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6,953 --> 00:00:09,856 이상향을 상상해본 적이 있나요? 2 00:00:09,856 --> 00:00:12,676 전쟁, 가난, 범죄가 없는 세상이요. 3 00:00:12,676 --> 00:00:14,644 당신뿐만이 아닙니다. 4 00:00:14,644 --> 00:00:19,206 플라톤은 철학자가 다스리는 계몽된 공화국을 꿈꿨고, 5 00:00:19,206 --> 00:00:22,077 많은 종교가 사후에서 행복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6 00:00:22,077 --> 00:00:23,382 또한 인류 역사를 통틀어 7 00:00:23,382 --> 00:00:27,447 다양한 집단이 지구상에 낙원을 만들고자 시도했죠. 8 00:00:27,447 --> 00:00:32,926 1516년 토마스 모어는 이 이상향을 '유토피아'라 칭했습니다. 9 00:00:32,926 --> 00:00:35,517 '어디에도 없는 곳' 이라는 그리스어입니다. 10 00:00:35,517 --> 00:00:37,707 이름부터 '어디에도 없다'는 뜻인데 11 00:00:37,707 --> 00:00:40,077 현대 과학이 발달하고 정치가 진보하면서 12 00:00:40,077 --> 00:00:44,068 유토피아를 실현시킬 수 있다는 희망이 피어났습니다. 13 00:00:44,068 --> 00:00:48,007 하지만 몇번을 시도하든 악몽같은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14 00:00:48,007 --> 00:00:50,837 전쟁과 기근, 차별이 발생했죠. 15 00:00:50,837 --> 00:00:53,988 그러자 예술가들이 유토피아에 의문을 품기 시작했고, 16 00:00:53,988 --> 00:00:58,768 디스토피아, 즉 나쁜 곳을 다루는 예술 장르가 탄생했습니다. 17 00:00:58,768 --> 00:01:03,418 초창기 작품 중에는 조너선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가 있습니다. 18 00:01:03,418 --> 00:01:06,478 걸리버는 여행 내내 여러 가상사회에 가게 됩니다. 19 00:01:06,478 --> 00:01:09,008 몇몇 사회는 얼핏 보기에 인상적이었지만 20 00:01:09,008 --> 00:01:11,728 자세히 보면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었죠. 21 00:01:11,728 --> 00:01:13,628 하늘을 나는 섬 라퓨타에서는 22 00:01:13,628 --> 00:01:18,287 과학자와 사회계획자들이 사치스럽고 쓸모없는 계획을 추진합니다. 23 00:01:18,287 --> 00:01:22,147 주민들에게 실제 필요한 것들은 전혀 신경쓰지 않았죠. 24 00:01:22,147 --> 00:01:25,167 후이넘은 논리적으로 완벽하고 조화로운 사회였지만 25 00:01:25,167 --> 00:01:30,117 사람의 결점을 포용할 줄은 몰랐습니다. 26 00:01:30,117 --> 00:01:33,488 스위프트는 '걸리버 여행기'에서 디스토피아의 청사진을 제시했습니다. 27 00:01:33,488 --> 00:01:37,178 당시 사회의 특정한 경향이 28 00:01:37,178 --> 00:01:38,928 극단에 치달으면 어떻게 되는지 상상해보고 29 00:01:38,928 --> 00:01:42,258 거기에 내재된 결함을 폭로했죠. 30 00:01:42,258 --> 00:01:46,952 이후 몇 세기 동안, 소재거리가 다양하게 등장합니다. 31 00:01:46,952 --> 00:01:50,129 노동자를 해방하겠다던 산업 기술은 32 00:01:50,129 --> 00:01:54,530 오히려 노동자들을 슬럼과 공장으로 내몰았고 33 00:01:54,530 --> 00:01:57,858 산업계 거물들은 왕보다 부유해졌습니다. 34 00:01:57,858 --> 00:02:02,599 어떤 결과가 발생할지 19세기 후반의 다수가 우려했죠. 35 00:02:02,599 --> 00:02:03,749 H. G. 웰스는 '타임머신'에서 36 00:02:03,749 --> 00:02:06,489 상류층과 노동자가 37 00:02:06,489 --> 00:02:09,209 서로 다른 종으로 진화한 미래세계를 그렸고, 38 00:02:09,209 --> 00:02:10,820 잭 런던은 '강철군화'에서 39 00:02:10,820 --> 00:02:13,840 소수로 구성된 독재정부가 40 00:02:13,840 --> 00:02:17,399 가난한 다수를 통치하는 세상을 보여줍니다. 41 00:02:17,399 --> 00:02:22,609 20세기가 되면 놀라우면서도 두려운 변화들이 발생합니다. 42 00:02:22,609 --> 00:02:26,680 의학이 진보하면서 생물학적 한계를 극복하게 됐고 43 00:02:26,680 --> 00:02:27,780 대중매체로 인해 44 00:02:27,790 --> 00:02:31,980 지도자와 대중이 즉각 소통할 수 있게 됐습니다. 45 00:02:31,980 --> 00:02:33,369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에서는 46 00:02:33,369 --> 00:02:36,159 시민들이 유전자를 조작당해 47 00:02:36,159 --> 00:02:39,910 각자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도록 만들어집니다. 48 00:02:39,910 --> 00:02:42,690 허위 선전과 마약 덕에 사회는 행복했지만, 49 00:02:42,690 --> 00:02:46,490 인간적인 요소는 일부 사라져버렸습니다. 50 00:02:46,490 --> 00:02:52,020 그러나 가장 유명한 디스토피아들은 상상 속이 아닌 현실에 나타났습니다. 51 00:02:52,020 --> 00:02:55,101 유럽이 유례없는 산업투쟁을 겪는 동안 52 00:02:55,101 --> 00:02:57,673 새로운 정치 사상이 권력을 차지했습니다. 53 00:02:57,673 --> 00:03:01,100 누군가는 사회계급을 완전히 없애겠다 약속했고 54 00:03:01,100 --> 00:03:04,331 누군가는 신화 속 유산을 이용해 사람들을 결집시키려 했죠. 55 00:03:04,331 --> 00:03:07,621 그 결과 현실세계에 디스토피아가 생겼습니다. 56 00:03:07,621 --> 00:03:11,572 평생을 국가의 감시 하에 살고 57 00:03:11,572 --> 00:03:16,902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면 속절없이 죽어야 하는 세상이었죠. 58 00:03:16,902 --> 00:03:19,812 많은 작가들이 이 끔찍한 상황을 눈으로만 본 게 아니라 59 00:03:19,812 --> 00:03:22,231 몸으로도 겪었습니다. 60 00:03:22,231 --> 00:03:25,492 소련의 예브게니 자먀찐은 소설 '우리들'에서 61 00:03:25,492 --> 00:03:30,652 자유의지와 개성이 전부 말살된 미래사회를 묘사합니다. 62 00:03:30,652 --> 00:03:34,832 소련에서는 출판이 금지됐지만 조지 오웰 등 많은 작가들이 63 00:03:34,832 --> 00:03:39,533 파시즘과 공산주의에 저항하는 계기가 된 책이죠. 64 00:03:39,533 --> 00:03:43,362 조지 오웰은 '동물농장'에서 소련 정권을 직적접으로 조롱했고 65 00:03:43,362 --> 00:03:50,442 '1984'에서는 더 나아가 전체주의, 미디어, 언어를 비판합니다. 66 00:03:50,442 --> 00:03:54,013 미국의 싱클레어 루이스는 'It Can't Happen Here'에서 67 00:03:54,013 --> 00:03:59,412 민주주의가 얼마나 간단하게 파시즘으로 대체되는지 그려냅니다. 68 00:03:59,412 --> 00:04:01,243 2차세계대전 후 몇 십년 간 69 00:04:01,243 --> 00:04:02,994 작가들은 궁금해했습니다. 70 00:04:02,994 --> 00:04:06,963 원자력, 인공지능, 우주여행 같은 새로운 기술이 71 00:04:06,963 --> 00:04:09,553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요. 72 00:04:09,553 --> 00:04:12,422 눈부신 발전에 관한 대중의 상상과는 대조된 내용임에도 73 00:04:12,422 --> 00:04:18,044 디스토피아를 다룬 SF 소설을 기반으로 영화, 만화, 게임까지 만들어졌습니다. 74 00:04:18,044 --> 00:04:21,403 로봇은 창조자에게 반기를 들었지만 75 00:04:21,403 --> 00:04:25,494 TV에는 지루한 오락거리만 나왔습니다. 76 00:04:25,494 --> 00:04:27,233 노동자는 이제 우주 식민지에 나가 일했습니다. 77 00:04:27,233 --> 00:04:30,103 자원도 고갈되고 78 00:04:30,103 --> 00:04:34,003 인구과잉에 범죄까지 들끓는 지구를 벗어나서요. 79 00:04:34,003 --> 00:04:36,644 그와중에 정치는 한번도 인류와 멀어지지 않았습니다. 80 00:04:36,644 --> 00:04:39,064 '닥터 스트레인지러브'와 '왓치맨'은 81 00:04:39,064 --> 00:04:42,064 핵전쟁의 위험을 다뤘고 82 00:04:42,064 --> 00:04:44,645 '브이 포 벤데타'나 '시녀 이야기'는 83 00:04:44,645 --> 00:04:49,634 위기가 닥치면 우리의 권리가 아주 쉽게 사라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84 00:04:49,634 --> 00:04:50,634 오늘날의 디스토피아 소설은 85 00:04:50,634 --> 00:04:53,294 다양한 소재, 86 00:04:53,294 --> 00:04:54,644 불평등 87 00:04:54,644 --> 00:04:55,634 기후변화 88 00:04:55,634 --> 00:04:56,705 정부권력 89 00:04:56,705 --> 00:04:58,914 세계적인 전염병 등에 관한 불안을 다룹니다. 90 00:04:58,914 --> 00:05:01,565 왜 이런 비관론에 신경을 쓰는 걸까요? 91 00:05:01,565 --> 00:05:04,984 디스토피아가 본질적으로는 경고를 담은 이야기이기 때문입니다. 92 00:05:04,984 --> 00:05:08,095 특정한 정부나 기술이 아니라 93 00:05:08,095 --> 00:05:14,344 인간을 이상적인 형태로 재단할 수 있다는 시각 자체의 위험성을 경고하죠. 94 00:05:14,344 --> 00:05:17,665 처음에 말한 이상향 이야기로 다시 돌아가봅시다. 95 00:05:17,665 --> 00:05:20,936 이상향을 이루기 위해 무엇이 필요할지도 생각해봤나요? 96 00:05:20,936 --> 00:05:24,355 사람들의 협력은 어떻게 얻어낼까요? 97 00:05:24,355 --> 00:05:28,065 협력을 유지할 방안은? 98 00:05:28,065 --> 00:05:30,055 이제 다시 한번 생각해보세요. 99 00:05:30,055 --> 00:05:32,507 아직도 그 세상이 완벽해 보입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