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은 어떻게 볼까? - 콜름 켈러허(Colm Kelleher)
-
0:15 - 0:17여러분은 어쩌면 빛이 일종의
파동이라고 들어보셨을 겁니다. -
0:17 - 0:19그리고, 어떤 물체의 색은
-
0:19 - 0:22그 물체가 반사하는 빛의
파동 주파수와 관련이 있는 것도요. -
0:22 - 0:24빛의 파동 주파수가 높으면 보라색으로 보이고
-
0:24 - 0:26낮으면 붉은 색으로 보이죠.
-
0:26 - 0:28그 사이의 주파수는 노랑,
-
0:28 - 0:28녹색,
-
0:28 - 0:29주황색
-
0:29 - 0:31같은 걸로 보여요.
-
0:31 - 0:33이런 걸 물리적 색이라고 할 수도 있겠어요.
-
0:33 - 0:37왜냐하면 색은 빛 자신의
물리적 성질을 나타내고 있으니까요. -
0:37 - 0:39그건 사람이 인식하는 방법에 따라
달라지지 않아요. -
0:39 - 0:41여기까지 틀리건 없는데
-
0:41 - 0:44그게 전부가 아니랍니다.
-
0:44 - 0:47예를 들어, 이런 그림을 전에 보신적이 있을텐데요,
-
0:47 - 0:52보시다시피 붉은 빛과 녹색 빛이
겹치는 부분은 노란색이에요 -
0:52 - 0:54생각해보면 정말 이상하죠.
-
0:54 - 0:57빛은 파동이기 때문에,
두 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는 -
0:57 - 0:59절대로 서로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하거든요.
-
0:59 - 1:00두 빛은 가수 두 명이 화음을 이루듯이
-
1:00 - 1:02모두 다 존재해야만 하잖아요.
-
1:02 - 1:05사실 노랗게 보이는 지점에는
-
1:05 - 1:07두 개의 서로 다른 빛의 파동이 존재합니다:
-
1:07 - 1:09하나는 붉은 색의 주파수이고
-
1:09 - 1:11다른 하나는 녹색의 주파수에요.
-
1:11 - 1:13노란색 빛은 전혀 없어요.
-
1:13 - 1:14그러면 어떻게 이 부분이,
-
1:14 - 1:17붉은색과 녹색이 겹치는 부분이
-
1:17 - 1:19노랗게 보일까요?
-
1:19 - 1:22이걸 이해하려면 생물학을 약간 알아야 합니다.
-
1:22 - 1:25특히, 사람이 색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해서요.
-
1:25 - 1:28빛을 감지하는 것은 종이처럼
얇은 세포막에서 합니다. -
1:28 - 1:29망막이라고 부르죠.
-
1:29 - 1:32이것은 안구의 뒤 쪽을 감싸고 있는 막이에요.
-
1:32 - 1:36망막에는 색을 인식하는
두가지 종류의 세포가 있어요: -
1:36 - 1:38간상체와 추상체라고 하죠.
-
1:38 - 1:40간상체는 어두운데서
보는데 주로 사용되고 -
1:40 - 1:43단 한가지 종류만 있어요.
-
1:43 - 1:46하지만 추상체는 아주 다릅니다.
-
1:46 - 1:48추상체에는 또 다시 세가지 세포가 있는데,
-
1:48 - 1:49그 각각은 빨강색,
-
1:49 - 1:50녹색,
-
1:50 - 1:51그리고 파랑색을 인식합니다.
-
1:51 - 1:53색을 볼 때,
-
1:53 - 1:57각 추상세포는 각기 다른 신호를 뇌로 보냅니다.
-
1:57 - 1:59노랑색을 예로 들어 볼까요,
-
1:59 - 2:02노랑색에 대응하는 주기의 빛이
-
2:02 - 2:03눈에 비친다고 해보죠.
-
2:03 - 2:06사람의 눈에는 노랑색을
감지하는 추상세포가 없어요. -
2:06 - 2:08하지만 노랑색은 녹색에도 가깝고
-
2:08 - 2:10또 빨강색에도 가까우니까
-
2:10 - 2:12빨강색과 녹색을 감지하는
추상세포가 반응합니다. -
2:12 - 2:16각각의 추상세포는 자신이 색을
감지했다는 신호를 뇌로 보내요. -
2:16 - 2:18물론, 빨강색에 대응하는 추상세포와
-
2:18 - 2:21녹색에 대응하는 추상세포가 동시에
반응하게 하는 또 다른 방법이 있기는 하죠. -
2:21 - 2:25빨강색과 녹색이 동시에 있는 경우라면요.
-
2:25 - 2:28요점은, 여러분이 보는 것이
정말 노랑색 주파수를 갖는 색이든 -
2:28 - 2:32빨강색과 녹색이 혼합되어 있는 빛이든
-
2:32 - 2:35뇌가 받는 신호는 마찬가지라는 겁니다.
-
2:35 - 2:39그것이 바로, 빨강색과 녹색이 혼합된 빛을 받으면
노랑색으로 보이는 이유에요. -
2:39 - 2:43그러면 어두울 때는 왜 색을 구별하지 못할까요?
-
2:43 - 2:45자, 망막에 있는 간상세포는 어두울 때
-
2:45 - 2:47역할을 이어 받습니다.
-
2:47 - 2:49간상세포는 단 한가지 종류만 있는데요,
-
2:49 - 2:51그래서 뇌에 보낼 수 있는 신호가
-
2:51 - 2:53한가지 밖에는 없죠.
-
2:53 - 2:55빛이 있거나 빛이 없는 경우요.
-
2:55 - 2:57빛을 감지하는방법이 한가지만 있다고 해서
-
2:57 - 3:00색을 전혀 보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
3:00 - 3:02물리적으로 무한히 많은 다른 색들이 있어요,
-
3:02 - 3:05하지만 색을 구별하는 추상세포는
단 세 종류만 있기 때문에 -
3:05 - 3:08뇌는 겨우 세가지 빛의 적절한 조합을
-
3:08 - 3:11아주 민감하게 처리하여
어떤 색이든 볼 수 있는 것으로 -
3:11 - 3:12착각합니다:
-
3:12 - 3:14실제 보는건 빨강색, 녹색, 파랑색인데도요.
-
3:14 - 3:18사람의 시각에 대한 이런 특성은
실생활에서도 아주 유용합니다. -
3:18 - 3:20예를 들어, TV를 만드는 것을 생각해 볼까요.
-
3:20 - 3:23TV 화면에 무한히 많은 색을 넣는 대신에
-
3:23 - 3:25실제 세계와 비슷하게만 하면 됩니다.
-
3:25 - 3:27TV 를 만드는 사람들은 세가지 색만 넣으면 되는거죠:
-
3:27 - 3:29빨강색, 녹색, 그리고 파랑색이요.
-
3:29 - 3:32그 사람들에게는 정말 운이 좋은 일이죠
- Title:
- 색은 어떻게 볼까? - 콜름 켈러허(Colm Kelleher)
- Speaker:
- Colm Kelleher
- Description:
-
전체 강영 보기: http://ed.ted.com/lessons/how-we-see-color-colm-kelleher
사람의 눈에는 각각 빨강색, 녹색, 파랑색의 세 가지 색을 인식하는 세포들이 있습니다. 그러면 우리는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색을 볼 수 있는 만화경 같은 것은 어떻게 볼까요? 콜름 켈러허가 사람은 앨범이나 물빛 같은 것까지, 어떻게 모든 것을 볼 수 있는지 설명합니다.
강연: 콜름 켈러허(Colm Kelleher)
동영상: TED-Ed.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Ed
- Duration:
- 03:45
![]() |
TED Translators admin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we see color | |
![]() |
K Bang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How we see color | |
![]() |
K Bang commented on Korean subtitles for How we see color | |
![]() |
Retired user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How we see color | |
![]() |
Retired user commented on Korean subtitles for How we see color | |
![]() |
Retired u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we see color | |
![]() |
Retired u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we see color | |
![]() |
K B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we see colo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