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Buffers and Hendersen-Hasselbalch

  • 0:00 - 0:03
    자, 제가 약산을 가지고 있는데요,
  • 0:03 - 0:06
    저는 이걸 HA라고 부르겠습니다.
  • 0:06 - 0:12
    A자리에는 어떤 원소든
  • 0:12 - 0:13
    들어갈 수 있습니다.
  • 0:13 - 0:15
    플루오린도 될 수 있구요,
    또 암모니아 분자도 될 수 있습니다.
  • 0:15 - 0:17
    만약 여러분이 여기에 H를 붙인다면
    이젠 암모늄이 되는 거에요.
  • 0:17 - 0:20
    저는 어떤 특정한 원소를
    말하려는 게 아닙니다.
  • 0:20 - 0:24
    이건 그냥 산을 표현하는 일반적인 방식일 뿐입니다.
  • 0:24 - 0:31
    그리고 당연히 이 암모늄은 평형상태입니다.
  • 0:31 - 0:35
    또 여러 차례 여러분이 봐 왔던 것처럼
    양성자이죠.
  • 0:35 - 0:37
    모두 수용액 상태이구요.
  • 0:39 - 0:42
    HA는 이렇게 양성자와
  • 0:42 - 0:44
    짝염기로 분해됩니다.
  • 0:44 - 0:45
    A는 음전하가 되는데요,
  • 0:45 - 0:49
    이 짝염기도 분해되거나 혹은
  • 0:49 - 0:52
    물 분자로부터 수소를 뺏어서
  • 0:52 - 0:56
    OH가 되어 평형상태를 이룰 수 있습니다.
  • 0:56 - 0:57
    우리도 여러 번 해봤었죠.
  • 0:57 - 1:00
    하지만 이게 오늘 수업의 핵심이 아닙니다.
  • 1:00 - 1:03
    자, 한번 조금만 생각해볼까요?
  • 1:03 - 1:07
    만약 우리가 어떤 방식으로든 압력을 가한다면
    이 평형상태는 어떻게 될까요?
  • 1:07 - 1:10
    어쩌면 여러분은 오늘 제가 가르치려는
    "샤틀리에의 원리"에 대해
  • 1:10 - 1:12
    이미 눈치를 챘을 수도 있겠네요.
  • 1:12 - 1:16
    만약 여러분이 어떤 방식으로 평형상태에
    압력을 가하면,
  • 1:16 - 1:19
    그 평형상태는 그 압력을
    완화시키려 할 거에요.
  • 1:19 - 1:29
    자 지금부터 제가 여기에 압력을 줘 볼껀데요,
  • 1:29 - 1:31
    다른 색으로 표시해보겠습니다.
  • 1:31 - 1:34
    이제 여기에 강한 염기를 한 번 붙여볼게요.
  • 1:34 - 1:36
    색이 너무 어둡네요.
  • 1:36 - 1:39
    제가 NaOH를 더해볼게요.
  • 1:39 - 1:42
    우리는 NaOH가 강염기임을 알죠.
    여러분이 NaOH를 수용액 안에 넣으면
  • 1:42 - 1:45
    Na가 분해될 겁니다.
  • 1:45 - 1:48
    하지만 여기서 더 중요한건요,
  • 1:48 - 1:51
    용액에 있는 OH가 어떻게든
    수소를 잡으려 한다는 거죠.
  • 1:51 - 1:55
    여러분이 용액에 OH를 넣을 때
  • 1:55 - 1:59
    여러분이 더한 모든 분자,
  • 1:59 - 2:03
    그냥 분자가 아닌 이 수용액의 모든 분자는
  • 2:03 - 2:06
    수소 원자들을 모두 가져갈겁니다.
  • 2:06 - 2:06
    그렇죠?
  • 2:06 - 2:10
    예를 들어볼까요?
    만약 여러분에게 수소분자 1몰이 들어있는
  • 2:10 - 2:15
    용액이 있고,
    여러분이 여기에 1몰의 NaOH를 넣는다면
  • 2:15 - 2:18
    여러분이 NaOH를 넣자마자 모든 분자들이
  • 2:18 - 2:20
    반응할겁니다.
  • 2:20 - 2:25
    OH들은 H들과 반응해서 물 분자를 형성할꺼구요,
  • 2:25 - 2:27
    모두 용액에서 사라지는 것처럼 보일겁니다.
  • 2:27 - 2:29
    하지만 사라진게 아니에요.
    그냥 물 분자로 바뀐거죠.
  • 2:29 - 2:32
    모든 수소(H)들이 바뀐거에요.
  • 2:32 - 2:34
    혹은 수소가 조금 남아있을지라도
  • 2:34 - 2:37
    곧 모든 1몰의 수소들은 바뀔겁니다.
  • 2:37 - 2:40
    어떻게 이런 반응이 가능할까요?
  • 2:40 - 2:42
    이게 바로 평형 반응인거죠.
  • 2:42 - 2:49
    이 모든 수소들이 사라지는 이유는
  • 2:49 - 2:52
    평형 반응 때문입니다.
  • 2:52 - 2:58
    이 반응이 점점 더 많아질수록
  • 2:58 - 3:01
    수소가 점점 줄어듭니다.
  • 3:01 - 3:03
    여러분은 이걸 수학적으로도 생각해볼 수 있죠.
  • 3:03 - 3:09
    처음에 썼던 식으로 보자면
    수소가 점점 줄어들면서
  • 3:09 - 3:11
    평형반응이 빠르게 시작됩니다.
  • 3:11 - 3:14
    처음의 HA수용액 1몰도 점점 줄어들고
  • 3:14 - 3:16
    A-는 점점 늘어납니다.
  • 3:16 - 3:18
    당연히 H도 줄어들꺼구요.
  • 3:18 - 3:21
    여러분이 NaOH를 수소 1몰에 넣었을 때처럼
  • 3:21 - 3:22
    OH들이 모두 수소를 잡아버리기 때문이죠
  • 3:28 - 3:31
    그리고 이것들이 사라지면
  • 3:31 - 3:32
    이 약염기도 분해될 겁니다.
  • 3:49 - 3:54
    만약에 제가 수용액에 NaOH를 넣고
  • 3:54 - 3:58
    완전히 Na양전하와 OH음전하로
  • 3:58 - 4:05
    분해됩니다.
Title:
Buffers and Hendersen-Hasselbalch
Description: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Khan Academy
Duration:
14:55

Korean subtitles

Incomplete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