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토피아의 진정한 모습 |알렉스 젠들러(Alex Gendler)
-
0:07 - 0:10이상향을 상상해본 적이 있나요?
-
0:10 - 0:13전쟁, 가난, 범죄가 없는 세상이요.
-
0:13 - 0:15당신뿐만이 아닙니다.
-
0:15 - 0:19플라톤은 철학자가 다스리는
계몽된 공화국을 꿈꿨고, -
0:19 - 0:22많은 종교가 사후에서
행복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
0:22 - 0:23또한 인류 역사를 통틀어
-
0:23 - 0:27다양한 집단이 지구상에
낙원을 만들고자 시도했죠. -
0:27 - 0:331516년 토마스 모어는
이 이상향을 '유토피아'라 칭했습니다. -
0:33 - 0:36'어디에도 없는 곳' 이라는
그리스어입니다. -
0:36 - 0:38이름부터 '어디에도 없다'는 뜻인데
-
0:38 - 0:40현대 과학이 발달하고 정치가 진보하면서
-
0:40 - 0:44유토피아를 실현시킬 수 있다는
희망이 피어났습니다. -
0:44 - 0:48하지만 몇번을 시도하든
악몽같은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
0:48 - 0:51전쟁과 기근, 차별이 발생했죠.
-
0:51 - 0:54그러자 예술가들이 유토피아에
의문을 품기 시작했고, -
0:54 - 0:59디스토피아, 즉 나쁜 곳을 다루는
예술 장르가 탄생했습니다. -
0:59 - 1:03초창기 작품 중에는 조너선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가 있습니다. -
1:03 - 1:06걸리버는 여행 내내
여러 가상사회에 가게 됩니다. -
1:06 - 1:09몇몇 사회는 얼핏 보기에 인상적이었지만
-
1:09 - 1:12자세히 보면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었죠. -
1:12 - 1:14하늘을 나는 섬 라퓨타에서는
-
1:14 - 1:18과학자와 사회계획자들이
사치스럽고 쓸모없는 계획을 추진합니다. -
1:18 - 1:22주민들에게 실제 필요한 것들은
전혀 신경쓰지 않았죠. -
1:22 - 1:25후이넘은 논리적으로 완벽하고
조화로운 사회였지만 -
1:25 - 1:30사람의 결점을 포용할 줄은 몰랐습니다.
-
1:30 - 1:33스위프트는 '걸리버 여행기'에서
디스토피아의 청사진을 제시했습니다. -
1:33 - 1:37당시 사회의 특정한 경향이
-
1:37 - 1:39극단에 치달으면
어떻게 되는지 상상해보고 -
1:39 - 1:42거기에 내재된 결함을 폭로했죠.
-
1:42 - 1:47이후 몇 세기 동안,
소재거리가 다양하게 등장합니다. -
1:47 - 1:50노동자를 해방하겠다던 산업 기술은
-
1:50 - 1:55오히려 노동자들을
슬럼과 공장으로 내몰았고 -
1:55 - 1:58산업계 거물들은 왕보다 부유해졌습니다.
-
1:58 - 2:03어떤 결과가 발생할지
19세기 후반의 다수가 우려했죠. -
2:03 - 2:04H. G. 웰스는 '타임머신'에서
-
2:04 - 2:06상류층과 노동자가
-
2:06 - 2:09서로 다른 종으로 진화한
미래세계를 그렸고, -
2:09 - 2:11잭 런던은 '강철군화'에서
-
2:11 - 2:14소수로 구성된 독재정부가
-
2:14 - 2:17가난한 다수를 통치하는
세상을 보여줍니다. -
2:17 - 2:2320세기가 되면 놀라우면서도
두려운 변화들이 발생합니다. -
2:23 - 2:27의학이 진보하면서
생물학적 한계를 극복하게 됐고 -
2:27 - 2:28대중매체로 인해
-
2:28 - 2:32지도자와 대중이
즉각 소통할 수 있게 됐습니다. -
2:32 - 2:33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에서는
-
2:33 - 2:36시민들이 유전자를 조작당해
-
2:36 - 2:40각자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도록 만들어집니다. -
2:40 - 2:43허위 선전과 마약 덕에
사회는 행복했지만, -
2:43 - 2:46인간적인 요소는 일부
사라져버렸습니다. -
2:46 - 2:52그러나 가장 유명한 디스토피아들은
상상 속이 아닌 현실에 나타났습니다. -
2:52 - 2:55유럽이 유례없는 산업투쟁을 겪는 동안
-
2:55 - 2:58새로운 정치 사상이
권력을 차지했습니다. -
2:58 - 3:01누군가는 사회계급을
완전히 없애겠다 약속했고 -
3:01 - 3:04누군가는 신화 속 유산을 이용해
사람들을 결집시키려 했죠. -
3:04 - 3:08그 결과 현실세계에
디스토피아가 생겼습니다. -
3:08 - 3:12평생을 국가의 감시 하에 살고
-
3:12 - 3:17어디에도 속하지 못하면
속절없이 죽어야 하는 세상이었죠. -
3:17 - 3:20많은 작가들이 이 끔찍한 상황을
눈으로만 본 게 아니라 -
3:20 - 3:22몸으로도 겪었습니다.
-
3:22 - 3:25소련의 예브게니 자먀찐은
소설 '우리들'에서 -
3:25 - 3:31자유의지와 개성이 전부 말살된
미래사회를 묘사합니다. -
3:31 - 3:35소련에서는 출판이 금지됐지만
조지 오웰 등 많은 작가들이 -
3:35 - 3:40파시즘과 공산주의에
저항하는 계기가 된 책이죠. -
3:40 - 3:43조지 오웰은 '동물농장'에서
소련 정권을 직적접으로 조롱했고 -
3:43 - 3:50'1984'에서는 더 나아가
전체주의, 미디어, 언어를 비판합니다. -
3:50 - 3:54미국의 싱클레어 루이스는
'It Can't Happen Here'에서 -
3:54 - 3:59민주주의가 얼마나 간단하게
파시즘으로 대체되는지 그려냅니다. -
3:59 - 4:012차세계대전 후 몇 십년 간
-
4:01 - 4:03작가들은 궁금해했습니다.
-
4:03 - 4:07원자력, 인공지능, 우주여행 같은
새로운 기술이 -
4:07 - 4:10인류의 미래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요.
-
4:10 - 4:12눈부신 발전에 관한
대중의 상상과는 대조된 내용임에도 -
4:12 - 4:18디스토피아를 다룬 SF 소설을 기반으로
영화, 만화, 게임까지 만들어졌습니다. -
4:18 - 4:21로봇은 창조자에게 반기를 들었지만
-
4:21 - 4:25TV에는 지루한 오락거리만 나왔습니다.
-
4:25 - 4:27노동자는 이제
우주 식민지에 나가 일했습니다. -
4:27 - 4:30자원도 고갈되고
-
4:30 - 4:34인구과잉에 범죄까지 들끓는
지구를 벗어나서요. -
4:34 - 4:37그와중에 정치는 한번도
인류와 멀어지지 않았습니다. -
4:37 - 4:39'닥터 스트레인지러브'와 '왓치맨'은
-
4:39 - 4:42핵전쟁의 위험을 다뤘고
-
4:42 - 4:45'브이 포 벤데타'나 '시녀 이야기'는
-
4:45 - 4:50위기가 닥치면 우리의 권리가
아주 쉽게 사라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
4:50 - 4:51오늘날의 디스토피아 소설은
-
4:51 - 4:53다양한 소재,
-
4:53 - 4:55불평등
-
4:55 - 4:56기후변화
-
4:56 - 4:57정부권력
-
4:57 - 4:59세계적인 전염병 등에 관한
불안을 다룹니다. -
4:59 - 5:02왜 이런 비관론에 신경을 쓰는 걸까요?
-
5:02 - 5:05디스토피아가 본질적으로는
경고를 담은 이야기이기 때문입니다. -
5:05 - 5:08특정한 정부나 기술이 아니라
-
5:08 - 5:14인간을 이상적인 형태로 재단할 수 있다는
시각 자체의 위험성을 경고하죠. -
5:14 - 5:18처음에 말한 이상향 이야기로
다시 돌아가봅시다. -
5:18 - 5:21이상향을 이루기 위해
무엇이 필요할지도 생각해봤나요? -
5:21 - 5:24사람들의 협력은
어떻게 얻어낼까요? -
5:24 - 5:28협력을 유지할 방안은?
-
5:28 - 5:30이제 다시 한번 생각해보세요.
-
5:30 - 5:33아직도 그 세상이 완벽해 보입니까?
- Title:
- 디스토피아의 진정한 모습 |알렉스 젠들러(Alex Gendler)
- Description:
-
전체 강의 보기: http://ed.ted.com/lessons/how-to-recognize-a-dystopia-alex-gendler
'나쁜 곳'을 의미하는 디스토피아는 수세기 동안 여러 예술가와 예술 애호가들의 상상력을 자극해왔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왜 이런 비관적인 이야기에 신경을 쓸까요? Alex Gendler는 디스토피아를 다룬 작품들이 특정 정부나 기술이 아니라 인간을 이상적인 형태로 재단할 수 있다고 보는 시각 자체의 위험성을 경고한다고 설명합니다.
강의: 알렉스 젠들러
애니메이션: TED-Ed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Ed
- Duration:
- 05:56
![]() |
Jihyeon J. Kim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How to recognize a dystopia - Alex Gendler | |
![]() |
Jihyeon J. Kim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How to recognize a dystopia - Alex Gendler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to recognize a dystopia - Alex Gendler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to recognize a dystopia - Alex Gendler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to recognize a dystopia - Alex Gendler | |
![]() |
Jeong In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to recognize a dystopia - Alex Gendler | |
![]() |
Jeong In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to recognize a dystopia - Alex Gendler | |
![]() |
danbi jeo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to recognize a dystopia - Alex Gendl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