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 식과 방정식
-
0:01 - 0:02기본 연산을 할 때
-
0:02 - 0:05구체적인 숫자들을 볼 수 있어요
-
0:05 - 0:0823 + 5를 살펴봅시다
-
0:08 - 0:09이 숫자들을 보고
-
0:09 - 0:11계산을 할 수 있어요
-
0:11 - 0:1228이에요
-
0:12 - 0:142 x 7도 있고
-
0:14 - 0:173 ÷ 4도 있어요
-
0:17 - 0:18모든 경우에서
-
0:18 - 0:21무슨 숫자를 다루는지 알고 있어요
-
0:21 - 0:26대수의 세계로 들어가면서
-
0:26 - 0:26
-
0:26 - 0:30변수라는 개념을 다루게 되요
-
0:30 - 0:33변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생각해 볼 수 있어요 -
0:33 - 0:33
-
0:33 - 0:36변수는 단지 바뀔 수 있는 값이나 식이에요
-
0:36 - 0:36
-
0:36 - 0:39이 식들이 가지는 값은 변할 수 있죠
-
0:39 - 0:42예를 들면
-
0:42 - 0:45x + 5 라고 쓴다면
-
0:45 - 0:47이것은 하나의 식이에요
-
0:47 - 0:49이것이 나타내는 값은
-
0:49 - 0:52x가 무엇이냐에 따라 달라지죠
-
0:52 - 0:57만약 x가 1이면
-
0:57 - 1:02x + 5 라는 식은
-
1:02 - 1:07이 때 x는 1이기 때문에
-
1:07 - 1:07
-
1:07 - 1:081 + 5가 되고
-
1:08 - 1:11x + 5는 6 이되요
-
1:11 - 1:17만약 x가 -7 이면
-
1:17 - 1:22x + 5는
-
1:22 - 1:24x 가 -7이기 때문에
-
1:24 - 1:29-7 + 5가 되어 -2가 되겠죠
-
1:29 - 1:29
-
1:29 - 1:34여기 있는 x는 변수이고
-
1:34 - 1:39이 식은 주어진 값에 따라 달라지죠
-
1:39 - 1:40
-
1:40 - 1:42방정식에서도 볼 수 있어요
-
1:42 - 1:45식과 방정식의 차이를 아는 것은
-
1:45 - 1:47매우 중요해요
-
1:47 - 1:50식은 단지 어떤 값을 나타내는
-
1:50 - 1:54어떤 양을 나타내는 표현이에요
-
1:54 - 1:54
-
1:54 - 1:57식은 예를 들면
-
1:57 - 1:58아까 여기서 봤던
-
1:58 - 1:59x + 5와 같은 거에요
-
1:59 - 2:05이 식의 값은 변수의 값에 따라서 바뀔 거에요
-
2:05 - 2:06
-
2:06 - 2:09x가 다른 값이 되면 달라지는 거죠
-
2:09 - 2:12식의 다른 예를 들면
-
2:12 - 2:13y + z가 있어요
-
2:13 - 2:14전부 변수에요
-
2:14 - 2:17y가 1이고 z가 2이면
-
2:17 - 2:191 + 2가 되겠죠
-
2:19 - 2:21y가 0이고 z가 -1이면
-
2:21 - 2:240 + (-1)이 될 거에요
-
2:24 - 2:26이것들은
-
2:26 - 2:32식 안에 있는 변수들 각각의 값에 따라
답이 달라져요 -
2:32 - 2:32
-
2:32 - 2:32
-
2:32 - 2:35방정식의 경우에는 식이 서로 같다고
가정하고 시작해요 -
2:35 - 2:36
-
2:36 - 2:39그래서 equations라고 하는 거에요
-
2:39 - 2:40두 개를 같다고 보는 거죠
-
2:40 - 2:43방정식에서는 한 식이
-
2:43 - 2:46다른 식과 같다는 걸 볼 수 있어요
-
2:46 - 2:48예를 들면
-
2:48 - 2:52x + 3 = 1
-
2:52 - 2:58이렇게 한 개의 값을 모르는 방정식에서는
-
2:58 - 2:58
-
2:58 - 3:01이 상황에서 x 가 어떤 값을 가져야 할지
알아낼 수 있어요 -
3:01 - 3:02
-
3:02 - 3:03암산으로도 할 수 있어요
-
3:03 - 3:06무엇에다가 3을 더하면 1이 될까요?
-
3:06 - 3:06
-
3:06 - 3:10x가 -2라면 3을 더하면 1이 되겠죠
-
3:10 - 3:15방정식이 변수의 값을 결정하는 거에요
-
3:15 - 3:15
-
3:15 - 3:18그렇지만 무조건적으로 결정하는 건 아니에요
-
3:18 - 3:19예를 들면
-
3:19 - 3:26x + y + z = 5
-
3:26 - 3:28이 방정식에서 좌변은
-
3:28 - 3:29우변과 값이 같죠
-
3:29 - 3:325는 우변에만 있어요
-
3:32 - 3:34여기에는 몇 가지 제약이 있어요
-
3:34 - 3:36y와 z를 알면 x의 값이 정해져요
-
3:36 - 3:36
-
3:36 - 3:38만약 x와 y를 알려준다면
-
3:38 - 3:40z가 결정되겠죠
-
3:40 - 3:43다른 것들이 어떤 가에 달려 있는 거에요
-
3:43 - 3:44예를 들면
-
3:44 - 3:52만약 y가 3이고 z가 2라면
-
3:52 - 3:54x는 얼마일까요?
-
3:54 - 3:58y가 3이고 z가 2이면
-
3:58 - 3:59
-
3:59 - 4:00좌변은
-
4:00 - 4:02x + 3 + 2니까
-
4:02 - 4:05x + 5가 되고
-
4:05 - 4:07우변은 5가 되서
-
4:07 - 4:09x + 5 = 5라는 것을 구할 수 있을 거에요
-
4:09 - 4:12그러면 무엇에다가 5를 더하면 5가 될까요?
-
4:12 - 4:13
-
4:13 - 4:17x는 0이 되어야 한다고 결정짓는 거에요
-
4:17 - 4:17
-
4:17 - 4:18그런데 중요한 사실이 있죠
-
4:18 - 4:20식과 방정식의 차이점을
-
4:20 - 4:21알고 있어야 해요
-
4:21 - 4:23방정식은 단순히 두 개의 식을 같다고 놓는 거에요
-
4:23 - 4:24
-
4:24 - 4:25여기서 알 수 있는 중요한 사실은
-
4:25 - 4:32변수는 문제의 조건에 따라서
값이 달라질 수 있다는 거에요 -
4:32 - 4:32
-
4:32 - 4:33
-
4:33 - 4:38변수들이 다른 값을 가지는 식을 계산해 볼게요
-
4:38 - 4:38
-
4:38 - 4:42예를 들어
-
4:42 - 4:48x의 y제곱 이라는 식이 있다고 해요
-
4:48 - 4:48
-
4:48 - 4:52x는 5이고
-
4:52 - 4:56y는 2라고 하면
-
4:56 - 4:56
-
4:56 - 4:59이 식은
-
4:59 - 5:02x가 5이고
-
5:02 - 5:03x가 5이고
-
5:03 - 5:04y가 2이니까
-
5:04 - 5:075의 제곱이 되서
-
5:07 - 5:08답은
-
5:08 - 5:1025에요
-
5:10 - 5:13값을 바꿔서
-
5:13 - 5:16x가
-
5:16 - 5:16
-
5:16 - 5:21x가 -2이고
-
5:21 - 5:25y가 3이라면
-
5:25 - 5:28이 식은
-
5:28 - 5:30
-
5:30 - 5:32이 식에서
-
5:32 - 5:34이렇게 조건이 주어진다면
-
5:34 - 5:37x 대신 -2를 쓰고
-
5:37 - 5:38y는 3이니까
-
5:38 - 5:42-2의 세제곱이라서
-
5:42 - 5:45-2 x -2 x -2는
-
5:45 - 5:47-8이 되겠네요
-
5:47 - 5:49-2 곱하기 -2는 4이고
-
5:49 - 5:52-2를 또 곱하면 -8이 되요
-
5:52 - 5:53답은 -8이에요
-
5:53 - 5:56변수들의 값에 따라서
-
5:56 - 5:59더 어려운 것들도 계산할 수 있어요
-
5:59 - 6:00
-
6:00 - 6:07√(x+y) - x 같은 것들 말이에요
-
6:07 - 6:12x가 1이고
-
6:12 - 6:16y가 8이라고 하면
-
6:16 - 6:18이 식에서
-
6:18 - 6:21x가 보일 때마다 그 자리에 1을 넣어주면 되요
-
6:21 - 6:23여기에도 1을 대입하고
-
6:23 - 6:25여기에도 1을 대입하면 되겠네요
-
6:25 - 6:27y가 보일 때마다
-
6:27 - 6:29그 자리에 8을 넣어주면 되는 거죠
-
6:29 - 6:32이 식에서는 변수 대신에 8이 보이게 쓰는 거에요
-
6:32 - 6:32
-
6:32 - 6:35근호 안에 1+ 8이 있게 되요
-
6:35 - 6:389의 양의 제곱근은 3이죠
-
6:38 - 6:41모든 것들이 간단해져요
-
6:41 - 6:43이 식에서 변수들의 값을 이렇게 정하면
-
6:43 - 6:46이 식은 3으로 간단하게 되요
-
6:46 - 6:471 + 8 = 9
-
6:47 - 6:499의 양의 제곱근은 3이고
-
6:49 - 6:513 빼기 1은
-
6:51 - 6:552가 되겠네요
![]() |
지혜 김 edited Korean subtitles for Variables Expressions and Equations | |
![]() |
지혜 김 edited Korean subtitles for Variables Expressions and Equations | |
![]() |
Seoyeoun Park edited Korean subtitles for Variables Expressions and Equations | |
![]() |
Seoyeoun Park edited Korean subtitles for Variables Expressions and Equations | |
![]() |
Seoyeoun Park edited Korean subtitles for Variables Expressions and Equations | |
![]() |
Seoyeoun Park edited Korean subtitles for Variables Expressions and Equations | |
![]() |
Seoyeoun Park edited Korean subtitles for Variables Expressions and Equations | |
![]() |
Seoyeoun Park edited Korean subtitles for Variables Expressions and Equatio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