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을 통해 자유로워질 수 있어요
-
0:01 - 0:02자, 여기 모였네요.
-
0:02 - 0:06저처럼 여러분도 집에서 보고 계시겠죠.
-
0:06 - 0:08이제 우리가 깨닫게 된 것이 있죠.
-
0:08 - 0:10우리 자신과의 관계,
-
0:10 - 0:11서로와의 관계,
-
0:11 - 0:12그리고 우리가 존재하는 공간이
-
0:12 - 0:16우리의 정체성과 목적 의식에
엄청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요. -
0:16 - 0:19너무 많은 것들이 갑자기 바뀌었어요.
-
0:19 - 0:22이전에는 없었던 거리감이 생겨났고요.
-
0:22 - 0:24하지만 이러면 어떨까요?
-
0:24 - 0:30마음에서 손까지
다시 연결하는 방법을 찾고 -
0:30 - 0:34그걸 통해서 이렇게 된
원인을 받아들이는 거예요. -
0:34 - 0:37제가 도와드릴 테니
여러분 마음을 가다듬고 -
0:37 - 0:41새로운 현실 속으로
즐거운 모험을 떠나면 어떨까요? -
0:41 - 0:44열정과 상상력, 그리고
희망을 갖고 떠나는 모험이요. -
0:44 - 0:47필요한 건 오직
펜 한 자루뿐이에요. -
0:48 - 0:49방법을 말씀드리기 전에
-
0:49 - 0:51처음으로 돌아가봅시다.
-
0:51 - 0:54런던 남동쪽의 공공임대 주택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저는 -
0:54 - 0:56이방인이었습니다.
-
0:56 - 0:58저는 여섯 남매 중 장녀인데
-
0:58 - 1:00저희 남매들은 모두
영국인스럽게 생겼어요. -
1:00 - 1:03금발에 파란 눈을 가졌고
정말 귀여웠죠. -
1:03 - 1:04그런데 저는 달랐어요.
-
1:04 - 1:07나이지리아 혼혈에 갈색 피부,
흑인의 곱슬머리였죠. -
1:07 - 1:09그러면 어떻게 될까요?
-
1:09 - 1:10생김새도 다르고
-
1:10 - 1:12남과 다르다고 느껴지고
-
1:12 - 1:14내가 가진 사고방식도 달라서
-
1:14 - 1:17주변 사람들, 모든 것과
구별된다면요. -
1:17 - 1:22어둡고, 인종차별과
동성애 혐오가 난무하고 -
1:22 - 1:24외로운 그 곳에서
어떻게 빠져나오겠어요? -
1:24 - 1:26이제 여기서 펜 얘기가 나옵니다.
-
1:27 - 1:28저는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어요.
-
1:28 - 1:32보시는 것처럼 제가 가진 이 펜은
어디로 가야할지를 알아요. -
1:32 - 1:35그리고 저는 펜을
따라가는 법을 배웠죠. -
1:35 - 1:36제가 처음으로 한 일은,
-
1:36 - 1:38이 선을 따라서
-
1:38 - 1:44제가 할 수 없는 것들만 얘기하는
문화로부터 벗어났습니다. -
1:44 - 1:46제 펜을 믿고 따라갔더니
-
1:46 - 1:49센트럴 세인트 마틴까지
이르게 되었어요. -
1:49 - 1:51런던에 있는 아주 세련된 미술대학인데
-
1:51 - 1:53제가 수석으로 졸업한 곳이죠.
-
1:53 - 1:57하지만 곧 저는 런던에는
제가 설 곳이 없다는 걸 깨달았어요. -
1:57 - 2:00왜냐하면, 믿거나 말거나
-
2:00 - 2:05영국은 아직도 사회계급제도에
깊은 뿌리를 두고 움직이는 나라거든요. -
2:05 - 2:11노동계층 출신에 어린 흑인
여성 동성애자 예술가였던 저는 -
2:11 - 2:12기회조차 잡을 수가 없었던 거죠.
-
2:12 - 2:15그래서 런던을 떠나 일본으로 갔고
-
2:15 - 2:19그곳 사람들은 제게 진짜
어디서 왔느냐고 묻지 않았어요. -
2:19 - 2:21저는 그냥 "가이징" 중
한 명일 뿐이었죠. -
2:21 - 2:24아이러니하게도 그건
"이방인"이라는 뜻이에요. -
2:25 - 2:29저는 제작과 공예를 존중하는
일본의 문화에 빠져들었습니다. -
2:29 - 2:32일본 사람들은 여러 세대에 걸쳐
기술을 연마하고 완성시키죠. -
2:32 - 2:35예술가가 시공간을 연마해
-
2:35 - 2:38진정으로 자유롭게
창조할 수 있는 문화입니다. -
2:38 - 2:42그리고 제가 발견한 것은 바로
저를 화나게 하지 않는 곳이었죠. -
2:42 - 2:44도쿄는 제게 잘못한 게
하나도 없었어요. -
2:44 - 2:48저는 더 이상 분노의 감정이나
아픔으로부터 창작할 수 없었습니다. -
2:48 - 2:52완전히 다른 곳에서 창작할 수 있게
제 자신을 풀어줘야 했지요. -
2:53 - 2:54그리고 제가 발견한 건
-
2:54 - 2:59종이 위의 선을 넘어서는
놀라운 도구였습니다. -
2:59 - 3:00제가 찾은 그 도구는
-
3:00 - 3:03제 머리와 심장을 이어주고
-
3:03 - 3:05제 손과 모든 것들을 이어주었죠.
-
3:05 - 3:08세상을 새롭게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
3:08 - 3:10여기저기서 연결점을 찾았고
-
3:10 - 3:13그전까지 전혀 알지 못했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았습니다. -
3:13 - 3:16마치 음의 공간과
양의 공간을 가진 세상이 -
3:16 - 3:18이제 보이는 것 같았어요.
-
3:18 - 3:19보는 것만으로도
-
3:19 - 3:21두려움이 사라졌습니다.
-
3:21 - 3:24마치 펜이 손전등인 것 같았어요.
-
3:24 - 3:26알 수 없는 무언가가 아직 존재하지만
-
3:26 - 3:27이제 무섭지 않았습니다.
-
3:28 - 3:32일본에서 살며 제 작업에
집중한지 5년이 됐을 때 -
3:32 - 3:34저는 또 새로운 도전이
필요하다고 느꼈습니다. -
3:35 - 3:36그래서 뉴욕으로 갔죠.
-
3:36 - 3:38예술가라면 그래야 하잖아요?
-
3:38 - 3:40세계에서 가장 멋진 도시,
-
3:40 - 3:46완전히 투명인간이 될 수 있는
그런 도시로 이사를 가는거죠. -
3:47 - 3:50이때 진정으로 제 자신에게
묻기 시작했습니다. -
3:50 - 3:52"넌 누구니?"라고요.
-
3:52 - 3:55아침에 일어나서 하루를 시작하기 전
-
3:55 - 3:57이에 대해 명상을 하고는 했어요.
-
3:57 - 3:59그리고 마음 속에 이 질문을 품고
-
3:59 - 4:00계속 그림을 그렸습니다.
-
4:00 - 4:02선을 따라서 그렸습니다.
-
4:02 - 4:04선이 저를 이끌도록 했습니다.
-
4:04 - 4:06펜을 집어드는 과정,
-
4:06 - 4:09누구나 할 수 있는 그 행동으로
-
4:09 - 4:12저는 모든 걸 내려놓을 수 있었습니다.
-
4:12 - 4:16모든 생각과 두려움,
불안함까지도요. -
4:16 - 4:20진정한 나 자신을 찾는 걸
방해하는 모든 것들을요. -
4:20 - 4:24이건 제가 자유를 경험하는
방법이 되었습니다. -
4:24 - 4:25뉴욕에 도착했을 때
-
4:25 - 4:28저는 예술 세계의 규칙에 따라
살고 싶지 않았어요. -
4:28 - 4:31여전히 이방인으로 살았죠.
-
4:31 - 4:33계속 그림을 그렸고요.
-
4:33 - 4:36호기심은 펜의 잉크가 되었고
-
4:36 - 4:38저는 점점 더 깊이 파고들었습니다.
-
4:38 - 4:43시간이 흐르면서 제 자신을 위한
대담하고 자신감 넘치는 -
4:43 - 4:45저만의 공간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
4:45 - 4:47처음엔 제 침실이었습니다.
-
4:47 - 4:50그런데 그 침실이
뉴욕 타임즈에 실리게 되면서 -
4:50 - 4:55제가 만든 이 세상이 갑자기
사람들에게 알려지게 되었죠. -
4:56 - 4:57그 이후
-
4:57 - 5:03저는 독창적인 예술가들과 협업하여
예술단체와 작업 공간을 만들었습니다. -
5:03 - 5:05타임스퀘어의 전광판 전시에서부터
-
5:05 - 5:09뉴욕시티 발레단의
무용수들을 인터뷰하며 -
5:09 - 5:11멋진 예술가 시리즈를 기획했죠.
-
5:11 - 5:14그들의 이야기를 기반으로
-
5:14 - 5:1730점이 넘는 그림과
예술작품이 탄생했고 -
5:17 - 5:21산책로와 창문, 바닥 곳곳에
전시되었습니다. -
5:22 - 5:27오랫동안 저는 명상과 시를 위한
공간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
5:27 - 5:30그리고 2019년에 그 기회가 주어졌죠.
-
5:30 - 5:32거버너스 아일랜드 조합 덕분에요.
-
5:33 - 5:35그들은 제게 완벽한
캔버스를 마련해주었습니다. -
5:35 - 5:38예전에 군사 예배당이었던 장소였죠.
-
5:38 - 5:40"The May Room"이라는
작품입니다. -
5:40 - 5:44외벽에는 섬의 역사에서 영감을 받아
그린 그림이 있고 -
5:44 - 5:47안으로 들어가 신발을 벗고 보면
-
5:47 - 5:49미로 형태의 그림이
바닥에 그려져 있는데 -
5:49 - 5:51결국 돌아돌아 제자리로 오게 됩니다.
-
5:51 - 5:54마치 차분해지라고 하는 것처럼요.
-
5:54 - 5:57그러다보면 벽에 쓰여진
글귀가 보입니다. -
5:57 - 5:59"당신이 지혜로워지기를."
-
5:59 - 6:01"당신이 밤에 편안히 잠 들기를."
-
6:01 - 6:03"우리가 나무를 살리길."
-
6:03 - 6:06"당신이, 당신이, 우리가 그렇길."
-
6:06 - 6:09이 글귀들은 자기로부터 나오거나
-
6:09 - 6:11자기 위로 떨어지는 것 같은
느낌을 줍니다. -
6:12 - 6:15저는 선들이 마치 언어처럼 느껴지고
-
6:15 - 6:17인생이 펼쳐지는 것 같이
느껴지게 했어요. -
6:17 - 6:19그리고 침묵이 드리울 때면
-
6:19 - 6:22대화를 통해 연결점을 찾았습니다.
-
6:22 - 6:24불편함을 뚫고 지나갈 수 있게
질문을 하면서요. -
6:24 - 6:27그림은 제게 나만의 규칙을
만드는 법을 가르쳐주었습니다. -
6:28 - 6:32이게 무엇인지뿐만 아니라
무엇이 될 수 있는지도 볼 수 있도록 -
6:32 - 6:33눈을 뜨게 해주었어요.
-
6:33 - 6:36체계가 무너진 곳에서
-
6:36 - 6:41우리는 모두에게 이로운
새로운 체계를 만들 수 있습니다. -
6:41 - 6:43엄선된 소수의 사람에게만
제한된 것이 아니라요. -
6:43 - 6:46그림은 제게 어떻게 세상과 온전히
교류할 수 있는지 가르쳐 주었고 -
6:46 - 6:50제가 선이라는 언어를 통해 깨달은 것은
-
6:50 - 6:52보여지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
6:52 - 6:55타인에게 주는 시각적 선물과
-
6:55 - 6:59볼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진정한
자유로운 선물인가 하는 것이었죠. -
6:59 - 7:01글자 그대로만 의미하는 것은 아니에요.
-
7:01 - 7:04시각이란건 우리가 볼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일 뿐이니까요. -
7:04 - 7:08하지만 제가 얘기하고자 하는 건
세상을 온전히 경험하는 거예요. -
7:08 - 7:11어려운 상황 속에서는
더욱 더 그래야 하죠. -
7:11 - 7:14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바로 지금 같은 상황에서요. -
7:14 - 7:15저는 샨텔 마틴입니다.
-
7:15 - 7:16그림을 그리죠.
-
7:16 - 7:18여러분도 펜을 들어
-
7:18 - 7:20무엇이 펼쳐질지 한번 따라가보세요.
-
7:20 - 7:23(음악)
- Title:
- 그림을 통해 자유로워질 수 있어요
- Speaker:
- 샨텔 마틴 (Shantell Martin)
- Description:
-
당신은 누구인가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예술가 샨텔 마틴(Shantell Martin)은 그저 펜이 이끄는대로 따라갔습니다. 타임 스퀘어 스크린부터 뉴욕 시립 발레 무용수들의 몸까지 그녀의 대표적인 프리스타일 라인 작품이 돋보이는 이 멋진 비주얼 토크에서 마틴은 어떻게 그녀가 예술을 통해 자유와 새로운 관점을 발견했는지에 대해 공유합니다. 그림을 그리며 어떻게 손과 심장을 연결시킬 수 있는지, 그리고 세계와의 연결이 깊어질 수 있는지 보세요.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Talks
- Duration:
- 07:47
![]() |
JY Kang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How drawing can set you free | |
![]() |
JY K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drawing can set you free | |
![]() |
Yunjung Nam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How drawing can set you free | |
![]() |
Yunjung Na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drawing can set you free | |
![]() |
Yunjung Na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drawing can set you free | |
![]() |
Yunjung Na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drawing can set you free | |
![]() |
Yunjung Na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drawing can set you free | |
![]() |
Yunjung Na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drawing can set you fr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