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피터 하스: 아이티의 토목 공학의 재난

  • 0:01 - 0:04
    저는 스카이프를 통해서 아이티의 지진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 0:04 - 0:07
    제 아내가 저에게 메세지를 보냈습니다.
  • 0:07 - 0:09
    "큰일 났어요, 지진이예요."
  • 0:09 - 0:12
    그리고 나서 25분간 연락이 끊겼습니다.
  • 0:13 - 0:16
    미국 전역에 걸쳐 수 천명의 사람들이 경험한
  • 0:16 - 0:20
    25분간의 말할 수 없는 공포였습니다.
  • 0:21 - 0:24
    저는 쓰나미를 두려워했습니다.
  • 0:24 - 0:26
    제가 깨닫지 못했던 것은
  • 0:26 - 0:29
    아이티에 더 끔찍한 공포가 벌어졌다는 것입니다.
  • 0:29 - 0:32
    그것은 건물의 붕괴였습니다.
  • 0:32 - 0:34
    아이티의 붕괴된 건물의 사진을
  • 0:34 - 0:37
    모두 보셨을 겁니다.
  • 0:37 - 0:39
    이 사진들은 지진이 발생하고 나서 며칠 뒤
  • 0:39 - 0:41
    아내가 찍은 사진입니다.
  • 0:41 - 0:44
    저는 그 때 도미니칸 공화국을 통해 아이티로 들어 가고 있었습니다.
  • 0:45 - 0:47
    이 곳은 국립 궁전인데,
  • 0:47 - 0:50
    백악관과 같은 곳입니다.
  • 0:50 - 0:53
    이 곳은 카리브해 지역에서 가장 큰 슈퍼마켓입니다.
  • 0:53 - 0:56
    가장 붐비는 시간이었죠.
  • 0:58 - 1:00
    이 곳은 간호대학입니다.
  • 1:00 - 1:03
    300명의 간호원들이 공부하고 있었습니다.
  • 1:04 - 1:06
    바로 옆의 종합병원은
  • 1:06 - 1:09
    대부분 손상되지 않은 채 남아있습니다.
  • 1:09 - 1:12
    이 곳은 경제 금융부 건물입니다.
  • 1:15 - 1:17
    우리 모두는
  • 1:17 - 1:20
    아이티에서 일어난 지진으로 인한
  • 1:20 - 1:22
    엄청난 인명 손실에 대해 들었습니다.
  • 1:22 - 1:25
    그러나 우리는 왜 이런 인명 손실이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 1:25 - 1:28
    충분히 듣지 못했습니다.
  • 1:28 - 1:30
    우리는 왜 건물들이 붕괴 되었는지에 대해
  • 1:30 - 1:33
    듣지 못했습니다.
  • 1:33 - 1:35
    22만명의 사람들이 죽고
  • 1:35 - 1:37
    33만명의 사람들이 다치고
  • 1:37 - 1:40
    일천 삼백만명의 사람들이 다른 곳으로 피해야 했고
  • 1:40 - 1:43
    전국에 걸쳐
  • 1:43 - 1:48
    식량과 물과 생활 필수품이
  • 1:49 - 1:51
    끊긴 것은
  • 1:51 - 1:53
    결국 건물의 문제였지
  • 1:53 - 1:56
    지진의 문제는 아니었습니다.
  • 1:56 - 2:01
    이것은 수십 년 만에 일어난
  • 2:01 - 2:04
    대 도시 지역의 가장 큰 재난이었습니다.
  • 2:04 - 2:07
    그리고 이것은 자연 재해가 아닌
  • 2:07 - 2:10
    토목 공학의 재해였습니다.
  • 2:10 - 2:12
    AIDG(the Appropriate Infrastructure Development Group)는
  • 2:12 - 2:14
    2007년부터 아이티에서 일해 오면서
  • 2:14 - 2:16
    소규모 사업체들에게 토목 공학과 사업에 관한
  • 2:16 - 2:18
    도움을 제공해왔습니다.
  • 2:18 - 2:22
    그리고 지진 후에 우리는 지진 관련 공학자들을 불러 들여서
  • 2:22 - 2:24
    왜 건물들이 붕괴 되었는지를 알아보고,
  • 2:24 - 2:27
    무엇이 안전하고, 안전하지 않은 지를 검사하게 했습니다.
  • 2:27 - 2:30
    U.N. 산하 아이티 사절단인
  • 2:30 - 2:32
    MINUSTAH(United Nations Stabilization Mission in Haiti 유엔 아이티 안정화 사절단)
  • 2:32 - 2:34
    그리고 공공 사업부
  • 2:34 - 2:36
    그리고 다른 비정부 기구들과 같이 일하면서,
  • 2:36 - 2:39
    우리는 일천오백 개 이상의 건물들을 조사했고
  • 2:40 - 2:42
    학교와 개인 주택도
  • 2:42 - 2:44
    조사했습니다.
  • 2:44 - 2:46
    우리는 병원과 식량 창고도
  • 2:46 - 2:48
    조사했습니다.
  • 2:48 - 2:50
    우리는 정부 건물들도 조사했습니다.
  • 2:50 - 2:52
    여기는 법무부입니다.
  • 2:52 - 2:54
    문 뒤쪽으로는
  • 2:54 - 2:57
    국가 사법 기록 보관소가 있습니다.
  • 2:57 - 2:59
    문에 있는 사람은
  • 2:59 - 3:01
    버팔로 대학의
  • 3:01 - 3:05
    학과간 제휴 지진 공학 연구소의 소장인
  • 3:05 - 3:08
    안드레 필리트라우트입니다.
  • 3:08 - 3:10
    그는 기록 보관소를 복구하는 것이
  • 3:10 - 3:12
    안전한 지를 검사하고 있습니다.
  • 3:12 - 3:14
    안드레는 말하길
  • 3:14 - 3:16
    이 건물들이 거듭해서
  • 3:16 - 3:19
    같은 방식으로 무너졌다는 것을 알게 되고 나서는
  • 3:19 - 3:22
    여기에는 새롭게 조사할 것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 3:22 - 3:25
    우리가 모르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 3:25 - 3:28
    잘못된 원인은 같았습니다.
  • 3:28 - 3:31
    지붕과 석판이 기둥을 이루도록 올바르게 결합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 3:31 - 3:34
    지붕의 판이 건물에 걸려 있는 모습입니다.
  • 3:36 - 3:38
    캔틸레버(외팔보)로 된 구조,
  • 3:38 - 3:40
    또는 비대칭 구조
  • 3:40 - 3:42
    그런 것들이 건물들을 심하게 흔들리게 하고 무너지게 했습니다.
  • 3:44 - 3:46
    질이 낮은 건물 재료들
  • 3:46 - 3:48
    충분하지 못한 콘크리트
  • 3:48 - 3:51
    벽돌 사이의 불충분한 압착
  • 3:52 - 3:54
    매끄러운 (콘크리트 보강용) 강철봉
  • 3:54 - 3:57
    날씨에 노출이 되어서 녹슬어 버린 강철봉.
  • 3:57 - 4:00
    이제 이 모든 문제들의
  • 4:00 - 4:02
    해결책이 있습니다.
  • 4:02 - 4:05
    그리고 우리는 어떻게 올바르게 건물을 지어야 하는지도 압니다.
  • 4:05 - 4:08
    이에 대한 증거는 칠레에 있습니다.
  • 4:08 - 4:11
    거의 한 달 후에
  • 4:11 - 4:14
    8.8강도의 지진이
  • 4:15 - 4:17
    칠레를 강타했습니다.
  • 4:17 - 4:19
    아이티의 수도인 포르토 프랭스를 강타한
  • 4:19 - 4:21
    지진 강도 7.0의
  • 4:21 - 4:24
    500배였습니다.
  • 4:24 - 4:26
    500배의 강도였습니다.
  • 4:26 - 4:29
    그러나 단지 천 명이하의 사상자만 났습니다.
  • 4:31 - 4:33
    인구 밀도로 따져보면
  • 4:33 - 4:35
    아이티가 지진으로 받은 충격의
  • 4:35 - 4:38
    일 퍼센트보다 작았습니다.
  • 4:39 - 4:41
    칠레와 아이티의
  • 4:41 - 4:44
    차이점은 무엇이었을까요?
  • 4:44 - 4:46
    지진 표준,
  • 4:46 - 4:49
    그리고 내진 석조 공법인데,
  • 4:49 - 4:51
    건물이 전체적으로 구성이 되어있어서
  • 4:51 - 4:53
    벽들과 기둥
  • 4:53 - 4:55
    그리고 지붕과 지붕판이
  • 4:55 - 4:58
    서로를 지탱해주도록 함께 연결되어 있습니다.
  • 4:58 - 5:02
    자재들이 떨어져 부서지고 무너지는 대신에 말입니다.
  • 5:03 - 5:06
    칠레의 건물을 보시면
  • 5:06 - 5:08
    반으로 갈라져 있기는 하지만
  • 5:08 - 5:11
    파편의 무더기는 아닙니다.
  • 5:12 - 5:14
    칠레 사람들은 수 십 년간 내진 석조 공법으로
  • 5:14 - 5:16
    건물을 지어왔습니다.
  • 5:17 - 5:21
    현재 AIDG는 KPFF 컨설팅 엔지니어들,
  • 5:21 - 5:23
    그리고 '인간을 위한 건축' (Architecture for Humanity) 과 함께
  • 5:23 - 5:26
    아이티에서 내진 석조 공법 교육을
  • 5:26 - 5:28
    좀 더 많이 실행하기 위해 일하고 있습니다.
  • 5:30 - 5:32
    이 사람은 잰터스 대니엘입니다.
  • 5:32 - 5:34
    그는 현장 주임이 아니라
  • 5:34 - 5:37
    일반적인 공사장 노동자인 석조공입니다.
  • 5:37 - 5:39
    그는 우리의 교육을 받았습니다.
  • 5:39 - 5:42
    그가 상사와 일한 최근의 작업에서
  • 5:42 - 5:45
    그들은 기둥에 콘크리트를 잘못된 방법으로 부었습니다.
  • 5:45 - 5:47
    그는 그의 상사를 따로 불러서
  • 5:47 - 5:50
    내진 석조 공법의 자재들을 상사에게 보여주었습니다.
  • 5:50 - 5:53
    그는 상사에게 보여주며 말했습니다. "저기요, 우리는 잘못된 방법으로 일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 5:53 - 5:55
    올바른 방법으로 하기 위해
  • 5:55 - 5:58
    더 이상의 비용은 들지 않습니다."
  • 5:58 - 6:00
    그래서 그들은 다시 지었습니다.
  • 6:00 - 6:02
    그들은 강철봉을 올바르게 연결시켰습니다.
  • 6:02 - 6:04
    그들은 기둥에 콘크리트를 알맞게 부었습니다.
  • 6:04 - 6:06
    그러면 건물은 안전할 것이고
  • 6:06 - 6:08
    그들이 앞으로 짓는
  • 6:08 - 6:10
    모든 건물들은
  • 6:10 - 6:12
    안전할 것입니다.
  • 6:13 - 6:15
    이 건물들을 확실히 안전하게 하기 위해서는
  • 6:15 - 6:18
    정책이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 6:18 - 6:20
    현장에 있는 석조공들과
  • 6:20 - 6:23
    접촉하여
  • 6:23 - 6:26
    그들이 올바른 기술을 배우도록 돕는 것입니다.
  • 6:28 - 6:30
    현재 많은 단체들이 이 일을 하고 있습니다.
  • 6:30 - 6:32
    사진의 조끼를 입고 있는 사람은
  • 6:32 - 6:34
    크레이그 토텐인데
  • 6:34 - 6:36
    이 일을 하고 있는 많은 단체들의 작업을
  • 6:36 - 6:39
    문서화하는 일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6:40 - 6:42
    '아이티 재정비' (Haiti Rewired),
  • 6:42 - 6:45
    '건축의 변화' (Build Change), '인간을 위한 건축' (Architecture for Humanity),
  • 6:45 - 6:47
    그리고 AIDG와 같은 단체들을 통해
  • 6:47 - 6:49
    아이티 전국에 있는
  • 6:49 - 6:52
    삼만 명에서 사만 명에 달하는 석조공들에게
  • 6:52 - 6:55
    손을 뻗쳐서
  • 6:55 - 6:57
    올바른 건물 짓기 운동을 일궈낼
  • 6:57 - 7:00
    가능성이 있습니다.
  • 7:02 - 7:04
    이러한 협조적인 방법으로
  • 7:04 - 7:06
    현장에 있는 사람들에게 다가갈 수 있다면
  • 7:06 - 7:09
    그것은 매우 감당할 만한 일입니다.
  • 7:09 - 7:13
    재건축을 위해 수 십억 달러를 쓰는 대신
  • 7:13 - 7:15
    한 집당 몇 달러 정도의 비용으로
  • 7:15 - 7:17
    석조공들을 교육시킬 수 있습니다.
  • 7:17 - 7:20
    그래서 평생 가는 건물을 짓게 되는 것입니다.
  • 7:22 - 7:24
    결국 아이티를 재건축하는 데는
  • 7:24 - 7:26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7:26 - 7:28
    위에 있는 있는 방식은
  • 7:28 - 7:31
    아이티 사람들이 수십 년간 건축해온 방식입니다.
  • 7:31 - 7:33
    위에 있는 방식은
  • 7:33 - 7:35
    형편없이 지어져서
  • 7:35 - 7:37
    붕괴될 우려가 있는 건물입니다.
  • 7:37 - 7:40
    아래에 있는 방식은 내진 석조 공법으로 지어진 건물인데
  • 7:40 - 7:42
    벽들은 서로 단단히 연결되어 있고
  • 7:42 - 7:44
    건물은 대칭을 이루어
  • 7:44 - 7:47
    지진이 일어나도 견뎌낼 것입니다.
  • 7:47 - 7:49
    모든 재앙에도 불구하고
  • 7:49 - 7:52
    다음 세대를 위해
  • 7:52 - 7:54
    더 나은 집을 지을 수 있는
  • 7:54 - 7:56
    기회가 여기에 있습니다.
  • 7:56 - 7:59
    그래서 다음 지진이 일어나도
  • 7:59 - 8:01
    그것은 재앙이지
  • 8:01 - 8:03
    비극은 아닐 것입니다.
  • 8:04 - 8:08
    (박수)
Title:
피터 하스: 아이티의 토목 공학의 재난
Speaker:
Peter Haas
Description:

"아이티의 재난은 자연 재앙이 아니었다."라고 TED의 펠로우인 피터 하스는 말한다. "그 것은 토목 공학의 재앙이었다." 지난 1월의 끔찍한 지진후에 아이티가 재건축을 해나갈 때, 과거의 나쁜 건축 방식이 또 다른 시한 폭탄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하스가 속한 AIDG단체는 쌓는 벽돌 벽돌 하나 하나마다 강한 국가를 만들기 위해 아이티의 건축자들이 현대적인 건축과 토목 공학 방식을 배울 수 있도록 돕고 있다.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closed TED
Project:
TEDTalks
Duration:
08:09
Jireh Kang added a translation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