11:07 - 11:09저에겐 너무나 당연하게
느껴지거든요 -
11:10 - 11:14어느 누구도 J.K. 롤링에게
왜 그토록 마법사 얘길 쓰냐고 -
11:14 - 11:16묻지 않잖아요, 이상해요
-
11:16 - 11:20롤링이야말로
독특한 선택을 한거죠 -
11:20 - 11:23세상엔 마법사와 친분이 있거나
교류하는 사람도 없고, -
11:23 - 11:26마법사와의 관계 문제로
밤잠 설치는 사람도 없잖아요 -
11:26 - 11:28하지만 누구에게나
가족은 있어요 -
11:28 - 11:29비록 그 가족이
부재한 경우라도요 -
11:30 - 11:32오히려 가족이 부재한
경우가 더 할지 몰라요 -
11:33 - 11:35인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주제죠 -
11:35 - 11:39창세기 이후로
가장 중요한 주제였어요 -
11:41 - 11:44그러니 가족 이야기를
계속 쓸 수 밖에요 -
11:44 - 11:47가족은 저에게도
특히 중요해요 -
11:48 - 11:52아버지와 사위의
관계 형태를 띄든, -
11:52 - 11:55아님 부부가 나오는
코미디가 되었든 말예요 -
11:56 - 11:57뭐가 될지는 저도 몰라요
-
11:57 - 12:00(루이지애나 채널)
-
12:00 - 12:04Nordea Fonden
지원 -
12:04 - 12:07(louisiana.dk/channel)
Translated into Korean by Hye Moon
- Title:
- 조나단 사프란 포어: 소설, 시(詩)에서 배워야
- Description:
-
미국 작가 조나단 사프란 포어와가 인터뷰를 통해 문학의 힘, 특히 시가 가진 힘에 대해서 얘기한다. 그는 예술은 언제나 사적인 데서 시작하며, 예술가는 바로 거기서 직면한 세상을 다시 재정비한다고 말한다.
조나단 사프란 포어 (1977년 생)와의 이 인터뷰에서 그는 미디어와 문화생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얘기한다. 그는 개인적으로 영화에 심취해 있지만, 인생의 중요한 순간에 있어서는 언제나 문학이란 독특한 힘, 그 중에서도 시의 힘에 끌린다고 말한다. 포어가 말하길, 진정한 예술과 문화는 모두 공통의 바탕을 지닌다. 사회에서의 여타 활동들과 달리 문화와 예술은 명징한 기능을 위해서가 아니라 그 자체의 목적으로 만들어진다. 그것이 회화, 책, 영화 아니면 음악이 되었든 간에 예술은 근본적으로 굉장히 주관적이라고 그는 말한다. 더 나아가 포어는 왜 자신의 소설 작품이 종종 가족이란 주제를 맴도는지 설명한다. "어떻게 가족에 대해 쓰지 않을 수가 있겠어요, 가족을 잃거나 가족이 부재한 상황에서 자랐다고 해도 우리 모두 가족이란 문제와 직면하고 마는 걸요." 자기보다는 J.K. 롤링에게 왜 마법사에 대한 이야기를 썼는지 물어보기에 더 적합한 질문일거라고 그는 말한다.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Louisiana Channel
- Duration:
- 12:08
![]() |
Hye Moon edited Korean subtitles for Jonathan Safran Foer: Novels can learn from poetry | |
![]() |
Hye Moon edited Korean subtitles for Jonathan Safran Foer: Novels can learn from poetry | |
![]() |
Hye Moon edited Korean subtitles for Jonathan Safran Foer: Novels can learn from poetry | |
![]() |
Hye Moon edited Korean subtitles for Jonathan Safran Foer: Novels can learn from poetry | |
![]() |
Hye Moon edited Korean subtitles for Jonathan Safran Foer: Novels can learn from poetry | |
![]() |
Hye Moon edited Korean subtitles for Jonathan Safran Foer: Novels can learn from poetry | |
![]() |
Hye Moon edited Korean subtitles for Jonathan Safran Foer: Novels can learn from poetry | |
![]() |
Hye Moon edited Korean subtitles for Jonathan Safran Foer: Novels can learn from poet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