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광합성: 캘빈 회로

  • 0:00 - 0:00
  • 0:00 - 0:03
    이제 암반응에 대해
  • 0:03 - 0:05
    조금 배울 준비가 된 것 같습니다.
  • 0:05 - 0:07
    우리가 광합성의 단계 중 어디에 있는지 기억해 보자면,
  • 0:07 - 0:13
    명반응에서 햇빛의 광자들이 들어와 엽록소에 있는
  • 0:13 - 0:15
    전자들을 흥분시켰습니다.
  • 0:15 - 0:18
    그리고 이 광자들이 더 낮은 에너지 준위로 가는 동안--
  • 0:18 - 0:20
    여기 저번 영상에서 본 것과 같이--
  • 0:20 - 0:23
    광자들이 더 낮은 에너지 준위로 가는 동안
  • 0:23 - 0:26
    이 모든 것들이 여기 틸라코이드 막에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 0:26 - 0:28
    상상할 수 있겠습니까?-- 다른 색깔로 하도록 하겠습니다.
  • 0:28 - 0:30
    바로 여기서 일어나고 있는 것을 상상할 수 있습니다.
  • 0:30 - 0:33
    광자들이 더 낮은 에너지 준위로 가는 동안,
  • 0:33 - 0:34
    두 가지 일들이 일어났습니다.
  • 0:34 - 0:37
    첫 번째로, 에너지의 방출이 수소를
  • 0:37 - 0:39
    막 건너로 수송시켰습니다.
  • 0:39 - 0:41
    그리고 이곳에 높은 농도의 수소가 있게 되면,
  • 0:41 - 0:44
    이 수소들이 ATP 합성효소 안으로 들어가면서
  • 0:44 - 0:47
    모터를 돌려 ATP를 생성했습니다.
  • 0:47 - 0:50
    그리고 마지막 전자수용체, 혹은 수소수용체--
  • 0:50 - 0:52
    원하는대로 불러도 됩니다--
    로 갑니다.
  • 0:52 - 0:56
    수소 원자 전체는 NAD+ 이었습니다.
  • 0:56 - 1:00
    그래서 명순환에서 생성된 우리가 계속
  • 1:00 - 1:04
    광합성 할 때 쓸 두 가지의 부산물은
  • 1:04 - 1:07
    아, 명반응에서 생성되었다고 해야됩니다
  • 1:07 - 1:10
    명순환이라고 부르면 안됩니다-- 은
  • 1:10 - 1:13
    여기에 써 놓았는데-- ATP와 NADPH입니다.
  • 1:13 - 1:16
    그리고 우리는 처음에 흥분되었던 전자를
  • 1:16 - 1:18
    대신할 전자가 필요합니다.
  • 1:18 - 1:20
    그래서 우리는 물에서 전자를 하나 떼어냅니다.
  • 1:20 - 1:23
    그럼으로써 이 반응에서 굉장히 중요한 부산물인
  • 1:23 - 1:24
    산소도 생성하게 됩니다.
  • 1:24 - 1:29
    이제 ATP와 NADPH가 있으니, 이제 우리는
  • 1:29 - 1:32
    암반응으로 진행할 준비가 된 것입니다.
  • 1:32 - 1:34
    그리고 다시 강조하고 싶은 것이 있는데, 이 반응이
  • 1:34 - 1:37
    암반응이라고 불린다고 밤에 일어난다는 뜻이 아닙니다.
  • 1:37 - 1:41
    실제로는 명반응이 일어날 때 암반응도 함께 일어납니다.
  • 1:41 - 1:43
    해가 떠 있을 때 일어난다는 얘기입니다.
  • 1:43 - 1:45
    왜 우리가 이 반응을 암반응이라고 부르나면,
  • 1:45 - 1:47
    암반응은 빛과 무관하기 때문입니다.
  • 1:47 - 1:49
    암반응은 햇빛의 광자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 1:49 - 1:54
    ATP와 NADPH, 그리고 이산화탄소만 필요로 합니다.
  • 1:54 - 1:56
    자, 이제 여기서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
  • 1:56 - 1:57
    조금 더 자세히 이해해보도록 합시다.
  • 1:57 - 1:59
    밑에 비어있는 공간으로
  • 1:59 - 2:01
    가보도록 합시다.
  • 2:01 - 2:04
    자, 우리는 명반응을 거쳐왔습니다.
  • 2:04 - 2:09
    명반응
  • 2:09 - 2:13
    그리고-- 방금 배웠는데-- ATP와
  • 2:13 - 2:20
    NADPH를 좀 생성했습니다.
  • 2:20 - 2:23
    그리고 이제 대기에 있던 이산화탄소를
  • 2:23 - 2:24
    좀 가져올 것입니다.
  • 2:24 - 2:27
    대기에 있던 이산화탄소
  • 2:27 - 2:30
    그리고 이 모든 것들은-- 그냥
  • 2:30 - 2:31
    빛과 무관한 반응이라고 부를겠습니다--
  • 2:31 - 2:34
    암반응이라는 용어는 오해의 소지가 있기 때문입니다.
  • 2:34 - 2:45
    빛과 무관한 반응의 실제 원리는
  • 2:45 - 2:47
    캘빈 회로라고 부릅니다.
  • 2:47 - 2:50
    그리고, 이 비디오는 캘빈회로에 관한 것입니다.
  • 2:50 - 2:57
    이 모든것들은 캘빈회로 안으로 들어가고
  • 2:57 - 3:00
    G3P가 나옵니다. --첫 번째 비디오에서 얘기했듯이
  • 3:00 - 3:03
    PGAL이라고 불러도 상관없습니다.--
  • 3:03 - 3:06
    G3P는 글리세르알데히드3인산입니다.
  • 3:06 - 3:09
    PGAL은 인글리세르알데하이드입니다.
  • 3:09 - 3:12
    이름만 다를 뿐, 두 개는 완전히 똑같은 분자입니다.
  • 3:12 - 3:16
    그리고 상상할 수 있듯이 세 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사슬과
  • 3:16 - 3:19
    인산기가 붙어있습니다.
  • 3:19 - 3:23
    그리고 이것은 다른 탄수화물을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 3:23 - 3:26
    G3P 두 개를 붙혀서 포도당 한 개를 만들 수 있습니다.
  • 3:26 - 3:29
    기억할지는 모르겠는데, 해당과정의 첫 번째 단계에서,
  • 3:29 - 3:32
    혹은 첫 번째로 포도당 분자를 잘랐을 때,
  • 3:32 - 3:34
    두 개의 인글리세르알데하이드가 생성됩니다.
  • 3:34 - 3:36
    포도당은 여섯 개의 탄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 3:36 - 3:37
    이 분자는 탄소 세 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 3:37 - 3:40
    그럼 캘빈회로를 조금 더
  • 3:40 - 3:42
    자세하게 배워보도록 합시다.
  • 3:42 - 3:51
    자, 그래서 명반응을 나올 때
  • 3:51 - 3:54
    여섯 개의 탄소로 시작한다고 합시다.
  • 3:54 - 3:57
    이것은 명반응과는 무관합니다.
  • 3:57 - 3:59
    그리고 왜 이 숫자들을 사용하는지 보여드리겠습니다.
  • 3:59 - 4:01
    정확한 숫자들을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 4:01 - 4:03
    자 그래서 여섯 개의 이산화탄소로 시작합니다.
  • 4:03 - 4:06
    그리고 이산화탄소라고 얘기할 수 있는 이유는 우리가
  • 4:06 - 4:07
    신경쓰는 것은 탄소에 일어나는 반응이기 때문입니다.
  • 4:07 - 4:09
    그냥 하나의 탄소에 산소가 두 개 붙어있는
  • 4:09 - 4:11
    형태로 그려줄 수 있습니다.
  • 4:11 - 4:12
    하지만 지금 당장은 안 그릴 것입니다.
  • 4:12 - 4:14
    탄소에 일어나는 반응을
  • 4:14 - 4:15
    보여주고 싶기 때문입니다.
  • 4:15 - 4:17
    이것을 노란색으로 그리겠습니다.
  • 4:17 - 4:19
    탄소만 보여주기 위해서입니다.
  • 4:19 - 4:21
    여기서는 산소는 보여주지 않겠습니다.
  • 4:21 - 4:30
    여기서 이 여섯 개의 이산화탄소들은--
  • 4:30 - 4:33
    조금 있다가 이 반응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할것입니다--
  • 4:33 - 4:40
    이산화탄소들은 다른 여섯 개의 분자와 반응합니다--
  • 4:40 - 4:42
    조금 이상하게 보일 수도 있는데--
  • 4:42 - 4:45
    RuBP라고 불리는 분자와 결합합니다.
  • 4:45 - 4:49
    리불로오스2인산의 약자입니다.
  • 4:49 - 4:52
    리불로오스-1,5-2인산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 4:52 - 4:54
    RuBP가 이렇게 불리는 이유는
  • 4:54 - 4:58
    5개의 탄소를 가지고 있는 분자이기 때문입니다. (5탄당)
  • 4:58 - 5:00
    세 개, 네 개, 다섯 개
  • 5:00 - 5:03
    그리고 각각 1번과 5번 탄소에 인산기가 붙어있습니다.
  • 5:03 - 5:06
    그래서 리불로오스이인산이라는 것입니다.
  • 5:06 - 5:12
    아니면 가끔은, 리불로오스-1-- 여기다 쓰겠습니다
  • 5:12 - 5:15
    --이게 1번 탄소입니다.
  • 5:15 - 5:16
    5번-2인산이 됩니다.
  • 5:16 - 5:18
    여기에는 2개의 인산기가 붙어있습니다.
  • 5:18 - 5:21
    그래서 리불로오스-1,5-2인산이 되는 것입니다.
  • 5:21 - 5:24
    어려운 이름 같지만, 그냥 탄소가 5개 있는 사슬에
  • 5:24 - 5:25
    2개의 인산기가 붙어있는 것과 같습니다.
  • 5:25 - 5:28
    이 두 가지 분자는 서로 반응을 합니다.
  • 5:28 - 5:32
    그리고 그냥 간단하게 보여드리겠습니다.
  • 5:32 - 5:33
    이 두 가지의 분자는 서로 반응을 해서--
  • 5:33 - 5:35
    이 반응에선 훨씬 더 많은 일이 일어나지만,
  • 5:35 - 5:36
    그냥 전체상을 보았으면 좋겠습니다--
  • 5:36 - 5:45
    12개의 PGAL 분자
  • 5:45 - 5:53
    혹은 G3P를 만듭니다.
  • 5:53 - 6:01
    3개의 탄소와 인산기 하나가 붙어있는 형태입니다.
  • 6:01 - 6:03
    우리가 탄소의 개수를 정확히 세고 있는지
  • 6:03 - 6:07
    확인하기 위해서, 이 반응에 대해 더 자세하게 생각해보도록 합시다.
  • 6:07 - 6:09
    지금 12개의 PGAL, 혹은 G3P가 있습니다.
  • 6:09 - 6:11
    그러니까-- 12 곱하기 3 을 해서--
  • 6:11 - 6:13
    36개의 탄소가 있다는 얘기입니다.
  • 6:13 - 6:15
    자, 그러면 우리가 과연 36개의 탄소를 가지고 시작했습니까?
  • 6:15 - 6:16
    우리는 여기에 6 곱하기 5 개의 탄소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 6:16 - 6:17
    그러니까 30개.
  • 6:17 - 6:19
    또 여기 6개를 더합니다.
  • 6:19 - 6:19
    맞습니다.
  • 6:19 - 6:21
    36개의 탄소가 있습니다.
  • 6:21 - 6:25
    이산화탄소와 RuBP는 서로 반응을 해서 PGAL을 생성합니다.
  • 6:25 - 6:29
    PGAL에 있는 원자들의 결합과 전자들은
  • 6:29 - 6:32
    이산화탄소나 RuBP에 있는 전자들보다 에너지 준위가 높습니다.
  • 6:32 - 6:34
    그렇기 때문에 이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 6:34 - 6:35
    이 반응에 에너지를 넣어줘야 합니다.
  • 6:35 - 6:37
    이 반응은 자발적으로 일어나지 않습니다.
  • 6:37 - 6:41
    그리고, 이 반응에서 나오는 에너지는,
  • 6:41 - 6:44
    이 6과 6이라는 숫자를 이용하면, 이 반응에서 나오는 에너지는
  • 6:44 - 6:52
    12개의 ATP에서 올 것입니다-- 각각의 탄소와
  • 6:52 - 6:54
    각각의 리불로오스2인산에 2 ATP씩이 필요합니다.
  • 6:54 - 7:03
    또 12개의 NADPH도 필요합니다.
  • 7:03 - 7:05
    NADH랑 헷갈리면 안됩니다--
  • 7:05 - 7:07
    비슷하긴 한데, NADH는
  • 7:07 - 7:09
    세포호흡에서 필요한 조효소입니다.
  • 7:09 - 7:17
    이 ATP와 NADPH들은 12개의 ADP와 12개의 인산기가 되어 나갑니다.
  • 7:17 - 7:25
    그리고 12개의 NADP+도 나옵니다.
  • 7:25 - 7:28
    이게 에너지가 될 수 있는 이유는
  • 7:28 - 7:30
    NADPH에 있는 전자들은, 혹은 수소이온에 있는 전자들은,
  • 7:30 - 7:33
    에너지 준위가 더 높기 때문입니다.
  • 7:33 - 7:35
    그래서, 전자들이 더 낮은 에너지 준위로 갈수록,
  • 7:35 - 7:37
    반응을 촉진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 7:37 - 7:40
    그리고 당연한 말이지만, ATP 가 인산기를 잃어버리면,
  • 7:40 - 7:42
    그 전자들은 매우 높은 에너지 준위에 있고,
  • 7:42 - 7:46
    낮은 에너지 준위로 떨어지면서 반응을 촉진시키고,
  • 7:46 - 7:47
    에너지가 반응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돕습니다.
  • 7:47 - 7:51
    그래서 여기 12개의 PGAL이 있습니다.
  • 7:51 - 7:54
    그래서 이것이 캘빈회로라고 불리는 이유는--
  • 7:54 - 7:56
    상상하실 수 있듯이-- 크렙스 회로와 비슷합니다.
  • 7:56 - 7:58
    회로들은 무언가를 재사용합니다.
  • 7:58 - 8:01
    캘빈 회로라고 불리는 이유는 이 회로가
  • 8:01 - 8:05
    이 대부분의 PGAL을 재사용하기 때문입니다.
  • 8:05 - 8:13
    그래서 이 12개의 PGAL 중, 10개를 재사용해서--
  • 8:13 - 8:15
    아, 이 방법으로 해보도록 합시다.
  • 8:15 - 8:18
    자 그래서 10개의 PGAL을 사용할 것입니다.
  • 8:18 - 8:23
    10개의 인글리세르알데하이드, 즉 10개의 PGAL을 사용해서
  • 8:23 - 8:26
    리불로오스2인산을 다시 만들 것입니다.
  • 8:26 - 8:27
    그리고 계산상으로도 맞습니다.
  • 8:27 - 8:30
    왜냐하면 10개의 3탄당 분자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 8:30 - 8:31
    그래서 30개의 탄소가 됩니다.
  • 8:31 - 8:33
    그리고 6개의 5탄당 분자들이 있습니다.
  • 8:33 - 8:34
    또 30개의 탄소가 됩니다.
  • 8:34 - 8:37
    하지만 이것은, 다시 말하지만, 에너지를 필요로 합니다.
  • 8:37 - 8:42
    6개의 ATP에서 에너지를 필요로 합니다.
  • 8:42 - 8:45
    그 말은, 6개의 ATP가 인산기를
  • 8:45 - 8:46
    잃어버릴 것이라는 뜻입니다.
  • 8:46 - 8:48
    이 전자들은 낮은 에너지 준위에 들어가면서
  • 8:48 - 8:49
    반응을 촉진시킵니다.
  • 8:49 - 8:55
    그리고 6개의 ADP와 6개의 인산기가
  • 8:55 - 8:56
    나올 것입니다.
  • 8:56 - 8:58
    자, 그래서 이제 회로가 보이실 것입니다.
  • 8:58 - 9:00
    하지만 이제, 이것들을 다 썼는데
  • 9:00 - 9:01
    이것들로부터 나오는 것이 무엇입니까?
  • 9:01 - 9:03
    일단 12개의 PGAL에서 10개만 사용하였으니
  • 9:03 - 9:06
    2개의 PGAL이 남아있습니다.
  • 9:06 - 9:09
    2개의 PGAL
  • 9:09 - 9:13
    그리고 이것들을 사용해서-- 6개와 6개를 사용한 이유는
  • 9:13 - 9:15
    여기에서 12개를 얻기 위함입니다.
  • 9:15 - 9:16
    그래서 여기서 2개를 얻게 됩니다.
  • 9:16 - 9:19
    그리고 여기에서 2개가 있는 이유는 2개의 PGAL을 사용해
  • 9:19 - 9:23
    포도당 한 분자를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 9:23 - 9:26
    포도당은 6탄당의 분자입니다.
  • 9:26 - 9:31
    포도당의 분자식은, 이미 보신 적 있겠지만, C6H12O6입니다.
  • 9:31 - 9:34
    하지만 이것이 포도당만 될 수 있는 것은
  • 9:34 - 9:35
    아닙니다.
  • 9:35 - 9:37
    포도당들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더 긴 사슬을
  • 9:37 - 9:39
    가지고 있는 탄수화물이나 녹말 등 탄소골격을 가지고 있는
  • 9:39 - 9:41
    모든 것들을 만들 수 있습니다.
  • 9:41 - 9:42
    자, 그래서 다 왔습니다.
  • 9:42 - 9:43
    이것이 암반응입니다.
  • 9:43 - 9:47
    명반응의 부산물들인 ATP와 NADPH를--
  • 9:47 - 9:51
    여기 ATP가 조금 더 있습니다--
  • 9:51 - 9:55
    탄소를 고정시키는데 사용했습니다.
  • 9:55 - 9:57
    이것을 탄소 고정이라고 부릅니다.
  • 9:57 - 10:00
    기체 상태로 있는 탄소를 가지고
  • 10:00 - 10:04
    고형 구조에 고정시키면, 이것을 탄소 고정이라고 부릅니다.
  • 10:04 - 10:08
    그래서 이 캘빈 회로를 통해 탄소를 고정시킬 수 있었고
  • 10:08 - 10:11
    명반응에서 생성된 분자들에서
  • 10:11 - 10:12
    에너지가 나옵니다.
  • 10:12 - 10:15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이것이 회로라고 불리는 이유는
  • 10:15 - 10:18
    PGAL을 생성하고, 그 중 일부는 포도당이나
  • 10:18 - 10:22
    다른 탄수화물을 만드는 데 사용되고, 대부분은
  • 10:22 - 10:26
    이산화탄소와 반응하는데 쓰이는 리불로오스2인산을
  • 10:26 - 10:28
    만드는 데 재사용되기 때문입니다.
  • 10:28 - 10:31
    그리고 이 회로는 지속적으로 반복됩니다.
  • 10:31 - 10:33
    자, 그리고 이 반응들은 액포 안에서 일어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 10:33 - 10:35
    이 반응들이 다 어디서 일어나고 있는지 알고 싶다면,
  • 10:35 - 10:40
    이 반응들은 모두 스트로마에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 10:40 - 10:43
    엽록체 안에 있지만, 틸라코이드 안에 있는
  • 10:43 - 10:44
    액체들에서 말입니다.
  • 10:44 - 10:47
    그래서 스트로마에서 이 빛과 무관한 반응들이
  • 10:47 - 10:50
    일어나고 있습니다.
  • 10:50 - 10:55
    그리고 그냥 ATP와 NADPH로만 이 반응에 관여하고 있는것이 아닙니다.
  • 10:55 - 11:00
    사실 꽤 큰 단백질이나 효소들이
  • 11:00 - 11:01
    이 반응들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 11:01 - 11:03
    이 효소와 단백질이 이산화탄소가 특정한 때에
  • 11:03 - 11:06
    결합할 수 있게 해주고, 리불로오스2인산과 ATP가
  • 11:06 - 11:08
    특정한 때에 반응하고, 결과적으로는
  • 11:08 - 11:10
    서로 반응할 수 있게 해줍니다.
  • 11:10 - 11:16
    그리고 이 효소는 루비스코라고 불립니다.
  • 11:16 - 11:17
    있다가 왜 루비스코라고 불리는지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11:17 - 11:19
    자, 이게 루비스코입니다.
  • 11:19 - 11:24
    그래서-- 대문자사용을 맞게 하겠습니다.
  • 11:24 - 11:30
    -- 리불로오스2인산 카복실산화효소 입니다.
  • 11:30 - 11:31
    그리고 이렇게 생겼습니다.
  • 11:31 - 11:34
    꽤 큰 효소 분자입니다.
  • 11:34 - 11:38
    리불로오스2인산이 한 점에 결합하는 것을
  • 11:38 - 11:39
    상상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 11:39 - 11:42
    그리고 다른 점에 이산화탄소가 결합합니다.
  • 11:42 - 11:43
    어느 점인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 11:43 - 11:46
    ATP도 다른 점에 결합합니다.
  • 11:46 - 11:47
    그리고 이것들은 서로 반응합니다.
  • 11:47 - 11:50
    그리고 루비스코가 뒤틀려 모양이 바뀌어서
  • 11:50 - 11:56
    리불로오스2인산과 이산화탄소가 반응할 수 있게 만들어줍니다.
  • 11:56 - 11:57
    NADPH도 다른 점에서 반응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 11:57 - 12:01
    그리고 이 반응이 캘빈 회로 전체를 가능하게 만들어줍니다.
  • 12:01 - 12:07
    이것은 RuBP,
  • 12:07 - 12:11
    리불로오스-1,5-2인산입니다.
  • 12:11 - 12:17
    이 루비스코는 리불로오스-1,5-2인산 카복실산화효소의
  • 12:17 - 12:18
    약자입니다.
  • 12:18 - 12:20
    전체를 다 쓰진 않겠습니다. 직접 찾아보십시오.
  • 12:20 - 12:23
    이 명칭은 이것은 탄소와 리불로오스-1.5-2인산을
  • 12:23 - 12:28
    반응시키는데 쓰이는 효소임을 보여줍니다.
  • 12:28 - 12:29
    그래서 이렇게 끝났습니다.
  • 12:29 - 12:31
    광합성을 모두 배웠습니다.
  • 12:31 - 12:36
    햇빛의 광자와 물로부터 시작해서
  • 12:36 - 12:40
    흥분된 전자로 ATP와 NADPH를 만들고,
  • 12:40 - 12:46
    화학적 삼투를 이용해서 ATP 합성효소가
  • 12:46 - 12:48
    ATP를 생성합니다.
  • 12:48 - 12:51
    그리고 NADPH가 마지막 전자수용체입니다.
  • 12:51 - 12:54
    그리고 이것들은 캘빈 회로의 암반응을 시작하는데
  • 12:54 - 12:55
    사용됩니다.
  • 12:55 - 12:57
    이 암반응이라는 용어는 이름이 잘못 지어졌습니다.
  • 12:57 - 12:58
    사실은 빛과 무관한 반응이라고 해야하는데 말입니다.
  • 12:58 - 12:59
    왜냐하면 빛이 있을 때 일어나는 반응이기 때문입니다.
  • 12:59 - 13:02
    명반응에서 나온 물질들과 이산화탄소를
  • 13:02 - 13:06
    루비스코 효소를 이용해서
  • 13:06 - 13:08
    캘빈 회로에서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 13:08 - 13:11
    그리고 반응의 결과로 인글리세르알데하이드,
  • 13:11 - 13:14
    즉, 글리세르알데히드3인산이 나옵니다.
  • 13:14 - 13:18
    이것들은 우리가 모두 먹고 살아가는데 사용하는 연료인
  • 13:18 - 13:21
    포도당을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 13:21 - 13:24
    혹은 세포호흡과정에서 배웠듯이,
  • 13:24 - 13:28
    필요할 때 ATP로 바뀌기도 합니다.
  • Not Synced
    \
  • Not Synced
  • Not Synced
  • Not Synced
  • Not Synced
  • Not Synced
  • Not Synced
  • Not Synced
  • Not Synced
  • Not Synced
  • Not Synced
  • Not Synced
  • Not Synced
  • Not Synced
  • Not Synced
  • Not Synced
  • Not Synced
  • Not Synced
  • Not Synced
  • Not Synced
  • Not Synced
  • Not Synced
  • Not Synced
  • Not Synced
  • Not Synced
Title:
광합성: 캘빈 회로
Description:

광합성에서의 캘빈 회로 혹은 빛과 무관한 반응(암반응)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Duration:
13:28

Korean subtitles

Revisions